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A. 근전도 = 3
1. 근육활동과 근전도 = 3
2. 활동전위 = 5
1) 근육의 구조와 운동단위 = 5
2) 용적도체 내의 활동전위 = 7
3. 근전도의 기록법 = 8
1) 도출전극 = 8
2) 전극의 관리 = 11
3) 관찰 기록장치 = 12
B. 침근전도 = 14
1. 기록조건과 기록시의 주의 = 14
2. 기록순서 = 14
3. 운동단위의 전위파형 관찰방법 = 15
4. 정상 근전도 = 16
1) 삽입 활동전위(insertion activity) = 16
2) 안정시의 근육방전 = 17
3) 수의 수축시의 근육방전 = 17
5. 이상 근전도 = 19
1) 삽입 활동전위 = 19
2) 안정시의 이상 근육방전 = 19
3) 수의 수축시의 이상 = 24
4) 소견의 기재 = 34
C. single fiber EMG(SFEMG), macro EMG = 36
1. jitter현상 = 36
2. 근섬유 밀도 = 37
3. macro EMG = 38
D. 운동단위의 발사패턴 = 42
1. 수축지표로서의 운동단위 발사패턴 = 42
2. 발사간격 변동법 = 42
3. poststimulus time histogram(PSTH) = 44
E. 표면 근전도 = 46
1. 표면 근전도의 의의 = 46
2. 관찰 기록장치의 개요 = 46
3. 기록방법 = 47
1) 전극위치 및 전극간 거리 = 47
2) 전극 부착시의 주의 = 50
3) 증폭기 및 기록속도 = 51
4. 기록부위 = 52
5. 기록순서와 기록내용 = 52
1) 안정하게 누운 자세의 기록 = 52
2) 자세 유지시의 기록 = 54
3) 수의운동의 기록 = 54
4) 기록시의 주의 = 54
6. 표면 근전도의 이상소견 = 54
1) 불수의 운동 = 54
2) 근육뻗침에 대한 반응 = 58
3) 수의수축 상태 = 61
4) 복잡한 운동의 표면 근전도 = 61
F. 말초신경 전도속도 = 62
1. 신경 전도속도 검사의 기초지식 = 62
2. 장치 = 64
3. 운동신경 최대 전도속도(MCV) = 64
1) 측정원리 = 64
2) 자극 = 67
3) 기록 = 68
4) 정상치 = 69
5) 이상소견 = 69
6) 전도장애 검사(인칭법) = 73
4. 감각신경 전도속도(SCV) = 75
1) 측정원리 = 75
2) SCV의 정상치 = 79
5. 신경 전도속도 검사시의 일반적 주의사항 = 79
1) 전극간 거리, 잠복시간의 계측 = 79
2) 온도 = 81
3) 연령 = 81
4) 자극 및 유발전위의 파급에 관한 주의 = 81
6. 신경 전도속도 검사의 적응과 의의 = 85
G. 유발 근전도 = 87
1. 자극과 기록법 = 87
1) 전극 = 88
2) 자극조건 = 88
2. H반사와 M파 = 89
3. 신경ㆍ근육 전달시험(Harvey-Masland시험) = 90
1) 전극의 부착, 검사부위 = 91
2) 자극방법 = 91
3) 기록방법 = 91
4) 결과의 해석 = 91
4. H반사 = 95
1) 역사 = 95
2) H반사 유발법 = 95
3) 반사전위의 계측법 = 95
4) H반사에 의한 경축의 정량평가 = 96
5) 척수반사의 상반성 결합 = 99
6) 연속자극에 의한 H반사의 빈도억제 곡선(frequency depression curve) = 106
5. T파 = 109
6. 긴장성 진동반사(tonic vibration reflex, TVR) = 110
7. 긴 잠복시간 반사 = 112
1) 개념 = 112
2) 기록법 = 112
3) LLR의 발생기전 = 113
4) LLR이 저하하는 상태 = 115
5) LLR이 항진하는 상태 = 116
8. F파 = 118
1) 방법 = 118
2) 소견 = 121
9. 눈깜박 반사(눈둘레근 반사) = 121
1) 방법 = 121
2) 반사파와 신경경로 = 122
3) 소견 = 122
10. 대뇌자극(direct cortical stimulation) = 122
1) 자극방법 = 123
2) 계측방법 = 123
3) 소견 = 123
H. 미소신경 전도법 = 125
1) 기록전극 및 기록방법 = 125
2) 근육방추 활동 = 125
