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번역학 입문 : 이론과 적용

번역학 입문 : 이론과 적용 (12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Munday, Jeremy 정연일 , 역 남원준 , 역
서명 / 저자사항
번역학 입문 : 이론과 적용 / Jeremy Munday 지음 ; 정연일, 남원준 옮김.
발행사항
서울 :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   2006.  
형태사항
xiii, 303 p. ; 25 cm.
원표제
Introducing translation studies : theories & applications.
ISBN
8974644053
서지주기
참고문헌: p.285-294.
000 00776camccc200265 k 4500
001 000045246193
005 20100807043258
007 ta
008 060328s2006 ulk b AU 001c kor
020 ▼a 8974644053
035 ▼a (KERIS)BIB000010323864
040 ▼a 21105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418.02 ▼2 22
090 ▼a 418.02 ▼b 2006c
100 1 ▼a Munday, Jeremy ▼0 AUTH(211009)142393
245 1 0 ▼a 번역학 입문 : ▼b 이론과 적용 / ▼d Jeremy Munday 지음 ; ▼e 정연일, ▼e 남원준 옮김.
246 1 9 ▼a Introducing translation studies : theories & applications.
260 ▼a 서울 : ▼b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 ▼c 2006.
300 ▼a xiii, 303 p. ; ▼c 25 cm.
504 ▼a 참고문헌: p.285-294.
700 1 ▼a 정연일 , ▼e▼0 AUTH(211009)88512
700 1 ▼a 남원준 , ▼e▼0 AUTH(211009)36467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8.02 2006c 등록번호 111359512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16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8.02 2006c 등록번호 11135951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중요 번역 이론을 11개 장으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소개하고, 각 이론을 실제 텍스트에 적용한 후 그 장단점을 비교해 본다. 영어, 불어, 독어, 서반아어, 이태리어, 펀자브어, 포르투갈어 등 다양한 언어와 관광 브로슈어, 어린이 요리책, 해리 포터 소설, 성서(聖書), 문학 평론(評論), 역자 서문, 영화 번역, 전문 기술 번역, 유럽 의회 연설문까지 폭넓은 텍스트 타입을 다룬다.

추천 문헌과 방문할 만한 인터넷 사이트 등 유용한 정보를 덧붙여, 최근 번역학의 이론적 동향과 연구 추세는 물론, 향후 연구를 위한 비전을 얻을 수 있도록 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Jeremy Munday(지은이)

영국 University of Surrey 번역학 연구 센터 부소장이다. 캠브리지 대학교에서 현대 언어학을 전공하고, University of Bradford에서 번역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University of Surrey 서반아어-영어 번역 교수로 재직했고, UNESCO 프리랜서 번역자, 중남미 문학 작품 번역가로 활동했다.

남원준(옮긴이)

한국 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을 졸업한 전문 통.번역사(영어,스페인어)이다. SBS <그것이 알고 싶다>의 외국취재물,'토요일 밤의 미스터리-미 군무원 박춘희 씨의 죽음' 외 여러 편의 자막을 번역했으며, KBS다큐멘터리 <뇌>, <컴덱스 2000> 등을 영어로 옮겼다. 2002년 월드컵 축구대회 조직위원회 국제미디어센터의 수석 통.번역사로 활동하기도 했다.

