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 (41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지향 朴枝香 , 편 김철 金哲 , 편 김일영 金一榮 , 편 이영훈 李榮薰 , 편
서명 / 저자사항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 / 박지향 [외]엮음.
발행사항
서울 :   책세상 ,   2006.  
형태사항
2책 : 삽도 ; 23 cm.
ISBN
8970135510 8970135529
일반주기
공역자: 김철, 김일영, 이영훈  
색인수록  
000 00740namccc200265 k 4500
001 000045241592
005 20100807033206
007 ta
008 060322s2006 ulka 001a kor
020 ▼a 8970135510 ▼g 04900(v.1)
020 ▼a 8970135529 ▼g 04900(v.2)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5 ▼a 953.07 ▼2 DDCK
090 ▼a 953.07 ▼b 2006
245 0 0 ▼a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 / ▼d 박지향 [외]엮음.
260 ▼a 서울 : ▼b 책세상 , ▼c 2006.
300 ▼a 2책 : ▼b 삽도 ; ▼c 23 cm.
500 ▼a 공역자: 김철, 김일영, 이영훈
500 ▼a 색인수록
700 1 ▼a 박지향 ▼g 朴枝香 , ▼e▼0 AUTH(211009)94925
700 1 ▼a 김철 ▼g 金哲 , ▼e▼0 AUTH(211009)31784
700 1 ▼a 김일영 ▼g 金一榮 , ▼e▼0 AUTH(211009)144161
700 1 ▼a 이영훈 ▼g 李榮薰 , ▼e▼0 AUTH(211009)31914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7 2006 1 등록번호 11135668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7 2006 1 등록번호 1113566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7 2006 2 등록번호 111356689 도서상태 파오손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7 2006 2 등록번호 11135669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953.07 2006 1 등록번호 14105181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953.07 2006 2 등록번호 14105185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7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953.07 2006 1 등록번호 12115682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8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953.07 2006 1 등록번호 12115682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9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953.07 2006 2 등록번호 12112675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0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953.07 2006 2 등록번호 12112675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953.07 2006 1 등록번호 15120348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953.07 2006 2 등록번호 15120389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953.07 2006 1 등록번호 15120348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953.07 2006 2 등록번호 15120390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7 2006 1 등록번호 11135668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7 2006 1 등록번호 1113566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7 2006 2 등록번호 111356689 도서상태 파오손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7 2006 2 등록번호 11135669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953.07 2006 1 등록번호 14105181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953.07 2006 2 등록번호 14105185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953.07 2006 1 등록번호 12115682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953.07 2006 1 등록번호 12115682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953.07 2006 2 등록번호 12112675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953.07 2006 2 등록번호 12112675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953.07 2006 1 등록번호 15120348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953.07 2006 2 등록번호 15120389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953.07 2006 1 등록번호 15120348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953.07 2006 2 등록번호 15120390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2006년 제3회 한국출판문화대상 대상 수상작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70년대 박정희 정권까지 우리 역사는 반공 이데올로기 중심의 우편향적인 시각에서 서술되어왔다. 1979년 첫 권이 출간된<해방 전후사의 인식>(전6권)은 1980년대 민주화투쟁 시기를 대변하는 책으로 한국 근현대사에 대한 시각을 민중사관 중심으로 획기적으로 전환시켰다고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출간된 지 30여 년이 지나는 동안 학계에서는 민족 지상주의, 민중혁명론 등 <해전사>에서 제기된 여러 주장에 대해 많은 문제가 제기되어왔다.

이 책은 그간 학계에 축적된 해방 전후사의 연구 성과들을 바탕으로 <해방 전후사의 인식>으로 대표되는 기존 역사서의 좌편향적인 역사서술을 바로잡고 보다 다각적이고 실증적으로 우리 역사를 논하고자 한다. 특정 이념을 표방하지 않으며 있는 그대로의 역사적 사료를 바탕으로, 이분법적 시각이 아니라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에서 해방 전후사를 '재인식'해보자는 의도에서 출간되었다.

