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法哲學의 根本問題

法哲學의 根本問題 (4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영환 , 1953-
서명 / 저자사항
法哲學의 根本問題 / 金永煥 著.
발행사항
서울 :   弘文社 ,   2006.  
형태사항
xx, 469 p. ; 26 cm.
총서사항
HY cases & materials book series
ISBN
8977701678
일반주기
부록 및 색인수록  
000 00594camccc200229 k 4500
001 000045250898
005 20100807053634
007 ta
008 060405s2006 ulk 001c kor
020 ▼a 8977701678
035 ▼a (KERIS)BIB000010347352
040 ▼d 211062 ▼d 211009
082 0 4 ▼a 340.1 ▼2 22
090 ▼a 340.1 ▼b 2006
100 1 ▼a 김영환 , ▼d 1953- ▼0 AUTH(211009)36577
245 1 0 ▼a 法哲學의 根本問題 / ▼d 金永煥 著.
260 ▼a 서울 : ▼b 弘文社 , ▼c 2006.
300 ▼a xx, 469 p. ; ▼c 26 cm.
490 0 0 ▼a HY cases & materials book series
500 ▼a 부록 및 색인수록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06 등록번호 11136185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06 등록번호 11136185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06 등록번호 14106756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40.1 2006 등록번호 15124622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06 등록번호 11136185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06 등록번호 11136185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06 등록번호 14106756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40.1 2006 등록번호 15124622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제1부 법철학
 제1장 법의 개념 = 3
  1 법개념을 둘러 싼 논의의 구조 = 3
   Ⅰ. 서론 = 3
   Ⅱ. 자연법적 견해 = 4
   Ⅲ. 법실증주의적 견해 = 4
   Ⅳ. 소결 = 5
  2 법실증주의적인 법개념 = 5
   Ⅰ. 문제사례 1: "법의 사실성": 검찰의 5ㆍ18 불기소 처분(서울지방검찰청, 국방부검찰부, 5ㆍ18관련 사건 수사 결과 발표문, 1958.7.18.) = 5
   Ⅱ. 문제사례 2: "법의 실정성": 이완용손자재산환수사건(서울고법 1997.7.25. 선고 92나23638) = 7
   Ⅲ. 법철학적 의의 및 문제점 = 8
  3 자연법적 법개념 = 10
   Ⅰ. 문제사례 3: "법의 도덕성"("법원으로서의 자연법"): 구동독 국경수비대 사건(BGH, Urt. v. 3.11. 1992) = 10
   Ⅱ. 문제사례 4: "법의 도덕성"("해석상의 자연법"): 이재극 부동산에 관한 판결(서울지법 2001.1.16. 선고 99가합30782) = 12
   Ⅲ. 법철학적 의의 및 문제점 = 14
  4 법개념의 분석: 소위 "결합명제"와 "분리명제" = 16
   Ⅰ. 결합명제: 자연법적 논거 = 16
   Ⅱ. 분리명제: 법실증주의의 논거 = 18
   Ⅲ. 올바른 법개념의 모색 = 20
  5 개별적인 법개념들 = 21
   Ⅰ. 하트의 법개념 = 21
   Ⅱ. 드워킨의 법개념 = 23
  6 법의 개념에 관한 논의의 진행과정 = 27
   Ⅰ. 서론 = 27
   Ⅱ. 논의의 현황 = 27
   Ⅲ. 맺음말 = 36
  사례풀이= 37
   Ⅰ. 문제 = 37
