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k 4500 | |
001 | 000045251336 | |
005 | 20221128130541 | |
007 | ta | |
008 | 060508s2005 ulka b 000a kor | |
020 | ▼a 8959312010 ▼g 933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75.006 ▼2 22 |
090 | ▼a 375.006 ▼b 1998a ▼c RRI2005-1 | |
110 | ▼a 한국교육과정평가원 ▼0 AUTH(211009)3587 | |
245 | 1 0 | ▼a 2005 KICE 교수학습개발센터 콘텐츠 개발·운영 : ▼b 내용 교수법(PCK) 및 온라인 수업장학 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 ▼d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260 | ▼a 서울 : ▼b 한국교육과정평가원, ▼c 2005. | |
300 | ▼a ix, 241 p. : ▼b 삽도 ; ▼c 26 cm. | |
490 | 1 0 | ▼a 연구보고 ; ▼v RRI2005-1 |
500 | ▼a 연구책임자: 이화진 | |
504 | ▼a 참고문헌: p. 235-238 | |
700 | 1 | ▼a 이화진, ▼e 연구책임 |
830 | 0 | ▼a 연구보고(한국교육과정평가원) ; ▼v RRI2005-1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5.006 1998a RRI2005-1 | Accession No. 11136038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연구요약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내용 = 6 3. 연구 방법 및 절차 = 7 Ⅱ. 교과별 내용 교수법(PCK) 개발 = 9 1. 내용 교수법(PCK)의 정의와 이론적 기초 = 9 2. 내용 교수법(PCK) 개발의 기본 방향 = 15 3. 내용 교수법(PCK) 개발의 기본 설계 = 21 4. 교과별 내용 교수법(PCK) 개발 = 24 가. 국어과 = 24 나. 도덕과 = 30 다. 사회과 = 34 라. 과학과 = 42 마. 체육과 = 50 바. 음악과 = 59 사. 미술과 = 66 아. 영어과 = 72 Ⅲ. 온라인 수업장학 지원 프로그램 개발 = 78 1. 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과 수업장학 = 78 2. 온라인 수업장학 지원 프로그램 개발 계획 = 80 3. 온라인 수업장학 지원 프로그램 개발 방향 = 81 4. 일반 수업장학 지원 프로그램 개발 = 84 5. 교과별 수업장학 지원 프로그램 개발 = 99 가. 사회과 = 99 나. 수학과 = 106 다. 과학과 = 113 라. 미술과 = 118 마. 영어과 = 122 Ⅳ. 2005 KICE 교수학습개발센터 운영 = 125 1. 초등학교 = 125 2. 국어과 = 139 3. 도덕과 = 148 4. 사회과 = 155 5. 수학과 = 162 6. 과학과 = 170 7. 체육과 = 182 8. 음악과 = 187 9. 미술과 = 196 10. 영어과 = 202 11. 교육과정 = 208 12. 교육평가 = 212 13. 장학지원 = 220 14. 추천자료 = 223 15. 웹사이트 관리ㆍ운영 및 자료 제작 = 226 Ⅴ. 정책 제언 = 233 참고 문헌 = 235 Abstract = 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