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 1
참고문헌 = 5
2 기초 자기량 및 자기현상 = 7
2.1 자기량 및 자기 작용 = 7
2.1.1 자극의 세기 = 7
2.1.2 자장과 자속밀도 = 9
2.1.3 자기모멘트 = 13
2.1.4 자화 = 19
2.1.5 자기쌍극자 상호작용 = 21
2.2 반자장 = 25
2.2.1 반자장의 발생 = 25
2.2.2 반자장 계수의 크기 = 27
2.2.3 반자장의 효과 = 32
2.3 자성체의 자화와 에너지 = 34
2.3.1 정자기 에너지(반자장 에너지) = 34
2.3.2 자화 에너지 = 36
2.4 자기이력 곡선 = 38
2.4.1 B-H 곡선 = 38
2.4.2 투자율의 자장 의존성 = 41
2.4.3 감자 곡선 = 42
2.4.4 탈자(자기소거) = 42
2.4.5 M-H 곡선 = 43
2.4.6 연ㆍ경자성 재료의 자화 곡선 = 44
참고문헌 = 45
3 자기의 단위 = 47
3.1 cgs-emu 단위 = 47
3.1.1 자극의 세기 = 48
3.1.2 자장 = 48
3.1.3 자기모멘트 = 48
3.1.4 자화 = 49
3.1.5 진공투자율과 자속밀도 = 49
3.1.6 자속 = 50
3.1.7 자성체 내부의 자장 = 50
3.1.8 자화율과 투자율 = 50
3.1.9 전류와 전압 = 51
3.1.10 전류에 의한 자장의 크기 = 51
3.1.11 에너지적 = 52
3.2 MKSA 단위 = 52
3.2.1 자속과 자속밀도 = 52
3.2.2 자극의 세기와 자화 = 53
3.2.3 진공투자율 = 53
3.2.4 자장의 세기 = 55
3.2.5 자화율과 투자율 = 55
3.2.6 비례상수 k₁ = 56
3.2.7 자화와 Kennelly, Sommerfeld의 방식 = 56
3.2.8 에너지적 = 58
3.3 단위의 환산 = 59
3.3.1 전류 = 59
3.3.2 전압 = 60
3.3.3 자속밀도와 자속 = 60
3.3.4 자극의 세기 = 61
3.3.5 자화 = 61
3.3.6 자장의 크기 = 61
3.3.7 자화율과 투자율 = 62
3.3.8 에너지적 = 62
참고문헌 = 64
4 자장의 발생과 자기측정 = 65
4.1 자장의 발생 = 66
4.1.1 직선 전류 = 66
4.1.2 루프 전류 = 69
4.1.3 솔레노이드 코일 = 70
4.1.4 링형 솔레노이드 코일 = 72
4.1.5 헬름홀츠 코일 = 75
4.1.6 전자석 = 77
4.2 자기의 측정 = 78
4.2.1 전자유도의 이용 방법 = 79
4.2.2 역학적 측정 방법 = 82
4.2.3 기타 방법 = 83
참고문헌 = 85
5 원자 자기모멘트 = 87
5.1 전자의 자기모멘트 = 88
5.1.1 궤도운동과 자기모멘트 = 88
5.1.2 스핀운동과 자기모멘트 = 89
5.1.3 1전자의 자기모멘트 = 90
5.2 다전자 원자의 자기모멘트 = 91
5.2.1 양자수와 자기모멘트 = 92
5.2.2 스핀-궤도 상호작용 = 97
5.2.3 각종 원자의 자기모멘트 = 102
5.3 결정의 원자 자기모멘트 = 106
5.3.1 자기모멘트의 밴드 이론 = 106
5.3.2 합금의 자기모멘트 = 109
참고문헌 = 111
6 자성의 종류와 자기 이론 = 113
6.1 주요 자성의 특징 = 114
6.2 반자성 = 118
6.3 상자성 = 121
6.3.1 고전론 = 122
6.3.2 양자론 = 125
6.3.3 상자성의 밴드 이론 = 131
6.4 페로자성 = 133
6.4.1 분자장 이론 = 134
6.4.2 교환 상호작용 = 143
6.4.3 간접교환 상호작용 = 153
6.4.4 페로자성 물질 = 154
6.5 반강자성 = 156
6.5.1 초교환 상호작용 = 157
6.5.2 분자장과 넬온도 = 158
6.5.3 자화율 = 160
6.6 페리자성 = 166
6.6.1 페라이트의 결정구조와 자기모멘트 = 167
