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1 보육의 이해 = 11
1. 보육의 개념 = 13
1) '보육' 용어 = 13
2) 보육 개념의 체제적 접근과 본질적 접근 = 14
3) 전통적 개념과 현대적 개념 = 18
4) 우리나라 보육 개념의 역사적 변천 = 20
5) 새로운 용어의 필요성 = 22
2. 보육의 본질 = 23
1) 전문 양육으로서의 보육 = 23
2) 타인의 양육으로서의 보육 = 24
3) 보육 개념의 구성 요소: 보호ㆍ양육, 발달, 교육 = 25
4) 보육의 생태학적 접근 관계 = 26
5) 다각적 차원에서의 보육의 질 = 27
3. 보육의 필요성 = 30
1) 보육ㆍ교육 서비스 이용 실태 = 30
2) 보육 수요 및 필요성 = 33
4. 보육에 관한 세계적 흐름 = 35
Chapter 2 주요 국가의 보육 역사 및 현황 = 37
1. 미국 = 40
1) 보육의 역사 = 40
2) 보육 현황 = 42
2. 영국 = 46
1) 보육의 역사 = 46
2) 보육 현황 = 48
3. 프랑스 = 52
1) 보육의 역사 = 52
2) 보육 현황 = 53
4. 스웨텐 = 57
1) 보육의 역사 = 57
2) 보육 현황 = 58
5. 일본 = 62
1) 보육의 역사 = 62
2) 보육 현황 = 63
6. 한국의 보육 역사 = 67
Chapter 3 발달과 보육 = 71
1. 발달의 기초 = 73
1) 발달의 개념 및 단계 = 73
2) 발달의 원리 = 73
3) 발달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 = 75
2. 발달 영역 = 75
1) 신체 발달 = 75
2) 인지 발달 = 80
3) 언어 발달 = 82
4) 사회성 발달 = 85
5) 정서 발달 = 93
3. 보육과 발달 = 94
Chapter 4 다양한 유형의 영유아보육과정 = 97
1. 표준보육과정 = 99
1) 표준보육과정의 개발 배경과 기본 원리 = 99
2) 표준보육과정의 목표와 내용 범주 = 100
2. 영유아 보육을 위한 다양한 접근법 = 102
1) 프로젝트 접근법 = 102
2)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 107
3) 발도르프 교육 = 114
4) 생태유아교육 = 121
Chapter 5 건강ㆍ영양ㆍ안전 = 127
1. 건강 관리 = 129
1) 건강 관리의 기초 = 129
2) 건강 관찰 및 검진 = 131
3) 질병 관리 = 134
4) 위생 관리 = 137
5) 건강 지도 = 139
2. 영양 관리 = 141
1) 영양 관리의 기초 = 141
2) 영양 교육과 식생활 지도 = 147
3) 급식 관리 = 149
3. 안전 관리 = 152
1) 영유아의 특성과 안전 사고 = 152
2) 보육시설 안전 관리 = 154
3) 영유아 안전 교육 = 158
4) 응급처치와 심폐소생술 = 160
Chapter 6 부모참여 = 257
1. 부모참여의 개념 = 259
2. 부모참여의 중요성 = 260
1) 유아 = 261
2) 부모 = 262
3) 교사 = 263
3. 부모참여의 형태 = 264
1) 부모참여의 유형 = 265
2) 부모참여 모델 = 268
4. 부모-교사 간의 의사 소통 = 269
1) 형식적 방법 = 271
2) 비형식적 방법 = 277
5. 부모참여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 278
1) 부모참여의 문제점 = 278
2) 부모참여의 활성화 방안 = 280
Chapter 7 보육 평가 = 285
1. 평가의 개념과 의의 = 287
2. 평가의 목적 및 필요성 = 289
3. 대상별 평가 = 290
1) 영유아 평가 = 290
2) 교사 평가 = 297
3) 부모 평가 = 301
4) 보육 프로그램 평가 = 302
5) 보육시설 평가 = 303
4. 평가 결과의 적용 = 310
Chapter 8 특수 보육 = 311
1. 영아 전담 보육 = 313
1) 영아 보육의 개념과 필요성 = 314
2) 영아 보육 프로그램의 영향과 내용 = 315
3) 영아 보육의 문제점 및 발전 방안 = 316
2. 장애아 전담 보육 = 317
1) 장애아 보육의 개념 및 제도 = 318
2) 외국의 장애아 보육 = 320
3) 장애아 보육의 문제점 및 발전 방안 = 322
3. 장애아 통합 보육 = 323
1) 장애아 통합 보육의 의미 = 323
2) 장애아 통합 보육의 중요성 = 325
3) 장애아 통합 보육의 효과 = 326
4) 장애아 통합 보육의 구성 요소 및 기본 방향 = 328
5) 장애아 통합 보육의 문제점 및 발전 방안 = 330
4. 방과후 보육 = 331
1) 방과후 보육의 개념 = 331
2) 방과후 보육의 필요성 = 332
3) 방과후 보육 프로그램의 목표와 일과 운영 = 333
4) 외국의 방과후 보육 = 334
5) 방과후 보육의 문제점 및 발전 방안 = 335
5. 시간 연장ㆍ휴일 보육 = 336
1) 시간 연장ㆍ휴일 보육의 필요성 = 337
2) 시간 연장ㆍ휴일 보육 프로그램 = 338
3) 시간 연장ㆍ휴일 보육의 문제점 및 발전 방안 = 338
6. 부모 협동 보육 = 339
1) 부모 협동 보육의 의미 = 339
2) 부모 협동 보육의 특성 및 환경 구성 = 341
3) 부모 협동 보육의 문제점 및 발전 방안 = 342
Chapter 12 보육 사업의 과제와 전망 = 343
1. 보육 사업의 과제 = 345
1) 보육을 보는 시각의 편향성 = 345
2) 보육 재정의 취약성 = 347
3) 인구ㆍ가족ㆍ경제 사회 변화에 따른 보육 정책의 수립의 문제 = 348
4) 보육 서비스의 구조적 문제 = 350
5) 양육 지원 체계 미비 = 352
6) 낮은 보육 서비스 질 = 355
7) 보육 행정 체제의 미비 = 358
8) 보육 정책 수립을 위한 정보 수집의 문제 = 359
9) 영유아 교육ㆍ보육 통합 발전을 위한 기반의 미비 = 360
2. 보육 사업의 전망 = 361
1) 새로운 보육 패러다임의 구축 = 361
2) 영유아 보육의 공공성 확립 = 365
3) 부모의 보육 욕구를 고려한 양육 지원 체계의 구축 = 367
4) 보육 서비스의 질적 개선 = 370
5) 보육시설의 설립 및 운영 주체의 다양화 = 373
6) 지역 사회 보육 지원 체계와 효율적 보육 행정 체계의 구축 = 374
7) 교육과 보육 상호 대립 관계의 극복 = 375
참고 문헌 = 377
찾아보기 = 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