   Ⅱ. 풀이 = 37
 제2장 법의 이념 = 40
  7 법이념의 개념적인 틀 = 41
  8 개별적인 법이념: 정의 = 42
   Ⅰ. 문제사례 1: 평등으로서의 정의(헌법재판소 2002.9.19. 2000헌바84 전원재판부) = 42
   Ⅱ. 문제사례 2: 차별대우로서의 정의(헌법재판소 1999.12.23. 98헌마363 전원재판부) = 45
   Ⅲ. 문제사례 3: 소위 "평균적 정의"에 관하여(헌법재판소 전원재판부 2003.11.27. 2002헌바24 전원재판부) = 47
   Ⅳ. 문제사례 4: "배분적 정의"에 관하여(헌법재판소 2001.6.28. 99헌바32 전원재판부) = 49
   Ⅳ. 법철학적 의의 및 문제점 = 50
  9 개별적인 법이념: 합목적성 = 52
   Ⅰ. 문제사례 1: 행정행위의 합목적성(대법원 1984.7.24. 선고 84다카597) = 52
   Ⅱ. 문제사례 2: 도로교통법상의 합목적성(헌법재판소 1997.3.27. 96헌가 11 전원재판부) = 53
   Ⅲ. 문제사례 3: 자동차운송사업한정면허처분(대법원 2001.1.19. 선고 99두3812) = 55
   Ⅳ. 법철학적 의의 및 문제점 = 56
  10 개별적인 법이념: 법적 안정성 = 57
   Ⅰ. 문제사례 1: 명확성으로서의 법적안정성(헌법재판소 2002.7.18.2000헌바57 전원재판부) = 57
   Ⅱ. 문제사례 2: 신뢰보호로서의 법적 안정성(헌법재판소 1999.7.22.97헌바76, 98헌바50ㆍ51ㆍ52ㆍ54ㆍ55) = 59
   Ⅲ. 법철학적 의의 및 문제점 = 61
  11 법의 이념의 분석 = 63
   Ⅰ. 머리말 = 63
   Ⅱ. 정의 = 63
   Ⅲ. 합목적성 = 66
   Ⅳ. 법적 안정성 = 69
  12 법이념 간의 갈등 = 70
   Ⅰ. 문제사례 1: 정의와 법적 안정성의 충돌(헌법재판소 1996.2.16. 96헌가2, 96헌바7, 96헌바13 전원재판부) = 71
   Ⅱ. 문제사례 2: 정의와 합목적성 간의 대립 1(헌법재판소 1992.4.28. 90헌바24) = 76
   Ⅲ. 문제사례 3: 정의와 합목적성 간의 대립 2(헌법재판소 2000.6.1. 97헌바74 전원재판부) = 79
   Ⅳ. 문제사례 4: 법적 안정성과 합목적성 간의 대립(헌법재판소 2001.12.20. 2001헌바7014) = 81
   Ⅴ. 법철학적 의의 및 문제점 = 83
  13 법이념들 사이의 긴장관계 = 86
   Ⅰ. 정의와 법적 안정성의 충돌 = 86
   Ⅱ. 정의와 합목적성 간의 충돌 = 89
   Ⅲ. 한편으로 정의와 합목적성과 다른 한편 법적 안정성간의 충돌 = 90
  14 정의론의 발달과정 = 91
   Ⅰ. 고대 = 91
   Ⅱ. 중세 = 93
   Ⅲ. 근대 = 95
   Ⅳ. 현대 = 98
  15 절차적 정의론 = 102
   Ⅰ. 머리말 = 102
   Ⅱ. 존 롤즈의 정의론 = 103
   Ⅲ. 하버마스의 보편적 실용론과 절차적 정의 = 105
  사례풀이 = 108
   Ⅰ. 문제 = 108
   Ⅱ. 풀이 = 109
 제3장 법의 효력 = 111
  16 법효력에 관한 논의의 위치 및 개념적 범주 = 111
   Ⅰ. 법효력의 논의의 위치 = 111
   Ⅱ. 개념적 범주 = 112
  17 법의 효력요소들의 충돌 = 113
   Ⅰ. 문제사례 1: 정당성과 합법성의 충돌 1(헌법재판소 전원재판부 2001.2.22. 2200헌바38) = 113
   Ⅱ. 문제사례 2: 정당성과 합법성의 충돌 2(대법원 1995.6.16. 선고94누12159) = 115
   Ⅲ. 문제사례 3: 정당성과 실효성의 모순 1(헌법재판소 2003.9.25. 2003헌바16 전원재판부) = 116
   Ⅳ. 문제사례 4: 정당성과 실효성의 모순 2(헌법재판소 1998.3.26. 96헌가20) = 118
   Ⅴ. 법철학적 의의 및 문제점 = 120
  18 법효력에 관한 종합적 검토 = 122
   Ⅰ. 법효력의 개념 = 122
   Ⅱ. 법효력에 관한 세 가지의 언어관용 = 123
   Ⅲ. 법효력의 근거 = 126
   Ⅳ. 올바른 효력개념 = 135
  19 시민불복종 = 136
   Ⅰ. 문제사례 1: 공직선거및 선거부정방지법 등 위헌확인(헌법재판소 2001.8.30. 2000헌마121) = 136
