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123camcc2200325 c 4500 | |
001 | 000045247188 | |
005 | 20111025143115 | |
007 | ta | |
008 | 060224s2006 ulka b 001c kor | |
020 | ▼a 8932470995 ▼g 93340 | |
035 | ▼a (KERIS)BIB000010297172 | |
040 | ▼a 211061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27 ▼a 327.101 ▼2 22 |
085 | ▼a 327 ▼2 DDCK | |
090 | ▼a 327 ▼b 2006i1 | |
245 | 0 0 | ▼a 세계정치론 / ▼d 존 베일리스, ▼e 스티브 스미스 편저 ; ▼e 하영선 외 옮김 |
246 | 0 3 | ▼a 세계정치의 역사와 이론, 구조와 과정, 그리고 주요 쟁점을 망라한 종합 개론서 |
246 | 1 9 | ▼a (The)globalization of world politics : ▼b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lations. ▼g 3rd ed. |
260 | ▼a 서울 : ▼b 을유문화사, ▼c 2006 | |
300 | ▼a 828 p. : ▼b 삽화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p. 775-800)과 색인수록 | |
650 | 0 | ▼a International relations ▼v Textbooks |
650 | 0 | ▼a Globalization ▼v Textbooks |
650 | 0 | ▼a World politics ▼y 1989- ▼v Textbooks |
700 | 1 | ▼a Baylis, John, ▼e 편 ▼0 AUTH(211009)125225 |
700 | 1 | ▼a Smith, Steve, ▼e 편 ▼0 AUTH(211009)7776 |
700 | 1 | ▼a 하영선 ▼g 河英善, ▼e 역 ▼0 AUTH(211009)144133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327 2006i1 | Accession No. 11136201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7 2006i1 | Accession No. 11136201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27 2006i1 | Accession No. 12112634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27 2006i1 | Accession No. 12112634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7 2006i1 | Accession No. 15120963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6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7 2006i1 | Accession No. 15120963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327 2006i1 | Accession No. 11136201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7 2006i1 | Accession No. 11136201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27 2006i1 | Accession No. 12112634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27 2006i1 | Accession No. 12112634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7 2006i1 | Accession No. 15120963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7 2006i1 | Accession No. 15120963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국제정치학 분야의 종합적이고 이상적인 개론서. 전세계 33개국에서 번역 출간되었던 영국 옥스퍼드대학출판사 출판물의 제 3판이다. 세계정치 판도의 새로운 흐름을 짚고, 심도 깊으면서도 이해하기 쉽게 국제정치학에서 다룰 수 있는 거의 모든 주제들을 종합하여 대학교재로 쓰기에 딱 알맞다.
세계정치의 틀을 형성하고 있는 지구화(globalization)란 과연 무엇인지 탐구해보고, 이를 통해 지구화 시대의 세계정치 양상은 무엇이며, 어떻게 전개되어 가는지를 살펴본다. 자유주의, 현실주의, 구성주의, 마르크스주의 등 지구화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들을 검토하여 지구화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총 5부 구성으로 서두에서 지구화의 개념과 그에 대한 찬반 의견을 소개하고, 1부에서는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하여 지구화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역사적 배경을 설명한 다음, 2부에서는 세계정치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들을 소개했다. 3부와 4부에서는 국제안보, 국제법, 외교 등 현대 세계정치에 있는 주요 구조와 과정, 그리고 환경, 핵확산, 테러리즘, 성, 인터넷 등의 현재의 국제적 쟁점을 다루었다. 5부에서는 세계정치에 미친 지구화의 영향을 반추하고 있다.
3판에서는 2판의 구성을 좀더 다듬고, 2001년 일어난 9.11 테러를 비롯한 이후 일어난 사건들을 반영했으며, 사회구성주의, 국제법과 국제테러 등에 관한 내용이 추가되었다. 각 장마다 요점정리, 토론주제, 관련사이트 목록 등을 제공하여 학습효과를 높이며, 자매 웹사이트(www.oup.com/uk/booksites/politics)에서 추가적인 보충자료와 사례연구를 제공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존 베일리스(지은이)
스완지대학교 정치·국제관계학과 명예교수이며 부총장보를 역임했다. 웨일스대학교에서 철학박사와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공동 편집한 Strategy in the Contemporary World (2006)와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2006)를 비롯해 20여 권의 책을 출간했다.
