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내용 = 4
3. 연구 방법 = 5
Ⅱ. PISA 2003 개요 = 7
1. PISA 2003 연구 일정 = 7
2. PISA 2003 평가틀 = 8
3. 검사지 및 배경변인 설문지 구성 = 9
4. 검사 시행 및 채점 = 10
5. PISA 2003 참가국 및 분석 대상 = 13
6. PISA 2003 영역별 성취 수준 국제 비교 결과 = 14
Ⅲ. 문제 해결 소양 평가 결과 = 16
1. PISA 2003 문제 해결 소양 평가 개관 = 16
가. 문제 해결 소양의 정의 = 16
나. 문제 해결력 평가틀 = 18
다. 문제 해결력 평가 문항 = 23
라. 문제 해결력 문제 유형의 특징 = 25
2. 우리나라 학생의 문제 해결 소양 수준 분석 = 34
가. PISA 2003 문제 해결력 평가 결과 개관 = 34
나. 문제 해결력 평가틀에 따른 성취도 분석 = 38
다. 문제 해결력 성취도의 성별 차이 = 44
3. 성취 수준에 따른 문제 해결력 성취도 분석 = 57
가. 문제 해결력 성취 수준 = 57
나. 성취 수준에 따른 문제 해결력 성취도 = 59
4. 수학, 읽기, 과학적 소양 수준과 문제 해결력 = 62
가. 요인 분석 결과 = 64
나. 읽기, 수학, 과학, 문제 해결력 성취도간의 상관 관계 = 67
다. 수학과 문제 해결력 성취도 비교 = 67
5. 사회경제적 배경과 문제 해결력 성취도 = 70
가. 부모의 사회경제적 수준 = 70
나. 부모의 교육 수준 = 73
다. 문화적 자산 소유 정도 = 75
Ⅳ.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학교 효과 분석 = 78
1. 학교 효과 연구 개요 = 78
2. 연구 문제 및 분석 자료 = 79
가. 연구 문제 = 79
나. 분석 자료 = 80
3. 학교 효과 연구 모형의 설정 = 88
가. 기초 모형 = 88
나. 학생 수준 모형 = 89
다. 학교 수준 모형 = 93
4. 학교 효과 분석 결과 및 해석 = 96
가. 분산 분석 결과 = 96
나. 고정 효과 분석 결과 = 97
Ⅴ. 요약 및 제언 = 99
1. 요약 = 99
2. 제언 = 102
참고문헌 = 105
ABSTRACT =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