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ume. vol.2]----------
목차
Ⅴ. 미드와 뒤르켐에서의 패러다임 전환 : 목적활동에서 의사소통행위로
예비고찰 = 15
1. 의사소통이론틀 통한 사회과학의 정초 = 17
1) 미드의 의사소통이론의 문제설정 = 21
2) 인간 이전의 몸짓언어로부터 상징을 통해 매개되는 상호작용으로의 이행: 타자태도 취하기 = 30
3) 부연고찰: 미드의 의미이론을 규칙준수에 관한 비트겐슈타인의 생각을 가지고 정교화하기 = 37
4) 상징에 의해 매개되는 상호작용으로부터 규범에 따라 수행되는 상호작용(역할행위)으로의 이행 = 47
5) 사회세계와 주관세계의 상보적 구성 = 55
(1) 명제와 사물지각 = 55
(2) 규범과 역할행위 = 61
(3) 정체성과 욕구성향 = 74
2. 신성한 것의 권위와 의사소통행위의 규범적 배경 = 78
1) 도덕의 신성숭배적 뿌리에 관한 뒤르켐의 고찰 = 84
2) 뒤르켐 이론의 약점 = 97
3) 부연고찰: 의사소통행위의 세 가지 뿌리 = 109
(1) 명제적 요소 = 112
(2) 표출적 요소 = 115
(3) 발화수반적 요소 = 117
(4) 이해지향적 행위의 성찰적 형태와 성찰적 자기관계 = 124
3. 신성한 것의 언어화가 갖는 합리적 구조 = 131
1) 법 발달과 사회통합 형식의 변화 = 132
(1) 계약의 비계약적 토대 = 136
(2) 기계적 연대에서 유기적 연대로 = 140
2) 완전히 통합된 사회라는 가상적인 극단의 경우를 예로 하여 살펴본 사회통합형식 변화의 논리 = 147
3) 미드에 의한 토의윤리의 정초 = 155
4) 부연고찰: 정체성과 개인화. 인격체의 수적, 문법적, 질적 자기확인(헨리히, 투겐트하트) = 162
5) 미드의 사회이론에 대한 두 가지 유보사항 = 178
Ⅵ. 제 2중간고찰: 체계와 생활세계
예비고찰 : 뒤르켐의 분업이론에 의거해서 본 사회통합과 체계통합 = 187
1. 생활세계의 개념과 이해사회학의 해석학적 이상주의 = 196
1) 의사소통행위의 지평과 배경으로서의 생활세계 = 197
2) 의사소통이론에 비추어 본 사회현상학적 생활세계 개념 = 207
3) 형식화용론적 생활세계 개념으로부터 서사적 생활세계 개념을 거쳐 사회학적 생활세계 개념으로 = 221
4) 생활세계의 재생산에서 이해지향적 행위가 하는 기능. 생활세계합리화의 여러 차원 = 228
5) 생활세계를 사회와 동일시하는 이해사회학의 한계 = 238
2. 체계와 생활세계의 분리 = 244
1) 사회문화적 생활세계로서의 부족사회 = 248
2) 자기조절체계로서의 부족사회 = 255
3) 체계분화의 네 가지 메커니즘 = 261
4) 체계통합 메커니즘이 생활세계에 제도적으로 정착되는 방식 = 272
5) 생활세계의 합리화 대 생활세계의 기술화. 탈언어화된 의사소통매체를 통한 일상언어매체의 부담 경감 = 282
6) 체계와 생활세계의 분리, 그리고 물화명제의 재구성 = 290
(1) 상호이해 형식의 개념 = 294
(2) 상호이해 형식의 체계적 분류 = 298
Ⅶ. 파슨스: 사회이론 구성의 문제
예비고찰: 이론사에서 파슨스가 차지하는 위치 = 311
1. 규범주의 행위이론으로부터 사회에 대한 체계이론으로 = 319
1) 1937년의 행위이론 기획 = 321
(1) 주의주의적 행위 개념 = 321
(2) 규범주의적 행위 개념 = 324
(3) 공리주의의 딜레마 = 327
(4) 홉스적 문제 = 330
