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설 PTㆍOT와 노년학의 관계 = 1
A. 노년학이란? = 1
B. 고령자의료에서의 재활치료의 역할 = 1
제Ⅰ부 고령과 노화
제1장 노화와 노년병 = 5
A. 노화란? = 5
1. 노화의 정의 = 6
2. 노화에 관한 학설 = 6
3. 노화의 제어 = 7
B. 고령에 의한 생리기능의 저하와 질병 = 7
1. 신체기능의 변화 = 7
2. 생리적 노화와 병적 노화 = 8
C. 고령자의 정의와 분류 = 9
D. 노년질환의 성립-노년증후군과 기능평가 = 9
1. 노년질환 = 9
2. 고령자의 종합적 기능평가 = 10
3. 노년 증후군이란? = 10
E. 물리ㆍ작업치료와의 연관성 = 11
제2장 연령증가에 따른 변화 : 생리기능(형태적 변화 포함) = 13
A. 고령자 생리기능의 특징 = 13
B. 연령증가에 따른 감각기능의 변화 = 14
1. 시각 = 14
2. 청각 = 15
3. 미각 = 16
4. 후각 = 16
5. 피부감각 = 16
C. 연령의 증가에 따른 자율기능의 변화 = 16
1. 순환기능 = 17
2. 호흡기능 = 18
3. 소화흡수 기능 = 18
4. 배뇨기능 = 19
5. 체온조절기능 = 20
6. 면역기능 = 20
7. 내분비기능 = 21
D. 연령의 증가에 따른 고차신경기능의 변화 = 22
1. 신경세포 수 = 22
2. 전달물질 = 23
3. 신경성장인자 (NGF) = 24
4. 뇌파 = 24
5. 수면과 각성 = 25
E. 물리ㆍ작업치료와의 연관성 = 25
제3장 연령증가에 따른 변화 : 운동기능 = 27
A. 고령자의 운동기능 = 27
B. 운동기능 변화 = 27
1. 신경계 = 27
2. 근력 = 28
3. 연령증가에 따른 기능별 변화 = 30
C. 물리ㆍ작업치료와의 연관성 = 32
제4장 연령증가에 따른 변화 : 정신심리학 = 35
A. 지능발달 = 35
1. 지능에 관한 연구의 진보 = 35
2. 결정성 지능과 유동성 지능 = 36
B. 연령증가(가령; 加齡)에 따른 기억의 변화 = 37
1. 기억 = 37
2. 에피소드 기억과 의미 기억 = 37
C. 인격 = 38
1. 인격 발달 = 38
2. 노년기 인격의 특징 = 39
D. 노년기의 창의성 = 41
1. 창의성의 발달 = 41
2. "백조의 노래 현상" = 41
E. 물리ㆍ작업치료와의 연관성 = 42
제Ⅱ부 고령자에게 특징적인 증후와 질환
제5장 고령자에게 많은 징후와 노년증후군 = 45
A. 노년증후군의 개념 = 45
B. 대표적 노년증후군 = 46
1. 의식장애 = 46
2. 탈수 = 49
3. 통증 = 52
4. 어지럼증과 전도 = 60
5. 배뇨장애 = 64
6. 시력장애 = 67
7. 청각장애 = 69
8. 불면 = 71
C. 물리ㆍ작업치료와의 연관성 = 73
제6장 순환기 질환 = 75
A. 울혈성 심부전 = 75
1. 정의와 병인 = 75
2. 병태와 증상 = 75
3. 진단과 중증도 평가 = 76
4. 치료 = 78
B. 허혈성 심질환 = 78
1. 정의 및 병인 = 78
2. 병태 = 78
3. 증상 = 79
4. 진단 = 79
5. 치료 = 79
C. 뇌혈관 장애 = 80
1. 일과성 뇌허혈발작 = 80
2. 뇌출혈 = 80
3. 지주막하 출혈 = 81
4. 뇌경색 = 81
5. 혈관성 치매 = 82
D. 혈압이상(고혈압, 저혈압) = 82
1. 고혈압 = 82
2. 저혈압 = 84
E. 부정맥 = 85
1. 병인과 증상 = 85
2. 검사와 진단 = 85
3. 고령자에 많은 부정맥의 특징과 치료 = 86
F. 판막증 = 87
1. 대동맥판 폐쇄부전(AR) = 87
2. 승모판 폐쇄부전(MR) = 87