스티브 스미스(지은이)
액서터대학교의 부총장이다. 애버리스트위스의 웨일스대학교와 이스트앵글리아대학교의 국제관계학 교수를 역임했다. 2003~2004년 미국국제정치학회 회장을 맡았고, 2000년에는 사회과학학술회원으로 선출되었다. 공동 편집한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ies: Discipline and Diversity (2010)와 『oreign Policy: Theories, Actors, Cases (2008)를 비롯해 15권의 책을 출간했다.
하영선(옮긴이)
국제정치 이론과 역사를 반세기 동안 연구해 온 한국의 대표적 국제정치학자다. 현재 동아시아연구원 이사장이며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학위를, 미국 워싱턴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교수(1980-2012)로 재직했고 미국 프린스턴 대학 국제문제 연구소와 스웨덴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의 초청 연구원이었으며, 서울대학교 국제문제 연구소장, 미국학 연구소장, 한국 평화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에 20년 동안 400편의 시론을 썼고, “하영선 칼럼”을 7년 동안 연재했다. 전파연구, 한국외교사, 정보세계 정치, 동아시아연구원의 연구 모임들을 이끌며 한국 국제 정치학의 길을 개척해 왔다. 강의와 답사를 연계해서 ‘체험하는 외교사’라는 학습 모델을 개발하여 ‘서울대 교육상’을 수상하였으며, 서울대학교와 동아시아연구원에서 지난 20년 동안 동아시아 질서 건축사와 한국의 생존전략을 젊은 세대들과 함께 공부하고 현장을 찾아보는 학술답사를 계속하고 있다. 최근 저서 및 편저로는 국제정치이론 분야에서 『사랑의 세계정치: 전쟁과 평화』(2019), 『미중의 아태질서 건축경쟁』(2017), 『복합 세계정치론: 전략과 원리 그리고 새로운 질서』(2012), 『변환의 세계정치』(2012), 한국외교사 분야에서 『한국외교사 바로보기: 전통과 근대』(2019), 『사행의 국제정치: 16-19세기 조천?연행록 분석』(2016), 한국외교정책 분야에서 『1972 한반도와 주변4강 2014』(2015), 『2020 한국외교 10대과제: 복합과 공진』(2013), 『하영선 국제정치 칼럼 1991-2011』(2012), 『북한2032: 선진화로 가는 공진전략』(2010), 『한일 신시대를 위한 제언: 공생을 위한 복합 네트워크의 구축』(2010), 한국개념사연구 분야에서 『한국 사회과학 개념사』(2018), 『냉전기 한국 사회과학 개념사』(2018), 『근대 한국의 사회과학 개념 형성사 1/2』(2009/2012) 등이 있다.