(5) 사회적 상호작용. 이중적 우연성의 조건하에서의 행위조정의 문제: 첫 번째 이론전략적 결정 = 335
2) 중기 초반부의 행위이론 = 338
(1) 동기와 가치관의 결합 = 340
(2) 문화, 사회, 인성이 행위태도를 어떻게 규정하는가 = 343
(3) "유형변수"의 도입:두 번째 이론전략적 결정 = 349
3) 체계 개념의 정교화와 행위이론 우위에 대한 단념: 세 번째 이론전략적 결정 = 355
2. 체계이론의 전개 = 368
1) 《작업논문집》(Working Papers) 이래의 이론 전개과정 = 374
(1) 사회적 통합과 기능적 통합 사이의 차이의 수평화 = 377
(2) 4기능 도식과 체계형성 = 382
(3) 4기능 도식에 맞춘 유형변수의 수정 = 384
(4) 문화적 가치를 인공두뇌학적 기준치로 재해석 = 388
(5) 문화결정론 = 391
2) 인간학적 경향의 후기철학, 그리고 체계이론과 행위이론 사이의 타협의 취약성 = 392
3) 조절매체이론 = 401
(1) 의사소통행위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방식 - 매체에 의해 조절되는 상호작용:생활세계의 기술화 = 409
(2) 화폐매체의 구조적 특징, 질적 속성, 그리고 체계형성적 효과 = 413
(3) 매체 개념을 권력관계에 전이시킬 때의 난점 = 419
(4) 과잉 일반화의 문제:영향력과 가치구속 대 화폐와 권력 = 426
(5) 매체에 대한 파슨스의 행위이론적 설명. 일반화된 의사소통형식 대 조절매체 = 431
3. 근대성이론 = 440
1) 생활세계 합리화와 체계복잡성 증가의 구별이 취소됨 = 443
2) 부연고찰: 파슨스를 재칸트화하려는 시도에 대하여 = 458
Ⅷ. 결론: 파슨스에서 베버를 거쳐 맑스로
예비고찰 = 469
1. 베버의 근대성이론에 대한 회고 = 472
1) 체계와 생활세계의 개념으로 표현해본 베버의 관료제화 명제 = 476
2) 자본주의 발생에 관한 베버의 설명의 재구성 = 486
3) 생활세계의 식민지화: 베버의 시대진단에 대한 재고찰 = 493
(1) 근대사회에서 체계와 생활세계 사이의 교환관계 = 495
(2) 일면화된 생활양식과 관료제에 의한 정치적 공론장의 건조화 = 500
(3) 맑스 대 베버: 발달역학 대 발달논리 = 504
(4) 정리하는 명제 = 508
2. 맑스와 내부식민지화 명제 = 513
1) 실제추상 혹은 사회적으로 통합된 행위연관의 사실화 = 516
(1) 가치이론의 공적 = 519
(2) 가치이론의 몇 가지 약점 = 522
2) 체계와 생활세계 사이의 교환관계 모델 = 529
(1) 국가개입주의, 대중민주주의, 그리고 복지국가 = 530
(2) 복지국가적 타협 = 536
(3) 이데올로기의 몰락과 파편화된 일상의식 = 541
3) 법제화 경향 (법제화의 네 단계) = 547
(1) 부르주아 국가 = 549
(2) 법치국가 = 552
(3) 민주적 법치국가 = 553
(4) 개입주의 국가에서의 법제화: 자유보장과 자유박탈의 양가성 = 555
3. 비판적 사회이론의 과제 = 572
1) 초기 비판이론의 주제들 = 579
2) 의사소통행위이론과의 접합점 = 587
(1) 후기자유주의 사회의 통합형식 = 587
(2) 가족에서의 사회화와 자아발달 = 591
(3) 대중매체와 대중문화 = 596
(4) 새로운 저항잠재력 = 599
3) 합리성이론과 역사적 맥락. 근본주의적 주장의 거부 = 608
참고문헌 = 619
찾아보기 = 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