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The object and importance of the research) = 1
제1절 연구의 목적(Object) = 1
제2절 필요성 및 연구의 범위(Necessity and scope of the research) = 3
1. 연구의 필요성(Necessity of this study) = 3
2. 연구의 범위(Scope of this study) = 7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Technical trends) = 9
제1절 개요(Outlines) = 9
제2절 연구 현황(The state of art) = 12
1. 국외의 경우(Foreign case) = 12
2. 국내의 경우(Domestic case) = 16
제3절 국내·외 관련분야에 대한 기술개발현황(Technical trends) = 20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Experimental results and discussion) = 23
제1절 서론(Introduction) = 23
1. 연구의 접근법(Approaches and challenges) = 23
2. 연구 내용 및 범위(Contents and scope of the research) = 25
제2절 Er 이온이 도입된 무/유기 나노 하이브리드 제조 및 특성(The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Er doped inorganic/organic nanohybrids) = 27
1. Er 이온이 도입된 ZrO₂/alkylsiloxane 나노 하이브리드 제조 및 특성(Er doped ZrO₂/alkylsiloxane nanohybrids) = 27
2. Er 이온이 도입된 ZnO/alkylsiloxane 나노 하이브리드 제조 및 특성(Er doped ZnO/alkylsiloxane nanohybrids) = 42
제3절 Er(Yb)-R.EPO₄(R.E=La, Y, Gd)계 무-유기 나노 하이브리드 소재의 제조 및 특성(The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nanocomposites including Er(Yb)-R.EPO₄(R.E=La, Y, Gd) nanoparticles) = 52
1. Er(Yb)-R.EPO₄(R.E=La, Y, Gd) 나노입자의 합성과 발광특성(The preparation and luminescence of Er(Yb)-R.EPO₄(R.E=La, Y, Gd) nanoparticles) = 52
2. Er(Yb)-R.EPO₄(R.E=La, Y, Gd) 나노입자를 포함한 나노 복합체 제조 및 특성(The nanocomposites including Er(Yb)-R.EPO₄(R.E=La, Y, Gd) nanoparticles) = 86
제4절 Er 이온 함유 졸-겔 코팅막 제조 및 특성(The deposition of Er doped sol-gel films on Si) = 100
1. Er 이온이 도입된 Al₂O₃-SiO₂ 코팅막 제조 및 특성(Er doped Al₂O₃-SiO₂ sol-gel films on Si) = 100
2. 변형 졸-겔 공정을 이용한 Er 이온이 도입된 Al₂O₃-SiO₂ 코팅막 제조 및 특성(Er doped Al₂O₃-SiO₂ films prepared by modified sol-gel process) = 122
3. Er-Zr 복합 알콕사이드를 이용한 Er 이온이 도입된 ZrO₂-SiO₂ 코팅막 제조 및 특성(Er doped ZrO₂-SiO₂ films prepared from Er-Zr double alkoxide) = 135
제5절 EDWA용 희토류 금속 화합물 합성(The synthesis of rare earth complexes for EDWA) = 145
1. 희토류 금속 알콕사이드 합성(The synthesis of rare earth alkoxides) = 145
2. 복합 금속 알콕사이드 합성 및 Er 화합물이 도입된 PMMA 필름 제조 및 특성(Er double alkoxides and PMMA films incorporated by its) = 149
3. 불소 치환 리간드를 가진 복합 금속 Er 화합물 합성 및 특성(Humidity stable Er double complexes having F-substituted ligand) = 156
제6절 광도파로용 저손실 매질 합성(The synthesis of low loss matrix for optical waveguide) = 158
1. 무/유기 하이브리드 졸-겔 소재(The synthesis of Inorganic/organic sol-gel hybrids) = 158
2. 불소 치환 고분자 소재(The synthesis of F-substituted polymer) = 171
제7절 화합물 반도체 나노 입자의 합성(The synthesis of colloidal semiconductor quantum dots) = 189
1. InP 나노 입자의 제조(The synthesis of InP nanoparticles) = 189
2. PbSe 나노 입자의 제조(The synthesis of PbSe nanoparticles) = 194
제8절 평면 도파로형 광소자 개발(The fabrication of planar optical devices from nanocomposites) = 203
1. 평면 도파로형 광소자의 광특성 측정 시스템 개발(Set-up of optical characterization system) = 203
2. EDWA 전산 모사 프로그램 개발(The development of simulation program for EDWA) = 226
3. 나노 복합소재를 이용한 평면도파로형 광증폭기 시작품 제조(The fabrication of prototype EDWA) = 231
4. PbSe 양자점을 이용한 광대역 광원 연구 및 박막 특성 고찰(The deposition of colloidal PbSe based thin films for broadband light sources) = 237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The evaluation of achievements, and contribution in this area) = 247
제1절 연도별 연구목표 및 평가착안점에 입각한 연구 개발 목표의 달성도(Annual achievement) = 247
제2절 관련 분야의 기술 발전에의 기여도(The contribution of the related societies) = 249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Plans and suggestions) = 250
제1절 연구 결과의 의의(The significance of the results) = 250
제2절 연구 결과의 활용 계획(Future plans) = 250
제3절 연구 결과의 파급 효과(The expected effects) = 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