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보육학개론

보육학개론 (Loan 1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경회
Title Statement
보육학개론 = Introduction to child care & education / 김경회 [외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창지사 ,   2006.  
Physical Medium
395 p. : 삽도 ; 26 cm.
ISBN
8942603912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77-389), 색인수록
000 00566namccc200205 k 4500
001 000045244548
005 20100807041217
007 ta
008 060405s2006 ulka b 001a kor
020 ▼a 8942603912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2.21 ▼2 22
090 ▼a 372.21 ▼b 2006
245 0 0 ▼a 보육학개론 = ▼x Introduction to child care & education / ▼d 김경회 [외저].
260 ▼a 서울 : ▼b 창지사 , ▼c 2006.
300 ▼a 395 p. : ▼b 삽도 ; ▼c 26 cm.
504 ▼a 참고문헌(p. 377-389), 색인수록
700 1 ▼a 김경회 ▼0 AUTH(211009)96853
945 ▼a KIN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2.21 2006 Accession No. 11135856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2.21 2006 Accession No. 11135856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72.21 2006 Accession No. 15120961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2.21 2006 Accession No. 11135856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2.21 2006 Accession No. 11135856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72.21 2006 Accession No. 15120961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 책은 보육 교사 교육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보육학에 대한 개론서이다. 대학의 보육 교사 양성 관련 학과에서 강의를 하고 있으며 영유아 보육에 남다른 관심과 애정을 갖고 있는 지인들의 뜻을 모아 학생들이 보육학에 대한 기본 개념을 정립하고 미래 보육에 대한 비전을 가질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에서 이 책을 집필하게 되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경회(지은이)

∙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학과 졸업 ∙ 연세대학교 대학원 가정학 석사(아동학전공) ∙ 연세대학교 대학원 철학박사(아동학전공) ∙ 김천대학 유아교육과 교수 ∙ 김천대학 부속유치원 원장 ∙ 신흥유치원 원장 ∙ 신한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등 역임 [저서] 유아문학교육, 아동과 환경, 보육학개론, 보육과정, 현장관찰 및 실습, 영유아발달과 교육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Chapter 1 보육의 이해 = 11
 1. 보육의 개념 = 13
  1) '보육' 용어 = 13
  2) 보육 개념의 체제적 접근과 본질적 접근 = 14
  3) 전통적 개념과 현대적 개념 = 18
  4) 우리나라 보육 개념의 역사적 변천 = 20
  5) 새로운 용어의 필요성 = 22
 2. 보육의 본질 = 23
  1) 전문 양육으로서의 보육 = 23
  2) 타인의 양육으로서의 보육 = 24
  3) 보육 개념의 구성 요소: 보호ㆍ양육, 발달, 교육 = 25
  4) 보육의 생태학적 접근 관계 = 26
  5) 다각적 차원에서의 보육의 질 = 27
 3. 보육의 필요성 = 30
  1) 보육ㆍ교육 서비스 이용 실태 = 30
  2) 보육 수요 및 필요성 = 33
 4. 보육에 관한 세계적 흐름 = 35
Chapter 2 주요 국가의 보육 역사 및 현황 = 37
 1. 미국 = 40
  1) 보육의 역사 = 40
  2) 보육 현황 = 42
 2. 영국 = 46
  1) 보육의 역사 = 46
  2) 보육 현황 = 48
 3. 프랑스 = 52
  1) 보육의 역사 = 52
  2) 보육 현황 = 53
 4. 스웨텐 = 57
  1) 보육의 역사 = 57
  2) 보육 현황 = 58
 5. 일본 = 62
  1) 보육의 역사 = 62
  2) 보육 현황 = 63
 6. 한국의 보육 역사 = 67
Chapter 3 발달과 보육 = 71