   Ⅱ. 문제사례 2: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위반(대법원 2004.4.27. 2002도315) = 138
   Ⅲ. 법철학적 의의 및 문제점 = 140
  20 시민불복종의 개념과 정당화 = 142
   Ⅰ. 문제제기 = 142
   Ⅱ. 시민불복종의 개념 = 143
   Ⅲ. 시민불복종과 구별되어야 할 개념 = 146
   Ⅳ. 시민불복종의 정당화 = 147
   Ⅴ. 시민불복종의 법적인 처리가능성 = 151
  사례풀이 = 154
   Ⅰ. 문제 = 154
   Ⅱ. 풀이 = 155
 제4장 법과 도덕 = 157
  21 개념적인 범주 = 157
   Ⅰ. 개념적인 분류방식 = 157
   Ⅱ. 법과 도덕의 관계 = 158
   Ⅲ. 법에 대한 도덕의 최소한의 기준 = 158
  22 법과 도덕의 관계에 관한 개별적인 사례들 = 159
   Ⅰ. 문제판례 1: 존속에 대한 형가중(헌법재판소 2002.3.28. 2000헌바53) = 159
   Ⅱ. 문제사례 2: 간통죄의 위헌여부(헌법재판소 2001.10.25. 2000헌바60) = 161
   Ⅲ. 법철학적 의의 및 문제점 = 166
  23 법과 도덕 = 172
   Ⅰ. 한계설정들 = 172
   Ⅱ. 법과 도덕의 양극성 = 172
   Ⅲ. 사회적 행동의 유사한 규칙들과의 관계 = 176
   Ⅳ. 법과 도덕 간의 가치평가의 모순들 = 178
   Ⅴ. 부수성의 원리 = 180
  24 가치평가의 모순에 대한 해결책으로 "법으로부터 자유로운 영역" = 181
   Ⅰ. 문제제기 = 181
   Ⅱ. 법으로부터 자유로운 영역: 법적으로 규율되어 있지만, 그러나 법적으로 평가되지 않은 = 182
   Ⅲ. 합법적인가 혹은 위법한가: 제3의 영역? = 183
   Ⅳ. 해결시도들 = 184
   Ⅳ. 제3의 길: "금지되지도 허용되지도 않은" = 186
  문제사례 = 187
   Ⅰ. 사례 = 187
   Ⅱ. 소위 "착한 사마리아인법" = 188
   Ⅲ. 입법안에 대해 = 188
제5장 위험사회에서의 법철학 = 190
  25 개별적인 논의에 필요한 개념적 범주들 = 190
   Ⅰ. "위험사회"에서의 논의의 틀 = 190
   Ⅱ. 자연(특히 동물)의 권리 = 191
   Ⅲ. 생명공학 = 192
  26 위험사회에서의 형법적인 대응책 = 193
   Ⅰ. 문제제기 = 193
   Ⅱ. 위험사회에서의 형법의 특징 = 194
   Ⅲ. 위험사회에 대한 형법적인 대응책의 문제점 = 196
   Ⅳ. 위험사회에 대한 형법적 대안들 = 198
   Ⅴ. 필자의 대안 = 201
  27 자연의 권리는 있는가? = 205
   Ⅰ. 서론: 법철학의 과제 = 205
   Ⅱ. 인간중심적인 사고, 도덕확장주의, 생태(생명)중심주의 = 206
   Ⅲ. 인간과 동물의 구분: 유추존재론 = 208
   Ⅳ. 동물실험 = 210
   Ⅴ. 동물의 권리와 남겨진 문제들 = 211
  28 생명공학 = 212
   Ⅰ. 생명과학기술의 혁명 = 212
   Ⅱ. 기술과 윤리 = 212
   Ⅲ. 생명윤리의 기초 = 213
   Ⅳ. 구체적인 상황에서의 이성적 논증 = 215
 제6장 법학방법론 = 223
  29 법학방법론의 전반적인 체계 = 224
   Ⅰ. 법발견과 법형성의 상호관계: 허용되는 해석과 금지되는 유추 = 224
   Ⅱ. "법문언의 가능한 의미"라는 기준의 문제점 = 225
   Ⅲ. "해석"의 종류로서의 "축소해석"과 "확장해석" = 226
   Ⅳ. 법의 흠결의 종류: "명시적인 흠결"과 "은폐된 흠결" = 227
   Ⅴ. 법의 흠결의 보충방법과 그 정당화 문제: "유추"와 "목적론적 축소" = 228
 제7장 법적용의 과정 = 230
  30 연역적인 모델 = 230
   Ⅰ. 문제되는 사례 = 230
   Ⅱ. 전반적인 구조 = 231
   Ⅲ. 구체적인 법적용: 3번의 포섭절차 = 234
   Ⅳ. 연역적 모델에 의한 법의 해석과 적용과정 = 235
  31 해석학적 모델 = 236
   Ⅰ. 문제제기 = 236
   Ⅱ. 문제사례: 염산이 독일형법 제250조 제1항 제1호의 "무기"인가?(독일연방법원 형사판례집 제1권, 1면 이하) = 237