정연일(옮긴이)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영과를 졸업하고,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한영과 조교수로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역자 서문 = ⅰ
역자 일러두기 = ⅲ
감사의 글 = ⅴ
저자 서문 = ⅶ
제1장 번역학의 주요 관심 주제 = 1
  1.1 번역의 개념 = 2
  1.2 번역학이란 무엇인가 = 3
  1.3 번역학의 약사 = 6
  1.4 Holmes/Toury의 '도해(圖解, Map)' = 9
  1.5 1970년대 이후의 발전 = 15
  1.6 본서의 목표 및 장(章) 구성 = 17
제2장 20세기 이전의 번역 이론 = 20
  2.0 개요 = 21
  2.1 '단어 對 단어'인가 '의미 對 의미'인가? = 22
  2.2 Martin Luther = 25
  2.3 충실성, 정신, 진리 = 28
  2.4 번역 이론 체계화의 초기적 시도:Dryden, Dolet, Tytler = 29
  2.5 Schleiermacher와 이국성의 존중 = 33
  2.6 19~20세기 초 영국의 번역 이론 = 35
  2.7 현대 번역 이론 = 36
제3장 등가 및 효과의 등가(equivalence and equivalent effect) = 44
  3.0 개요 = 45
  3.1 Roman Jakobson:언어적 의미(linguistic meaning)와 등가의 특성 = 45
  3.2 Nida와 '번역 과학(the science of translating)' = 48
  3.3 Newmark:어의적(semantice) 번역과 소통적(communicative) 번역 = 57
  3.4 Koller:대응(Korrespondenz)과 등가( A ·· quivalenz) = 60
  3.5 등가에 관한 이후의 연구 = 63
제4장 번역 변이(translation shift) = 71
  4.0 개요 = 72
  4.1 Vinay and Darbelnet의 모델 = 79
  4.2 Catford와 번역 '변이(shift)' = 82
  4.3 번역 변이에 대한 체코슬로바키아 학자들의 연구 = 84
  4.4 van Leuven-Zwart의 비교기술론적 번역 변이(comparative-descriptive) 모델 = 96
제5장 기능주의 번역 이론(functional theories of translation) = 97
  5.0 개요 = 97
  5.1 텍스트 타입(text type) = 97
  5.2 번역 행위 = 103
  5.3 스코포스 이론 = 106
  5.4 번역 지향적 텍스트 분석(translation-oriented text analysis) = 110
제6장 담화 분석 및 어역 분석(discourse and register analysis) = 121
  6.0 개요 = 122
  6.1 Halliday의 언어와 담화 모델(model of language and discourse) = 122
  6.2 House의 번역 품질 평가(TQA: Translation Quality Assessment) 모델 = 124
  6.3 Baker의 텍스트-화용론 층위 분석(text and pragmatic level analysis): 번역자를 위한 교재 In Other Words = 129
  6.4 Hatim and Mason:맥락과 담화의 기호론적 층위(semiotic level of context and discourse) = 136
  6.5 담화 분석과 어역 분석에 대한 비판 = 139
제7장 시스템 이론 = 150
  7.0 개요 = 151
  7.1 폴리시스템 이론(polysystem theory) = 151
  7.2 Toury와 기술론적 번역학 = 155
  7.3 Chesterman의 번역 규범 = 165
  7.4 또 하나의 기술론적 번역학의 모델: Lambert and van Gorp와 조작 학파 = 167
제8장 문화학적 번역학(cultural-studies-oriented translation) = 178
  8.0 개요 = 179
  8.1 개작(改作)으로서의 번역(translation as rewriting) = 180
  8.2 번역과 젠더 연구(gender studies) = 186
  8.3 탈식민주의 번역 이론(postcolonial translation theory) = 189
  8.4 학자들의 이데올로기 = 197
제9장 이국성의 번역과 번역의 '불가시성'('invisibility' of translation) = 205
  9.0 개요 = 206
  9.1 Venuti:번역의 문화적ㆍ정치적 아젠다(cultural and political agenda) = 206
  9.2 문학 번역자들은 자신의 작품에 대해 무엇을 어떻게 말하는가? = 217
  9.3 출판업계의 권력망(power network) = 219
  9.4 Venuti의 연구에 대한 고찰 = 221
  9.5 번역의 수용과 비평 = 224
제10장 철학적 번역론(philosophical theories of translation) = 232
  10.0 개요 = 232
  10.1 Steiner의 해석적 운동(hermeneutic motion) = 233
  10.2 Ezra Pound와 언어의 활력(the energy of language) = 240
  10.3 번역가의 과업: Benjamin = 242
  10.4 해체(deconstruction) = 244
제11장 번역학의 학제성(translation studies as an interdiscipline) = 258
  11.0 개요 = 258
  11.1 독립 학문인가, 학제적 학문인가, 하위 학문인가? = 259
  11.2 Snell-Hornby의 '통합적 접근법(integrated approach)' = 261
  11.3 학제적 접근(interdisciplinary approach) = 266
  11.4 전망:번역학은 통합하는가 분화하는가? = 271
방문할 만한 인터넷 사이트 = 280
각주 = 281
참고 문헌 = 285
색인 = 29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