 1. 발달의 기초 = 73
  1) 발달의 개념 및 단계 = 73
  2) 발달의 원리 = 73
  3) 발달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 = 75
 2. 발달 영역 = 75
  1) 신체 발달 = 75
  2) 인지 발달 = 80
  3) 언어 발달 = 82
  4) 사회성 발달 = 85
  5) 정서 발달 = 93
 3. 보육과 발달 = 94
Chapter 4 다양한 유형의 영유아보육과정 = 97
 1. 표준보육과정 = 99
  1) 표준보육과정의 개발 배경과 기본 원리 = 99
  2) 표준보육과정의 목표와 내용 범주 = 100
 2. 영유아 보육을 위한 다양한 접근법 = 102
  1) 프로젝트 접근법 = 102
  2)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 107
  3) 발도르프 교육 = 114
  4) 생태유아교육 = 121
Chapter 5 건강ㆍ영양ㆍ안전 = 127
 1. 건강 관리 = 129
  1) 건강 관리의 기초 = 129
  2) 건강 관찰 및 검진 = 131
  3) 질병 관리 = 134
  4) 위생 관리 = 137
  5) 건강 지도 = 139
 2. 영양 관리 = 141
  1) 영양 관리의 기초 = 141
  2) 영양 교육과 식생활 지도 = 147
  3) 급식 관리 = 149
 3. 안전 관리 = 152
  1) 영유아의 특성과 안전 사고 = 152
  2) 보육시설 안전 관리 = 154
  3) 영유아 안전 교육 = 158
  4) 응급처치와 심폐소생술 = 160
Chapter 6 부모참여 = 257
 1. 부모참여의 개념 = 259
 2. 부모참여의 중요성 = 260
  1) 유아 = 261
  2) 부모 = 262
  3) 교사 = 263
 3. 부모참여의 형태 = 264
  1) 부모참여의 유형 = 265
  2) 부모참여 모델 = 268
 4. 부모-교사 간의 의사 소통 = 269
  1) 형식적 방법 = 271
  2) 비형식적 방법 = 277
 5. 부모참여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 278
  1) 부모참여의 문제점 = 278
  2) 부모참여의 활성화 방안 = 280
Chapter 7 보육 평가 = 285
 1. 평가의 개념과 의의 = 287
 2. 평가의 목적 및 필요성 = 289
 3. 대상별 평가 = 290
  1) 영유아 평가 = 290
  2) 교사 평가 = 297
  3) 부모 평가 = 301
  4) 보육 프로그램 평가 = 302
  5) 보육시설 평가 = 303
 4. 평가 결과의 적용 = 310
Chapter 8 특수 보육 = 311
 1. 영아 전담 보육 = 313
  1) 영아 보육의 개념과 필요성 = 314
  2) 영아 보육 프로그램의 영향과 내용 = 315
  3) 영아 보육의 문제점 및 발전 방안 = 316
 2. 장애아 전담 보육 = 317
  1) 장애아 보육의 개념 및 제도 = 318
  2) 외국의 장애아 보육 = 320
  3) 장애아 보육의 문제점 및 발전 방안 = 322
 3. 장애아 통합 보육 = 323
  1) 장애아 통합 보육의 의미 = 323
  2) 장애아 통합 보육의 중요성 = 325
  3) 장애아 통합 보육의 효과 = 326
  4) 장애아 통합 보육의 구성 요소 및 기본 방향 = 328
  5) 장애아 통합 보육의 문제점 및 발전 방안 = 330
 4. 방과후 보육 = 331
  1) 방과후 보육의 개념 = 331
  2) 방과후 보육의 필요성 = 332
  3) 방과후 보육 프로그램의 목표와 일과 운영 = 333
  4) 외국의 방과후 보육 = 334
  5) 방과후 보육의 문제점 및 발전 방안 = 335
 5. 시간 연장ㆍ휴일 보육 = 336
  1) 시간 연장ㆍ휴일 보육의 필요성 = 337
  2) 시간 연장ㆍ휴일 보육 프로그램 = 338
  3) 시간 연장ㆍ휴일 보육의 문제점 및 발전 방안 = 338
 6. 부모 협동 보육 = 339
  1) 부모 협동 보육의 의미 = 339
  2) 부모 협동 보육의 특성 및 환경 구성 = 341
  3) 부모 협동 보육의 문제점 및 발전 방안 = 342
Chapter 12 보육 사업의 과제와 전망 = 343
 1. 보육 사업의 과제 = 345
  1) 보육을 보는 시각의 편향성 = 345
  2) 보육 재정의 취약성 = 347
  3) 인구ㆍ가족ㆍ경제 사회 변화에 따른 보육 정책의 수립의 문제 = 348
  4) 보육 서비스의 구조적 문제 = 350
  5) 양육 지원 체계 미비 = 352
  6) 낮은 보육 서비스 질 = 355
  7) 보육 행정 체제의 미비 = 358
  8) 보육 정책 수립을 위한 정보 수집의 문제 = 359
  9) 영유아 교육ㆍ보육 통합 발전을 위한 기반의 미비 = 360
 2. 보육 사업의 전망 = 361
  1) 새로운 보육 패러다임의 구축 = 361
  2) 영유아 보육의 공공성 확립 = 365
  3) 부모의 보육 욕구를 고려한 양육 지원 체계의 구축 = 367
  4) 보육 서비스의 질적 개선 = 370
  5) 보육시설의 설립 및 운영 주체의 다양화 = 373
  6) 지역 사회 보육 지원 체계와 효율적 보육 행정 체계의 구축 = 374
  7) 교육과 보육 상호 대립 관계의 극복 = 375
참고 문헌 = 377
찾아보기 = 391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