3) 근육 교감신경 활동 = 127
I. 동작학적 검사 = 129
1. 반응시간(reaction time) = 129
1) 단순 반응시간 = 129
2) 예고신호 효과 = 131
3) 선택 반응시간 = 131
2. 수의운동 검사 = 132
1) 동작시간(movement time) = 132
2) 정교하고 치밀한 운동의 검사 = 132
3) 외란부하에 대한 긴 잠복시간 반사 = 135
J. 중심 및 보행검사 = 137
1) 중심 변동의 기록 = 137
2) 외란에 대한 자세반응 = 142
3) 보행검사 = 143
문헌 = 148
2
K. 뇌파 = 161
1. 역사 = 161
2. 원리 = 162
1) 겉질전위 발생 = 162
2) 페이스메이커 = 165
3. 기록법 = 166
1) 전극(electrode) = 166
2) 뇌파계(electroencephalograph) = 167
3) 디지털 뇌파계(digital electroencephalograph) = 168
4) 전극 배치법(electrode placement) = 169
5) 도출법(derivation, montage11) = 170
6) 부활(activation) = 171
4. 기록과 판독의 실제 = 173
1) 기록 전에 얻는 것이 좋은 피검자에 관한 정보 = 173
2) 판독 전에 알고 있는 것이 좋은 피검자에 관한 정보와 필요하지 않은 정보 = 174
3) 교정(calibration) = 174
4) 파의 종류 = 174
5) 기본적 용어 = 174
6) 판독순서 = 175
7) 뇌파의 자동판독 = 175
8) 시간적 요소와 공간적 요소 = 175
9) 뇌전위의 두피위 지름길 효과 = 176
10) 전류 발생원의 방향과 전위의 두피위 분포관계 = 177
11) 집점의 결정법 = 178
12) mu파 = 180
13) 기준전극의 활성화 = 182
14) 인공산물(artifact) = 182
5. 정상뇌파 = 184
1) 성인 각성뇌파 = 184
2) 성인 수면뇌파 = 187
3) 연령에 의한 변화 = 187
6. 이상뇌파 = 190
1) 비돌발성ㆍ광범성 이상뇌파 = 192
2) 비돌발성ㆍ국소성 이상뇌파 = 197
3) 돌발성ㆍ광범성 이상뇌파 = 205
4) 돌발성ㆍ국소성 이상뇌파 = 206
L. 유발전위 = 214
1. 역사 = 214
2. 원리 = 214
3. 종류 = 216
4. 기록법 = 217
1) 피검자의 상태 = 217
2) 자극빈도 = 218
3) 기록전극 = 218
4) 증폭기의 주파수 응답 = 218
5) 디지털 변환과 샘플 주파수 = 220
6) 가산평균 = 220
7) 정점의 명명법 = 220
M. 체성감각 유발전위 = 221
1. 기록법 = 221
1) 자극법 = 221
2) 기록전극 = 221
2. 정상파형 = 222
3. 원격전장 SEP가 고정정점을 형성하는 기전 = 224
4. 전기자극에 의한 SEP는 어떤 종류의 감각섬유를 개입하는가 = 226
5. 자연자극에 의한 SEP = 226
1) 온ㆍ통각 SEP = 226
2) 관절 운동각 SEP = 227
6. 전기자극 SEP에 의한 장애부위 진단은 어디까지 가능한가 = 230
7. 조기 겉질성분의 발생기전 = 232
8. SEP는 중추 신경계의 축삭변성, 전도장애, 탈수의 감별에 유효한가 = 235
9. 신장과 연령의 영향은 어디까지 고려해야 하는가 = 235
10. SEP가 진짜 효력을 발휘하는 상태 = 235
1) 감각장애의 객관적 평가 = 235
2) myeloneuropathy 병태생리의 검색 = 237
3) 다발성경화증(MS) 및 HTLV-I-associated myelopathy(HAM)에서 잠재성 뒤섬유단 병변의 검출 = 240
4) 척수ㆍ뇌기능의 수술 중 모니터 = 241
5) 히스테리의 보조진단 = 242
6) 간대성근경련 진단과 병태생리의 검색 = 242
11. 경막 외 전극에 의한 척수 유발전위 = 247
N. 시각 유발전위 = 248
1. 기록법 = 248
1) 자극법 = 248
2) 기록전극과 도출법 = 249
3) 증폭 = 249
4) 가산평균 = 250
2. 정상파형 = 250
1) 섬광자극 VEP = 250
2) 도형반전 자극 VEP = 252
3. 이상 판정기준 = 252
