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내용 = 4
3. 연구 방법 = 6
4. 연구의 제한점 = 8
Ⅱ. 교육과정 개선의 기본 입장 및 방향 = 9
1. 현행 7차 교육과정의 문제 = 9
2. 교육과정 개선의 기본 철학 = 18
3. 외국 교육과정의 최근 동향 = 27
Ⅲ. 국가ㆍ사회적 요구 수용 = 47
1. 개선의 배경 및 성격 = 47
2. 국가ㆍ사회적 요구 수용의 기초 탐색 = 48
3. 국가ㆍ사회적 요구 수용안 및 주요 특징 = 59
Ⅳ. 교육 목표의 개선 = 65
1. 개선의 배경 및 성격 = 65
2. 현행 교육 목표 개선의 기초 탐색 = 66
3. 교육 목표 개선안 및 주요 특징 = 80
Ⅴ. 주5일 수업제 대비 교육과정 편제 개선 = 86
1. 개선의 배경 및 성격 = 86
2. 공통 기본 교육과정의 기초 탐색 = 90
3. 주5일 수업제 대비 수업 일수와 시수 조정 방안 = 97
4. 주5일 수업제 대비 교육과정 편제안 및 주요 특징 = 106
Ⅵ. 일반계 고등학교 선택 교육과정 개선 = 114
1. 개선의 배경 및 성격 = 114
2. 일반계 고등학교 선택 교육과정 개선의 기초 탐색 = 122
3. 선택 교육과정의 개선안 및 주요 특징 = 157
Ⅶ. 교과 교육과정 개선 = 171
1. 개선의 배경 및 성격 = 171
2. 교과 교육과정 구성 및 내용 개선의 기초 탐색 = 172
3. 교과 교육과정 개선안 및 주요 특징 = 174
Ⅷ.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개선 = 204
1. 개선의 배경 및 성격 = 204
2. 재량활동의 기초 탐색 = 208
3. 재량활동의 개선안 및 주요 특징 = 221
4. 재량활동 교육과정 개선안 사례 = 237
Ⅸ. 특별활동 교육과정의 개선 = 250
1. 개선의 배경 및 성격 = 250
2. 특별활동 교육과정 개선의 기초 탐색 = 251
3. 특별활동 교육과정의 개선안 및 주요 특징 = 274
Ⅹ. 요약 및 제언 = 283
1. 요약 = 283
2. 제언 = 297
참고 문헌 = 306
Abstract = 310
[부록 1] 교과별 국가ㆍ사회적 요구 사항 반영 실태 = 317
[부록 2] 국가ㆍ사회적 요구 사항별 교과 반영 실태 = 326
[부록 3] 교과별 선택 과목명과 이수 단위 수합 결과 = 337
[부록 4] 선택 교육과정 개선안의 모의 현장 적용 사례 = 338
[부록 5] 교육과정 총론 관련 협의회 = 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