3. 대동맥판 협착(AS) = 88
4. 승모판 협착(MS) = 88
G. 심근, 심막질환 = 89
1. 심근증 = 89
2. 심근염 = 89
3. 심막염 = 88
H. 고령자의 혈관질환 = 90
1. 대동맥 질환 = 90
2. 말초혈관 질환 = 91
I. 물리ㆍ작업치료와의 연관성 = 92
제7장 호흡기 질환 = 95
A. 호흡기 감염증 = 95
1. 급성 상기도염과 급성 기관지염 = 95
2. 폐렴 = 96
3. 특수한 폐렴 = 99
4. 폐결핵 = 100
5. 비정형 항산균증 = 102
B. 연하장애 및 흡인성 폐렴 = 102
1. 흡인성 폐렴의 기작 = 102
2. 흡인성 폐렴 = 103
C. 폐암 = 104
1. 분류 = 104
2. 증상 = 104
3. 진단 = 105
4. 치료 = 105
D. 폐쇄성 폐질환 = 106
1.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 106
2. 만성 폐기종 = 107
3. 만성 기관지염 = 109
4. 기관지 천식 = 110
5. 미만성 범세기관지염(DPB) = 112
E. 간질성 폐렴(interstitial pneumonitis) = 112
1. 병인과 병태 = 113
2. 증상과 진단 = 113
3. 치료 = 114
F. 물리ㆍ작업치료와의 연관성 = 114
제8장 소화기 질환 = 117
A. 고령자의 소화기암 = 117
1. 식도암 = 117
2. 위암 = 119
3. 대장암 = 120
4. 간세포암(간암) = 121
5. 담도암 = 122
6. 췌장암 = 123
B. 상부소화관 질환 = 124
1. 역류성 식도염 = 124
2. 위ㆍ십이지장궤양 = 125
C. 장 질환 = 126
1. 염증성 장질환 = 126
2. 허혈성 장염 = 127
D. 간 질환 = 128
1. 고령자 급성간염의 특징 = 128
2. 고령자의 만성간염ㆍ간경화 = 128
3. 약물성 간장애 = 129
E. 담도, 췌장 질환 = 130
1. 담석증 = 130
2. 담도 감염증(담낭염, 담관염) = 130
3. 고령자의 급성 췌장염 = 131
4. 고령자의 만성 췌장염 = 132
F. 물리ㆍ작업치료와의 연관성 = 133
제9장 골격계 질환 = 135
A. 골다공증(Osteoporosis) = 135
1. 정의 = 135
2. 분류 = 136
3. 병태 = 137
4. 진단 = 138
5. 치료 = 140
B. 변형성 관절증 = 143
1. 연령증가에 따른 관절의 변화와 변형성 관절증의 병태 = 143
2. 변형성 척추증 = 144
3. 변형성 슬관절증 = 145
4. 변형성 고관절증 = 146
C. 후종인대 골화증(OPLL) = 147
1. 병인과 병태 = 147
2. 진단 = 148
3. 치료 = 148
D. 고령자의 관절류마티스 = 149
1. 병태와 증상 = 149
2. 치료 = 149
E. 물리ㆍ작업치료와의 연관성 = 150
제10장 정신신경 질환 = 151
A. 정신ㆍ신경기능의 노화 = 151
B. 노인성 치매 = 151
1. 치매란? = 152
2. 치매의 감별 = 152
3. 치매의 정신증상과 행동이상 = 153
4. Alzheimer병 = 153
5. 치매환자 대응법 = 157
C. 우울증 = 158
1. 노년기 우울증의 특징 = 158
2. 노년기 우울증의 치료 = 160
D.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 162
1. 병인과 병태 = 162
2. 빈도 = 162
3. 증상 = 163
4. 치료 = 164
E. 다계통 위축증과 자율신경장애 = 164
1. 유전성 척수소뇌 변성증 = 164
2. 산발적 발생의 척수소뇌 변성증 = 165
F. 말초신경장애 = 167
