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Ⅰ편 행정학의 일반이론 및 연구방법론
제1장 행정의 기초이론 = 13
1. 행정국가와 행정 = 13
2. 행정의 개념규정 = 19
제2장 행정학의 접근방법 = 39
1. 행정학의 연구와 연구방법 = 39
2. 행정현상의 분석차원과 연구방법 = 41
제3장 행정학의 새로운 접근 : 인식론의 차원 = 93
1. 행정연구의 새로운 시각 : 주관주의 = 94
2. 현상학적 접근법 = 96
3. 행위이론 = 99
4. 해석이론 = 103
5. 비판이론 = 112
제4장 행정학의 새로운 접근 : 신과학과 포스트모더니즘 = 123
1. 신행정과학 : 혼돈이론과 양자이론 = 124
2. 포스모더니즘과 행정학 정체성의 위기 = 138
제5장 전통적 사회이론들과 행정이론 = 159
1. 칼 마르크스(Karl Marx) = 160
2. 막스 베버(Max Weber) = 167
3. 프로이드(Sigmund Freud) = 175
4. 행정연구에 대한 시사점 = 181
제6장 정치와 행정 = 185
1. 초기의 행정이론 = 186
2. 정치·행정의 관계 = 191
3. 정치·행정이분론의 여파 = 195
4. 관리에 대한 과학적 접근법 = 199
5. 행정관리와 조직구조 = 206
6. 능률성 : 성공의 핵심적인 척도 = 213
7. 민주적 행정 = 216
제Ⅱ편 조직이론
제7장 행정조직에 대한 이해 = 223
1. 정부관료제의 중요성 = 223
2. 행정조직의 공식이론들 = 227
3. 행정조직 이론의 형성 = 232
4. 분야에 대한 재정의 = 238
5. 결론 = 239
제8장 합리적 행정조직모형 = 241
1. 인간행태의 과학 = 242
2. 행정에 대한 일반론적 접근법 = 243
3. 행정의 격언들 = 244
4. 합리적 행정모형 = 248
5. 의사결정과 정책형성 = 254
6. 폐쇄체제 대 개방체제 = 261
7. 결론 = 267
제9장 인본주의 조직이론과 신행정학 = 269
1. 인본주의 조직이론의 주제들 = 271
2. 성격과 조직 = 277
3. 공공부문에서의 조직발전 = 282
4. 신행정학 = 291
5. 결론 = 298
제10장 합리적 조직모형에 대한 대안들 = 301
1. 합리모형에 대한 비판 = 303
2. 해석이론/행위이론 = 312
3. 하몬의 능동사회적 패러다임 = 319
4. 하버마스의 비판사회이론 = 324
5. 행정조직에 대한 비판적 분석 = 330
6. 사후발견적 합리성으로서의 조직화 = 334
제11장 행정조직의 이론과 실제 = 343
1. 이론과 이론형성 = 344
2. 행정조직 이론을 위한 방향 = 347
3. 조직과 개인의 학습 = 350
4. 이론가의 새로운 역할 = 354
제Ⅲ편 정책이론
제12장 행정학과 정책 = 359
1. 정책지향성의 발달 = 361
2. 공공정책과 대응성 = 365
3. 공공정책과 효과성 = 376
4. 정책집행에 대한 새로운 발견 = 380
5. 정책분석의 방법들 = 387
6. 오스트롬의 "지적 위기" = 392
제13장 정책연구와 정책학 = 401
1. 공공정책의 중요성 = 401
2. 정책학의 연구목적 = 402
3. 현대정책학의 역사적 전개 = 406
4. 정책학의 성격 = 415
5. 정책학과 인접학문 = 423
6. 정책학이 제공하는 지식 = 427
제14장 정책의 개념과 정책학의 연구대상 = 433
1. 정책의 개념 = 433
2. 정책과정과 정책학의 연구대상 = 435
3. 정책과정 틀에 관한 몇 가지 이론들 = 436
4. 정책과정 틀의 종합화 = 454
제Ⅳ편 예산이론
제15장 행정이론과 예산이론 = 461
1. 서론 = 461
2. 예산이론의 역사적 고찰 = 464
3. 환경적 요구에 대한 반응 = 497
4. 미래의 방향 = 514
참고문헌 = 519
찾아보기 = 5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