이상현(옮긴이)
세종대학교 명예교수 이상현(아호 玄谷)은 1940년 서울 서대문구 홍은동에서 태어났다. 서울중고등학교 재학 당시, 학교 담을 넘어 YMCA에서 만나던 유영모 선생과 함석헌 선생의 영향으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학과에 진학하였다. 4·19 때 교수단 데모를 실제로 이끈 우관 이정규 성균관대학교 총장의 조언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하여 역사철학을 연구, 1966년에 <베네데토 크로체의 역사사상>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그 후 공군사관학교 교관으로 역사학을 강의하다가 1973년 공군대위로 전역한 후, 2년간 시간강사로 떠돌다 1975년 9월에 숭의여자전문대학 교수가 되었다. 이때에 R.G 콜링우드의 《역사학의 이상》을 번역했고, 《자유·투쟁의 역사》를 발표하였다. 1980년 세종대학교 역사학과 교수로 자리를 옮겨 학보사주간, 2부교학처장, 학생처장 등을 역임하면서 《역사철학과 그 역사》를 출간하였고, 김성식 교수의 권유와 지도로 경희대학교에서 <신이상주의 역사사상>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86년 보직을 사퇴하고 1년간 미국 버클리대학 객원교수로 갔다온 뒤, 15년간 강의와 논문 저술 활동에 열중하여 《지성으로 본 세계사》, 《역사적 상대주의》, 《다시 쓰는 역사, 그 지식의 즐거움》, 《세계적 한국사 38강》, 《종교, 그 벽을 넘어 진리의 세계로》 등을 펴냈으며, 1997년부터는 문필계에 뛰어들어 수필가와 문학비평가로 활동하면서 역사 에세이집 《역사 속 사랑이야기》, 수필집 《아버진 홍은동 이발쟁이었다》, 회고록 《고백》을 발표하였다. 한국사학사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현재는 세종대학교 명예교수와 한국사학사학회 명예회장으로 있으며, 명상을 통한 수행의 결과로 《관자재보살들》을 집필・출간하였다.
장인성(옮긴이)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공부하고 도쿄대학교 총합문화연구과에서 개항기 한일 국제정치사상에 관한 비교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구 분야는 동아시아 국제정치사상, 한일 정치사상사, 동아시아 개념사이다. 저서로 『장소의 국제정치사상』(서울대학교출판부, 2002),『근대한국의 국제관념에 나타난 도덕과 권력』(서울대학교출판부, 2006),『메이지유신』(살림, 2007),『동아시아 국제사회와 동아시아 상상』(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서유견문: 한국보수주의의 기원에 관한 성찰』(아카넷, 2017), 『현대일본의 보수주의』(연암서가, 2021) 등이 있다.
신욱희(옮긴이)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미국 예일대학교 정치학 박사 논저: 『삼각관계의 국제정치: 중국, 일본과 한반도』, 『한미일 삼각 안보체제: 형성, 영향, 전환』, “구성주의 국제정치이론의 의미와 한계”
이혜정(옮긴이)
중앙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전재성(옮긴이)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동북아 국제정치이론: 불완전주권국가들의 국제정치』(2020), 『주권과 국제정치: 근대주권국가체제의 제국적 성격』(2019) 등이 있다.
김상배(옮긴이)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인디애나대학교(Indiana University)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 사이버안보학회 회장과 서울대 미래전연구센터 센터장을 맡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신흥안보, 사이버 안보, 디지털 경제, 공공외교, 미래전, 중견국 외교다. 대표 저서로 『미중 디지털 패권경쟁: 기술·안보·권력의 복합지정학』(2022), 『버추얼 창과 그물망 방패: 사이버 안보의 세계정치와 한국』(2018), 『아라크네의 국제정치학: 네트워크 세계정치이론의 도전』(2014) 등이 있다.
강윤희(옮긴이)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후 영국 Glasgow Universotoy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는 <스탈린의 산업화 전략과 소련 공산당 기능의 변화, 1928-1932: 레닌그라드의 사례연구>,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기간의 소련 공산당 세포조직의 발달-레닌그라드 공장 당세포조직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현재 국민대학교 유라시아학과 교수다.