1. 압박으로 인한 말초신경장애 = 167
2. 다발성 신경염 = 168
제11장 내분비대사 질환 = 169
A. 당뇨병 = 169
1. 병인과 분류 = 169
2. 진단 = 171
3. 증상 = 172
4. 합병증 = 172
5. 검사 = 174
6. 치료 = 174
7. 저혈당 = 175
B. 고지혈증 = 176
1. 혈청지질과 리포단백 = 176
2. 진단 = 176
3. 병인과 종류 = 177
4. 증상 = 178
5. 치료 = 178
C. 갑상선 질환 = 179
1. 갑상선기능 항진증 = 179
2. 갑상선기능 저하증 = 180
3. 갑상선 종양 = 182
D. 통풍 = 183
1. 병인과 분류 = 183
2. 증상 = 183
3. 진단과 검사 = 183
4. 치료 = 184
E. 물리ㆍ작업치료와의 연관성 = 184
제12장 혈액, 면역 질환 = 187
A. 빈혈 = 187
1. 고령자 빈혈증의 기준치 = 187
2. 고령자 빈혈의 특징 = 188
3. 고령자에게 나타나는 중요한 빈혈 = 188
B. 백혈병과 골수이형성 증후군 = 190
1. 급성골수성백혈병(AML) = 191
2. 골수이형성증후군(MDS) = 191
C.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 = 191
1. 병태 = 191
2. 분류와 진단 = 192
D. 교원병(Collagen diseases) = 192
1. 전신성 홍반성 루프스(SLE) = 193
2. 진행성 전신성 경피증(PSS) = 194
3. 다발성 근염(PM), 피부근염(DM) = 194
4. 쇼그렌 증후군 = 195
5. 혼합성 결합조직병(MCTD) = 195
6. 결절성 다발동맥염(PN) = 195
7. 측두동맥염 = 195
8. 류마티스성 다발성 근육통(PMR) = 196
E. 물리ㆍ작업치료와의 연관성 = 196
제13장 신장 및 비뇨기질환 = 199
A. 신부전 = 199
1. 고령자 신부전의 임상적 의의 = 199
2. 진단기준과 병기분류 = 200
3. 신부전의 기초질환 = 201
4. 증상과 진단 = 203
5. 고령자의 신부전 대응방침 = 204
B. 요로감염증 = 205
1. 병인 = 205
2. 증상 = 205
3. 치료 = 206
C. 전립선 질환 = 206
1. 전립선 비대증 = 206
2. 전립선암 = 206
3. 기타 전립선질환 = 207
D. 물리ㆍ작업치료와의 연관성 = 207
제14장 피부, 구강질환 = 209
A. 피부질환 = 209
1. 고령자 피부질환의 특징 = 209
2. 욕창 = 209
3. 가려움증이 있는 질환 = 210
4. 감염증 = 212
5. 피부 양성종양 = 213
6. 악성피부종양 및 전구병변 = 213
B. 구강질환 = 214
1. 고령자 구강질환의 특징 = 214
2. 고령자의 구강상태 = 215
3. 고령자의 구강질환 = 215
C. 물리ㆍ작업치료와의 연관성 = 217
제15장 감염증 = 219
A. 고령자 감염증의 원인과 특징 = 219
1. 고령자에게 쉽게 감염이 일어나는 원인 = 219
2. 고령자 감염증의 특징 = 220
B. 진단의 진행방법 = 220
1. 진단의 포인트 = 220
2. 문진 = 221
3. 신체소견 = 221
4. 검사소견 = 221
C. 치료상 유의점 = 222
D. 장기별 감염증의 특징 = 223
1. 호흡기 감염증 = 223
2. 요로 감염증 = 223
3. 담도 감염증 = 223
4. 감염성 장염 = 223
5. 혈관 유치 카테터 감염증 = 224
E. 원내감염의 대책과 MRSA = 224
1. MRSA란? = 224
2. 원내감염 대책 = 224
F. 물리ㆍ작업치료와의 연관성 = 226
제Ⅲ부 고령자와 접하기
제16장 고령자와의 접촉 = 229