6.6.2 분자장과 자기특성 = 171
참고문헌 = 177
7 자기이방성 = 179
7.1 결정 자기이방성 = 179
7.1.1 입방정의 결정 자기이방성 = 181
7.1.2 육방정의 결정 자기이방성 = 190
7.2 자기이방성의 측정 = 199
7.2.1 입방정 = 200
7.2.2 육방정 = 202
7.3 결정 자기이방성의 기원 = 204
7.3.1 이방성 교환 상호작용 = 205
7.3.2 이방적 결정장 작용 = 206
7.3.3 자기쌍극자 상호삭용 = 209
7.4 결정 자기이방성의 온도 의존성 = 211
7.5 유도 자기이방성 = 212
7.5.1 자장 중 열처리 및 냉각 효과 = 212
7.5.2 소성가공 효과 = 215
7.5.3 상변태 효과 = 216
7.6 형상 자기이방성 = 217
7.7 교환이방성 = 220
참고문헌 = 222
8 자기변형 = 225
8.1 자기변형의 표현식 = 227
8.1.1 입방 단결정체 = 227
8.1.2 입방 다결정체 = 233
8.1.3 육방 단결정체 = 236
8.2 자기변형의 측정 = 237
8.2.1 다결정체 = 238
8.2.2 단결정체 = 239
8.3 자기변형에 의한 탄성 에너지 = 240
8.3.1 외부 응력에 의한 탄성 에너지 = 240
8.3.2 자기변형유도 응력에 의한 탄성 에너지 = 242
8.4 자기변형의 원인 = 243
8.5 체적자기변형 = 244
참고문헌 = 245
9 지구 = 247
9.1 자벽의 에너지와 구조 = 248
9.1.1 자벽 에너지와 자벽의 두께 = 249
9.1.2 자벽 내의 스핀회전 각도 분포 = 254
9.2 자구의 분할과 형상 = 255
9.2.1 입방정의 자구 = 257
9.2.2 육방정의 자구 = 262
9.2.3 박막의 자구 = 263
9.2.4 미립자의 자구 = 272
9.3 자구 관찰법 = 274
9.3.1 분말도형법 = 274
9.3.2 자력 현미경법 = 274
9.3.3 자기광학법 = 275
9.3.4 로렌츠 현미경법 = 276
9.3.5 주사전자 현미경법 = 277
참고문헌 = 279
10 강자성체의 자화과정 = 281
10.1 자화 곡선(자기이력 곡선) = 281
10.2 자화 과정의 개요 = 283
10.3 자벽이동에 의한 자화 = 284
10.3.1 자벽 에너지의 위치에 따른 변화와 자벽이동 = 285
10.3.2 비자성 개재물과 자벽이동 = 296
10.4 회전자화에 의한 자화 = 297
10.4.1 일축이방성 결정체의 회전자화 = 297
10.4.2 입방결정체의 회전자화 = 303
10.4.3 형상이방성이 있는 미립자의 회전자화 = 306
10.4.4 구형 미립자 연결체의 회전자화 = 310
10.5 등방성 자성체의 자화 = 311
10.5.1 일축이방성 물질로 구성된 등방체의 자벽이동에 의한 자화 = 311
10.5.2 일축이방성 물질로 구성된 등방체의 회전자화에 의한 자화 = 315
10.5.3 입방 다결정체의 자화 = 316
10.6 자성 미립자의 초상자성 = 318
참고문헌 = 321
11 교류자화 및 자화 동역학 = 323
11.1 교류자화와 자기 손실 = 324
11.2 자기 손실의 종류와 원인 = 327
11.2.1 와전류 손실 = 328
11.2.2 자기이력 손실 = 332
11.2.3 잔류 손실 = 334
11.3 자기여효 = 343
11.3.1 확산 자기여효 = 343
11.3.2 투자율의 자기여효 = 349
11.3.3 열요동 자기여효 = 354
11.4 자화 동역학과 자기공명 = 356
참고문헌 = 365
12 고투자율 연자성 재료 = 367
12.1 연자성 재료의 특성 원리 = 368
12.2 연자성과 재료인자 = 369
12.3 Fe 및 Fe 합금 = 370
12.3.1 순철 = 370
12.3.2 Fe-Cr 스테인리스강 = 371
12.3.3 Fe-Si 합금 = 372
12.3.4 Fe-Al 합금 = 383
