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
가. 필요성 = 3
나. 목적 = 4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4
가. 영어과 교육과정 내용상 쟁점과 개선 방안 = 4
나. 영어과 교육과정 시행상 쟁점과 개선 방안 = 5
3. 연구방법 = 7
4. 연구의 제한점 = 8
Ⅱ. 이론적 배경 = 9
1. 영어과 교육과정 = 11
가. 교육과정의 정의 = 11
나. 교육과정의 구성 = 12
2. 영어과 교육과정의 국제 비교 = 18
가. 미국 매사추세츠 주의 세계어 교육과정 = 18
나. 미국 애리조나 주의 외국어 교육과정 = 21
다. 미국 외국어 교사 협회 외국어학습 기준 = 23
라. 미국 영어 교사 협회의 ESL 성취기준 = 26
마. 영국의 외국어 교육과정 = 30
바. 헝가리의 외국어 교육과정 = 36
사. 이스라엘의 영어 교육과정 = 38
아. 호주의 외국어 교육과정 = 41
자. 싱가폴의 영어 교육과정 = 46
차. 일본의 영어 교육과정 = 49
카. 중국의 외국어 교육과정 = 50
타. 종합분석 = 51
3. 영어과 교육과정 개관 = 55
가. 영어과 교육과정의 변천 = 55
나. 제 5차~7차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 비교 = 57
4. 제7차 교육과정의 분석 = 58
가. 특징 = 58
나. 제한점 = 60
5. 제7차 교육과정 관련 연구 = 61
가. 교육과정 내용 관련 연구 = 61
나. 제7차 교육과정 현장 운영 실태 연구 = 62
6. 교육과정 성격 및 목표의 이론 기초 = 66
7. 의사 소통 기능 = 71
가. 의사소통 능력의 정의와 구성 요소 = 71
나. 의사 소통 기능 = 72
다. 의사소통 기능 예시문 = 80
8. 어휘 = 83
가. 어휘 목록 비교 = 84
나. 영어 어휘 수와 교육용 어휘수 = 88
9. 성취 기준 - 초등영어 문자 도입 시기 = 99
가.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의 차등 지도 = 99
나. 문자 언어와 음성 언어의 동시 지도 = 100
다. 음성 언어 노출 시기에 대한 견해 = 102
Ⅲ. 항목별 문제점과 개선 방안 = 103
1. 성격 및 목표 = 105
가. 현황 및 문제점 = 105
나. 개선방안 = 109
2. 성취기준(초등) = 110
가. 현황 및 문제점 = 110
나. 개선 방안 = 113
3. 성취기준 (중등) = 114
가. 현황 및 문제점 = 114
나. 개선방안 = 118
4. 소재 = 119
가. 현황 및 문제점 = 119
나. 개선 방안 = 121
5. 의사 소통 활동 = 124
가. 현황 및 문제점 = 124
나. 개선 방안 = 136
6. 어휘 = 140
가. 현황 및 문제점 = 140
나. 개선 방안 = 143
7. 교수ㆍ학습 방법 = 154
가. 현황 및 문제점 = 154
나. 개선방안 = 157
8. 평가 = 158
가. 현황 및 문제점 = 158
나. 개선 방안 = 160
9. 교육내용의 양과 수준 = 167
가. 현황 및 문제점 = 167
나. 개선 방안 = 173
Ⅳ. 영어과 수준별 수업 운영 방안 = 175
1. 수준별 교육과정 및 수업 = 177
가. 교육과정 체제 = 177
나. 수준별 교육 내용 = 179
2. 수준별 집단 편성 및 운영 = 180
가. 수준별 집단 편성 = 180
나. 수준별 집단 편성 기준 = 182
다. 수준 재편성 시기 = 182
3. 교수ㆍ학습 자료 = 182
가. 수준별 3종 교과서 = 183
나. 기본 교과서 1종+수준별 학습 자료 3종 = 183
다. 기본 교과서 1종+수준별 학습 자료 1종(2 또는 3수준내용포함) = 184
라. 1종 교과서(3수준 내용 모두 포함) = 184
4. 평가 = 185
5. 운영 지원 방안 = 185
Ⅴ. 요약 및 제언 = 189
1. 요약 = 191
2. 제언 = 193
참고문헌 = 195
영문초록 = 205
부록 =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