   Ⅲ. "동일화"과정 = 240
 제8장 법의 해석 = 244
  32 법의 해석기준 = 244
   Ⅰ. 문제사례 1: 문리적 해석기준(대법원 2003.5.13 선고 2003도1178) = 244
   Ⅱ. 문제사례 2: 체계적 해석기준[헌법재판소 2004.8.26. 2003헌바85, 102(병합) 전원재판부] = 245
   Ⅲ. 문제사례 3: 역사적 해석(대법원 2004.11.12. 선고 2004도5257) = 246
   Ⅳ. 문제사례 4: 목적론적 해석(대법원 1998.5.21. 선고 95도2002 전원합의체판결) = 247
   Ⅴ. 법철학적 의의 및 문제점 = 249
  33 법의 해석기준에 관한 종합적 검토 = 250
   Ⅰ. 네 가지 해석기준 = 250
   Ⅱ. 해석기준의 선호관계 = 259
  34 주관적 해석론과 객관적 해석론 = 260
   Ⅰ. 문제사례 1: 객관적 해석론(대법원 1998.4.23. 선고 95다36466 전원합의체) = 260
   Ⅱ. 문제사례 2: 주관적 해석론(대법원 2002.3.29 선고 2001두9431) = 263
   Ⅲ. 문제사례 3: 주관적 해석론과 객관적 해석론의 대립(대법원 2004.11.18. 선고 2004도1228 전원합의체) = 265
   Ⅳ. 법철학적 의의 및 문제점 = 267
  35 객관적 해석론과 주관적 해석론의 대립 = 268
   Ⅰ. 객관적 해석이론과 주관적 해석이론의 전반적인 구도 = 268
   Ⅱ. 두 이론에 대한 비판 = 269
   Ⅲ. 절충설 = 270
 제9장 법의 흠결의 보충 = 272
  36 법흠결과 흠결보충에 관한 개념적인 범주 = 272
   Ⅰ. 법의 흠결 = 272
   Ⅱ. 흠결보충의 방식 = 274
  37 유추에 의한 법흠결의 보충 = 277
   Ⅰ. 문제사례: 대법원 1994.12.20. 선고, 94모32 전원합의체결정 = 277
   Ⅱ. 판례의 평석 = 280
  38 목적론적 축소해석에 의한 법흠결의 보충 = 289
   Ⅰ. 문제사례: 대법원 1997.3.20. 96도1167 전원합의체 판결 = 289
   Ⅱ. 대상판결의 방법론적 문제점 = 294
   Ⅲ. 여론: 대상 판결의 형법해석상의 문제점 = 299
  39 법원리 등에 의한 흠결의 보충 = 301
   Ⅰ. 문제사례: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제국법원 판례(RGSt 61, 242) = 301
   Ⅱ. 평석 = 306
 제10장 개별적인 문제들 = 308
  40 법적 논증이론의 전개과정과 그 실천적 의의 = 308
   Ⅰ. 법적 논증이론의 생성원인 = 308
   Ⅱ. 법적 논증이론의 개념규정: 법학방법론과의 구별 = 311
   Ⅲ. 개별적인 형태 1: 논리-분석적인 접근방식 = 313
   Ⅳ. 개별적인 형태 2: 문제변증적-수사학적인 접근방식 = 322
   Ⅴ. 개별적인 형태 3: 논증이론적인 접근방식 = 326
   Ⅵ. 개별적인 형태 4: 다원적인 접근방식 = 337
   Ⅶ. 개별적인 형태 5: 경험적인 접근방식 = 341
   Ⅷ. 법적 논증이론의 실천적 의의 = 343
  41 개념법학적인 사유형태와 일반조항에로의 도피 = 346
   Ⅰ. 문제제기 = 346
   Ⅱ. 개념법학의 전개과정과 그 의미 = 348
   Ⅲ. 일반조항의 의의 및 그 문제점 = 353
   Ⅳ. 개념법학적인 사유방식과 일반조항을 원용하는 방법의 공통점 = 355
   Ⅴ. 해결방안 = 358
  42 일반조항의 예: 형법 제20조 정당행위 = 360
   Ⅰ. 문제제기 = 360
   Ⅱ. 법이론적인 문제 = 361
   Ⅲ. 범죄체계론적인 문제 = 364
   Ⅳ. 형법해석학적인 문제 = 368
   Ⅴ. 결론 = 371
부록
 부록 머리말 = 377
 제1장 법의 개념
  법률적 불법과 초법률적 법 = 379
 제2장 법의 이념
  제11장 법의 이념 - 사회적인 정의로서의 정의 = 390
  10 정의에 관한 최근의 논쟁 = 422
 제3장 법의 효력
  조그만 동전의 저항권 = 436
 제6장 법의 해석
  형법에서의 주관적 해석의 유용성 = 448
사항색인 = 461
인명색인 = 468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