12.3.5 Fe-Si-Al 합금 = 383
12.4 Ni-Fe 합금 = 385
12.4.1 고투자율 합금 = 385
12.4.2 고각형비 및 항투자율 합금 = 388
12.4.3 Mo 퍼멀로이 분말합금 = 390
12.5 Fe-Co 합금 = 390
12.6 비정질 합금 = 391
12.6.1 기초 자성 = 392
12.6.2 응용 자성 = 396
12.6.3 합금의 종류와 특성 = 397
12.7 초미세결정 합금 = 399
12.8 박막 합금 = 402
12.8.1 합금의 종류와 제조 = 402
12.8.2 연자성 박막의 자기이방성과 자화 = 405
12.9 연자성 페라이트 = 407
12.9.1 제조와 미세조직 제어 = 408
12.9.2 자기적 특성 = 409
참고문헌 = 416
13 고보자력 경자성 재료 = 419
13.1 영구자석의 특성 원리 = 420
13.1.1 영구자석의 성능과(BH) 에너지적 = 420
13.1.2 자기회로와 (BH = 421
13.1.3 영구자석의 보자력과 잔류자속밀도 = 425
13.2 합금 자석 = 430
13.2.1 알니코 자석 = 430
13.2.2 Fe-Cr-Co 자석 = 433
13.2.3 Mn-Al-C 자석 = 434
13.2.4 Fe-Co-V 자석 = 435
13.2.5 Cu-Ni-Fe, Cu-Ni-Co 자석 = 436
13.2.6 Pt-Co 자석 = 436
13.3 산화물 페라이트 자석 = 437
13.3.1 결정 및 자기 구조 = 437
13.3.2 제조 및 자기적 특성 = 442
13.4 회토류 화합물 자석 = 444
13.4.1 SmC o5 계 자석 = 447
13.4.2 Sm₂C계 자석 = 448
13.4.3 Nd-Fe-B계 자석 = 450
13.4.4 R-Fe-N계 자석 = 453
13.5 반경질 자성 재료 = 453
참고문헌 = 454
14 자기기록 재료 = 457
14.1 기록매체의 특성 원리 = 458
14.2 매체의 종류와 개요 = 463
14.3 수평기록용 분말매체 = 465
14.3.1 γ-Fe₂O₃ = 465
14.3.2 C o2+ γ-Fe₂O₃ = 466
14.3.3 CrO₂ = 467
14.3.4 금속 미립자 = 468
14.4 수평기록용 박막매체 = 470
14.4.1 Co계 합금 도금막 = 470
14.4.2 Co계 합금 스퍼터 박막 = 471
14.5 수직기록용 매체 = 472
14.5.1 박막매체: CoCr 박막 = 472
14.5.2 분말배체: Ba 페라이트 입자 = 473
14.6 자기헤드 재료 = 473
14.6.1 자기헤드의 종류 = 473
14.6.2 전자유도형 자기헤드 재료 = 475
14.7 자기저항 효과와 자기헤드 = 478
14.7.1 이방성 자기저항 효과와 자기헤드 = 478
14.7.2 거대 자기저항 효과와 자기헤드 = 483
14.8 자기메모리 = 494
14.8.1 페라이트 링 코어 메모리 = 495
14.8.2 MRAM = 497
14.9 광자기기록 재료 = 499
14.9.1 광자기기록의 원리 = 499
14.9.2 기록매체의 조건 = 501
14.9.3 광자기 기록매체 = 502
참고문헌 = 505
15 특수 자성 재료 = 507
15.1 마이크로파용 페라이트 = 507
15.1.1 페라이트 응용소자 = 509
15.1.2 재료의 요구 특성 = 511
15.1.3 재료의 종류와 성질 = 514
15.2 자기변형 재료 = 520
15.2.1 일반 자기변형 재료 = 522
15.2.2 거대 자기변형 합금 = 523
15.3 기타 자성 재료 = 525
15.3.1 자기보상 합금 = 525
15.3.2 인바 합금 = 526
15.3.3 자성유체 = 527
15.3.4 전자파 흡수 재료 = 527
참고문헌 = 528
부록 = 531
찾아보기 = 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