A. 개요 = 229
B. 의료종사자의 자세 = 230
1. 초진환자에 대한 문제점 파악 = 230
2. 입원시 설명 = 231
3. 입원환자에 대한 주의점 = 232
C. 환자와 가족과의 연계 = 233
1. 치료 동의서 = 233
2. 존엄사 = 233
3. 비밀준수의 의무 = 234
4. 치매를 동반한 고령자와의 접촉 = 235
D. 물리ㆍ작업치료와의 연관성 = 235
제17장 고령자의 기능평가 = 237
A. 고령자의 기능평가의 의의 = 237
B. 일상생활 활동도의 평가 = 238
1. 기본적 일상생활활동도(BADL) = 238
2. 수단적 일상생활활동도(IADL) = 245
3. 종합적 ADL검사 = 245
C. 지적기능의 평가 = 251
1. 지적기능의 판정기준 = 251
2. 대표적 간이지능 평가방법 = 251
D. QOL의 평가 = 259
1. 일반적인 QOL 평가방법 = 260
2. 질환별 QOL 평가방법 = 262
3. 질환환자의 행동관찰에 의한 QOL 평가 = 262
4. 개호자, 서비스이용, 사회환경에 관한 QOL = 265
E. 평가의 사용방법의 실제 = 267
제18장 고령자의 퇴원지원 = 271
A. 고령자에 있어서 퇴원지원의 필요성 = 271
1. 퇴원지원이란 무엇인가? = 271
2. 어떤 사람에게 필요한가? = 272
3. 어떻게 퇴원지원을 행할 것인가? = 272
B. 개호보험하의 퇴원지원 = 275
1. 개호보험의 구조 = 275
2. 케어플랜의 작성 = 276
C. 물리ㆍ작업치료와의 연관성 = 276
제Ⅳ부 고령자를 둘러싼 환경
제19장 고령자의 정의 및 인구동태 = 281
A. 고령자의 정의 = 281
1. 나이로 본 고령자의 정의 = 281
2. 고령자 정의에 대한 시대변화 = 282
3. 생물학적 나이 = 283
B. 세계와 일본에 있어서의 인구동태 = 283
1. 인구통계 = 283
2. 인구의 고령화 = 284
3. 고령자의 사망원인 = 288
C. 물리ㆍ작업치료와의 연관성 = 290
제20장 사회학ㆍ경제학에서 본 고령사회 = 291
A. 고령사회의 문제란? = 291
B. 생산인구는 감소하는가? = 291
C. 고령자의 생산능력은 충분한가? = 293
D. 고령자의 건강도의 분포 = 293
E. 가장 중요한 세대간의 문제 = 295
F. 물리ㆍ작업치료와의 연관성 = 296
제21장 고령자 의료, 간호, 개호ㆍ복지 보건 = 297
A. 의료 = 297
1. 고령자 의료의 특징 = 297
2. 고령자 의료 각론 = 301
B. 간호 = 303
1. 노인간호에 대해 = 303
2. 방문간호 = 305
C. 개호와 복지 = 307
1. 개호 = 307
2. 복지 = 307
D. 물리ㆍ작업치료와의 연관성 = 310
제22장 고령자의 재활치료 = 311
A. 고령자의 재활치료에 대한 개념 = 311
1. 질병 이전의 활동성 = 311
2. 질병의 중증도와 예후 = 312
3. 기능장애의 평가 = 313
4. 기능저하의 정도 = 313
5. 사회적 불이익 = 313
6. 환자나 가족의 요구 = 313
7. 가족 및 가옥상태 = 314
8. 목표 = 314
B. 물리치료 = 314
1. 물리치료란? = 314
2. 운동요법 = 315
3. 물리치료 = 318
C. 작업치료 = 321
1. 작업치료란? = 321
2. 작업치료를 위한 평가 = 322
3. 고령자의 작업치료 = 323
D. 언어치료 = 328
1. 언어장애의 종류 = 329
2. 실어증의 분류 = 330
3. 실어증의 치료 = 331
D. 물리ㆍ작업치료와의 연관성 = 333
노년학 Q&A = 335
찾아보기 = 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