Table of Contents
목차 편저자의 말 = 5 서론 = 11 국제정치에서 세계정치로 세계정치에 관한 이론들 네 가지 이론과 지구화 지구화와 그 전조들 지구화 : 신화인가 현실인가? 제1장 지구화와 지구정치 = 28 머리말 지구화 이해하기 지구화의 개념화 오늘날의 지구화 변용되는 세계 : 지구화와 왜곡된 지구정치 왜곡된 지구정치에서 범세계주의적 지구정치로? 맺음말 제1부 역사적 배경 제2장 국제사회의 발전 = 51 머리말 : 기원과 정의 고대 그리스와 르네상스기 이탈리아 유럽 국제사회 국제사회의 지구화 맺음말 : 지구 국제사회의 제문제 제3장 국제관계의 역사, 1900~1945 = 70 머리말 제1차 세계대전의 기원 강화, 1919 : 베르사유 전후처리 지구 경제 불황, 1929∼1933 아시아ㆍ태평양에서의 제2차 세계대전의 기원 전쟁을 향한 유럽의 행로 지구역사의 이론화, 1900∼1945 맺음말 : 1900~1945, 탈지구화의 시기? 제4장 국제관계의 역사, 1945~1990 = 100 머리말 제국의 붕괴 냉전 핵무기 맺음말 제5장 냉전의 종식 = 118 머리말 내적 요인 : 소련에서의 공산주의의 붕괴 동유럽에서의 공산주의의 붕괴 외적 요인 : 미국과의 관계 내적ㆍ외적 환경 간의 상호작용 맺음말 제6장 냉전에서 대테러전으로 = 139 머리말 냉전의 종식 탈냉전 세계에 대한 세 이론 탈냉전기의 주요 추세들 맺음말 : 9ㆍ11과 그 이후 제2부 세계정치의 이론 제7장 현실주의 = 169 머리말 : 영속적인 현실주의의 지혜 하나의 현실주의, 아니면 여러 가지? 현실주의의 핵심 맺음말 : 현실주의와 세계정치의 지구화 제8장 자유주의 = 193 머리말 국제관계에 대한 자유주의 사고의 핵심 아이디어 자유주의와 지구화 맺음말 제9장 현대 주류 이론 :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 = 212 머리말 신현실주의 신자유주의 신현실주의-신자유주의 논쟁 지구화에 대한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의 견해 맺음말 : 협소한 국제관계 의제에 대한 유감 제10장 마르크스주의 국제관계이론 = 237 머리말 : 마르크스주의의 계속되는 적실성 마르크스주의 세계정치론의 핵심 요소들 세계체제론 그람시주의 비판이론 신마르크스주의 맺음말 : 마르크스주의 국제관계이론과 지구화 제11장 사회구성주의 = 262 머리말 구성주의의 시작 구성주의의 부상 구성주의 구성주의와 지구적 변화 맺음말 제12장 국제정치이론의 대안적 접근법들 = 283 머리말 설명적ㆍ구성적 이론과 기반적ㆍ반기반적 이론 역사사회학 규범이론 여성주의 이론 탈근대주의 탈식민주의 맺음말 제3부 구조와 과정 제13장 탈냉전기의 국제안보와 지구안보 = 311 머리말 안보의 개념은 무엇인가? 국가안보에 대한 전통적 접근 국가간 협력의 어려움 국가간 협력의 기회 국제안보와 지구안보에 대한 대안적 견해들 국가안보, 국제안보, 지구안보 간의 계속되는 긴장관계 맺음말 제14장 지구화 시대의 국제정치경제 = 338 머리말 전후 세계경제 국제관계 연구에서의 국제정치경제의 부상 국제정치경제에 대한 전통적 접근법들 국제정치경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들 국제정치경제에서의 지구화 논쟁 지구화되는 세계경제에서의 국제제도들 맺음말 제15장 국제법 = 363 머리말 : 국제법의 역설 질서와 제도 근대 국제법 제도 국제법에서 초국가법으로? 이론적 시각 맺음말 제16장 국제레짐 = 381 머리말 레짐의 본질 레짐 형성에 관한 여러 이론들 맺음말 제17장 외교 = 399 머리말 : 외교란 무엇인가? 