1) 섬광자극 VEP = 252
2) 도형자극 VEP = 254
4. 임상적 의의와 적응 = 255
1) 섬광자극 VEP = 255
2) 도형자극 VEP = 255
5. 시각자극의 특성과 VEP = 259
6. 망막전위도(electroretinogram, ERG) = 261
1) 개념과 역사 = 261
2) 기록법 = 261
3) 정상소견과 각 성분의 발생원 = 262
4) 임상응용 = 262
O. 청각 유발전위 = 265
1. 분류 = 265
2. 기록법 = 265
1) 자극법 = 265
2) 기록전극과 도출법 = 265
3) 주파수 응답과 증폭, 가산평균 = 265
3. 정상파형과 각 정점의 발생원 = 266
1) BAEP = 266
2) 겉질 AEP = 267
4. 임상응용 = 267
1) BAEP = 267
2) 겉질 AEP = 270
P. 사상관련 전위 = 271
1. 개념과 역사 = 271
2. = 271
1) 기록법 = 271
2) 정상파형 = 272
3) 연령증가에 의한 잠복시간의 연장 = 273
4) 임상응용 = 274
5) 단일시행에 의한 = 277
3. 언어에 관련한 긴 잠복시간 유발전위 = 279
4. 수반음성 변동(contingent negative variation, CNV) = 279
1) 기록법 = 279
2) 정상파형 = 280
3) 임상응용과 적응 = 282
4) 명령자극 후 음성변동 = 283
5. Mismatch Negativity = 284
6. 기억관련 전위(memory-related potential) = 284
7. 사상관련 탈동기화(event-related desynchronization) = 286
Q. 운동관련 뇌전위 = 287
1. 개념과 역사 = 287
2. 기록법 = 288
1) 수의운동의 기록방법 = 288
2) 트리거 펄스를 구하는 방법 = 289
3) 뇌파 기록법 = 290
4) 역방향 가산평균법 = 292
3. 정상파형 = 292
4. 각 전위성분의 두피위 분포와 생리적 의의 = 293
1) Bereitschaftspotential(BP) = 293
2) BP와 CNV의 관계 = 295
3) Intermediate Slope(IS) = 297
4) Negative Slope(NS') = 297
5) 운동전 양성전위 = 299
6) 운동전위 = 300
7) = 301
8) = 301
9) = 302
10) = 302
5. 복잡한 운동과 단순한 운동의 차이 = 302
6. 수의적 근육이완에 의한 음성운동에 따른 운동관련 뇌전위 = 305
7. 임상응용과 적응 = 305
1) 편마비 및 그 회복과정의 검색 = 305
2) 바닥핵 장애 = 306
3) 소뇌계 장애 = 309
4) 공동운동 발생기전의 검색 = 309
R. jerk-locked back averaging = 312
1. 개념과 역사 = 312
2. 기록법 = 313
1) 근전도와 뇌파의 기록 = 313
2) 가산평균법 = 314
3. 간대성근경련에 따른 뇌전위 = 314
1) 겉질성간대성근경련(cortical myoclonus) = 314
2) 지속성 부분간질 = 315
3) 겉질 반사성 간대성근경련에서 간대성근경련 관련 뇌전위와 거대 SEP의 관계 = 317
4) 겉질성 간대성근경련모양 떨림 = 322
5) 겉질 반사성 음성 간대성근경련 = 322
6) 주기성 간대성근경련 = 323
7) 기타 겉질아래성 간대성근경련 = 323
4. 기타 불수의 운동에 따른 뇌전위 = 328
1) 무도운동 = 328
2) tic = 329
5. jerk-locked back averaging법의 문제점 = 331
S. 경피적 대뇌겉질 자극법 = 333
1. 개념과 역사 = 333
2. 기록법 = 333
1) 전기자극 = 333
2) 자기자극 = 334
3) 정상소견 = 335
4. 임상응용과 적응 = 335
5. 운동조절 기구의 해명에 대한 응용 = 338
6. 고차 뇌기능 검색의 응용 = 339
T. 뇌자도 = 340
1. 원리 = 341
2. 기록법 = 341
3. 전류 발생원의 해석 = 342
4. 임상응용 = 346
문헌 = 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