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연구 개요 = 3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3
2. 연구 내용 = 5
3. 연구 방법 및 절차 = 6
Ⅱ. 선행 연구 고찰 = 13
1. 교육내용 적정성 분석 연구 = 13
2. 교육과정 실태 분석 및 개선 방향 연구 = 28
Ⅲ. 교육과정 수정ㆍ보완에 대한 기본 입장과 개선 방향 = 37
1.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기본 입장 = 37
2. 교육과정 개선 방향 = 39
3. 교육과정 운영의 주요 쟁점 = 40
Ⅳ. 설문 조사 결과 = 53
1. 설문조사 개요 = 53
2. 실과 성격, 교육목표, 내용의 수정 필요성 = 58
3. 기술과 성격, 교육목표, 내용의 수정 필요성 = 65
4. 가정과 성격, 교육목표, 내용 수정의 필요성 = 72
5. 고등학교 기술ㆍ가정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수정 필요성 = 79
Ⅴ. 초등 실과 교육과정 관련 쟁점과 개선 방안 = 89
1. 교육과정 편제에 관한 쟁점과 개선 방안 = 89
2. 교육 내용 구성에 관한 쟁점과 개선 방안 = 92
3. 교육과정 문서 체제에 관한 쟁점과 개선 방안 = 101
Ⅵ. 중등학교 기술ㆍ가정과 교육과정 관련 쟁점과 개선 방안 = 109
1. 교육과정 편제에 관한 쟁점과 개선 방안 = 109
2. 교육 내용 구성에 관한 쟁점과 개선 방안 = 119
3. 교육과정 문서 체제에 관한 쟁점과 개선 방안 = 138
Ⅶ. 고등학교 기술ㆍ가정과 선택 교육과정 문제점과 개선 방안 = 143
1. 과목군 배치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143
2. 기술ㆍ가정과와 연계성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147
3. 전공교사 부족 및 부재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150
Ⅷ. 결론 및 제언 = 155
1. 결론 = 155
2. 제언 = 159
참고 문헌 = 161
Abstract = 169
부록 1. 초등 실과 교육내용 적정성 조사 설문지 = 173
부록 2. 중등 기술ㆍ가정과 교육내용 적정성 조사 설문지 = 181
부록 3. 단체간 협의회 = 213
부록 4. 1차, 2차, 3차, 4차 토론회 = 215
제1차 토론회-실과(기술ㆍ가정) 교육과정 개정 방향 = 215
제2차 토론회-교육과정 문서체제와 내용, 교과서 분책 방향 = 260
제3차 토론회-타 교과와의 중복내용 = 305
제4차 토론회-고등학교 실과(기술ㆍ가정) 선택과목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 492
부록 5. 고등학교 선택과목 영역별 전문가 협의회 = 581
부록 6. 중복내용 분석표 = 585
초등실과 = 585
기술ㆍ가정 = 629
부록 7. 실과(기술ㆍ가정) 교육과정 개정 시안(잠정) = 6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