외교와 세계정치 외교와 대외정책 국가중심적 외교에 대한 도전들 맺음말 제18장 국제연합 = 417 머리말 국제연합의 간략사와 주요 기구들 국제연합과 국제 평화 및 안보의 유지 국제연합과 국내문제 개입 국제연합과 경제ㆍ사회 문제 국제연합의 경제적ㆍ사회적 조직의 개혁과정 맺음말 제19장 지구정치에서의 초국가행위자와 국제기구 = 437 머리말 국가중심 접근법의 문제점 정치행위자로서의 초국가 기업 정치행위자로서의 비합법 집단과 해방운동 정치행위자로서의 비정부기구 지구정치 구조로서의 국제기구 지구정치의 의제와 정책체계 제4부 국제적 쟁점 제20장 환경문제 = 469 머리말 : 국제환경문제 국제적 사안으로서의 환경문제 : 역사적 개관 국제환경정치의 이슈와 도전 환경레짐의 발전과 실행 리우회의와 그 결과 맺음말 제21장 테러리즘과 지구화 = 495 머리말 테러리즘 : 초국가 현상에서 지구적 현상으로(1968~2001) 테러리즘 : 지구화의 영향 지구화, 기술, 그리고 테러리즘 테러리즘과의 전투 맺음말 제22장 핵확산 = 513 머리말 핵무기의 성격과 효과 핵 및 탄도미사일 기술의 지구적 확산 핵확산과 비확산의 이론 지구적 핵 군비통제와 반확산 정책의 발전 맺음말 제23장 민족주의 = 531 머리말 : 민족주의와 지구화 이데올로기로서의 민족주의 운동으로서의 민족주의 민족주의와 국제관계 네 가지 논쟁 맺음말 : 지구화의 결과 - 탈민족주의 시대로 갈 것인가? 제24장 세계문제와 문화 = 549 머리말 : 인간과 문화 지구화 시대의 반혁명가들 문명 차원의 반혁명 : 이슬람의 사례 맺음말 제25장 인도주의 개입과 세계정치 = 565 머리말 인도주의 개입이란 무엇인가? 인도주의 개입 정당화에 대한 반대 인도주의 개입에 대한 연대주의적 옹호론 냉전기의 국가행위 탈냉전기의 인도주의 개입 2001년 9월 11일 이후의 인도주의 개입 지구화와 비강제적 인도주의 개입 맺음말 제26장 유럽통합과 지역협력 = 589 머리말 유럽통합 : 조약에서 헌법까지 유럽통합의 개념화 유럽통합의 지구적 맥락 지구적 현상으로서의 지역협력 맺음말 제27장 지구무역과 금융 = 607 머리말 지구화 경제 지구무역 지구금융 경제적 지구화에서의 연속성과 변화 맺음말 제28장 커뮤니케이션과 인터넷 혁명의 원인과 결과 = 629 머리말과 역사적 배경 지구화, 인터넷, 월드와이드웹 혁명 지구화의 동인 정보혁명이 국제관계와 제도에 미친 영향 안보,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파급효과 정보혁명 시대의 거버넌스 맺음말 제29장 빈곤, 발전, 기아 = 653 머리말 빈곤 발전 기아 맺음말 : 미래의 전망 - 인간의 얼굴을 가진 지구화? 제30장 젠더문제 = 679 머리말 국제정치의 젠더화 페미니즘 지구정치경제에서의 젠더 젠더, 민족주의, 군국주의 젠더문제의 지구화 맺음말 제31장 인권 = 700 머리말 권리 일반에 관하여 인권에 관한 현대 자유주의적 종합 1948년 세계인권선언과 현대적 의제 인권 증진의 정치학 보편주의에 대한 도전 맺음말 제5부 미래의 지구화 제32장 지구화와 정치공동체의 변화 = 719 머리말 : 정치공동체란 무엇인가? 민족주의와 정치공동체 공동체와 시민권 정치공동체 본질의 변화 새로운 형태의 정치공동체가 지니는 위험성? 맺음말 제33장 지구화와 탈냉전 질서 = 737 머리말 질서 유형 현대 질서의 구성요소 지구화와 냉전의 종식 지구화와 정통성 지구화된 국가의 국제질서? 맺음말 감사의 말 = 757 제3판 번역의 말 = 758 제2판 번역의 말 = 759 집필진 소개 = 766 참고문헌 = 775 용어해설 = 801 찾아보기 = 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