민족주의적 시각에서 벗어난 새로운 연구 성과를 발굴했으며, 일제시대부터 1960년대까지 일상사의 문제에서부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영역을 포괄하는 머리말을 포함한 30편의 글과 편집위원의 대담 1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편집위원 박지향(서울대, 서양사), 김철(연세대, 국문학), 김일영(성균관대, 정치외교학), 이영훈(서울대, 경제사)을 중심으로 카터 J. 에커트(하버드대학, 한국학), 기무라 미쓰히코(아오야마가쿠인대학, 국제정치경제학) 등의 외국 학자들뿐만 아니라, 이완범(한국학중앙연구원, 정치학), 신형기(연세대, 국문학) 등 <해전사>의 필자였던 학자들이 참여했다.

친일과 민족주의의 문제, 일제 잔재의 단절과 연속, 해방 정국과 대미 관계, 분단과 한국전쟁, 1950년대와 이승만 정부에 대한 재평가 등을 논하고 있는 책으로 현대사에 대한 다양한 시각들을 보여주는 새로운 연구성과의 결정이라 할 수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박지향(지은이)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서양사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뉴욕주립대학교(스토니브룩 소재)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뉴욕 프랫대학교와 인하대학교를 거쳐 1992년부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양사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다. 도쿄대학교와 케임브리지대학교 연구원으로 활동했고,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장(2011~2015), 한국영국사학회 회장,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대통령 소속 인문정신특별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영국사와 서양근현대사 전공으로 민족주의와 제국주의를 집중 연구했으며 지난 10여 년간 영국, 아일랜드, 일본, 한국을 아우르는 비교사적 시각에서 역사를 바라보는 노력을 진행해왔다. 저서로 Profit-Sharing and Industrial Co-partnership in British Industry 1880-1920: Class Conflict or Class Collaboration?(London & New York), 『평등을 넘어 공정으로』, 『제국의 품격』, 『정당의 생명력: 영국 보수당』, 『클래식 영국사』, 『대처 스타일』, 『슬픈 아일랜드』, 『영국적인, 너무나 영국적인』, 『제국주의: 신화와 현실』 등의 저서가 있고, Past and Present, Journal of Social History, Journal of Contemporary History, 《서양사론》, 《역사학보》 등 국내외 저널에 6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김철(지은이)

불교 수행자. 연세대학교 국문과 명예교수. 『‘국문학’을 넘어서』, 『‘국민’이라는 노예』, 『복화술사들』, 『바로잡은 “무정”』, 『식민지를 안고서』, 『우리를 지키는 더러운 것들』 등을 썼고, 『문학 속의 파시즘』,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 등을 공저했으며, 『언더우드 부인의 조선견문록 Fifteen Years Among The Top-Knots』, 『조선인 강제연행朝鮮人强制連行』 등을 번역했다.

김일영(지은이)

2009년 11월 만 49세의 한창 나이에 세상을 떠난 김일영(金一榮) 교수는 이 시대 최고의 현대 한국정치사 전문가 중 한 명이다. 그는 균형 잡힌 시각에서 사실과 이론을 조화롭게 접목시켜 대한민국 정치사를 분석하고 또 재해석하는 일관성 있는 학술작업을 통해 학계의 발전에 공헌한 학자였다. 고인의 지난한 노력으로 생산된 업적들은 지난 80년대 이후 우리 사회를 그릇되게 억눌러왔던 수정주의적 사관의 파고를 잠재우는 데 크게 기여했다. 1960년 1월 강원도 동해에서 태어나 초등학교 5학년의 어린 나이에 서울에 유학 와 성균관대학교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1991년). 1992년 9월부터 성균관대에서 교수생활을 시작했으며, 미국 하버드대 옌칭연구소 방문학자, 일본 규슈(九州)대학 법학부 방문학자를 역임했다. 한국정치학회, 한국국제정치학회, 한국국제정치사학회의 임원으로 활발한 학회 활동을 했고, 여러 정부와 사회기관의 자문, ‘바른 사회를 위한 시민회의’ ‘교과서포럼’ 계간 <시대정신> 등의 사회참여, 그리고 여러 언론매체에서의 기고활동 등 다방면에서 활동했다.

이영훈(지은이)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박사 학위를 받았다(1985). 지곡서당芝谷書堂에서 한학을 공부하였다(1977~1982). 한신대학 경제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를 거쳐 2002년 이후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로 재직하다가 2017년에 정년을 하였다. 경제사학회, 한국고문서학회, 한국제도경제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는 이승만학당의 교장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조선후기사회경제사朝鮮後期社會經濟史』(한길사, 1988), 『수량경제사로 다시 본 조선후기』(공저,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대한민국역사』(기파랑, 2013), 『한국경제사』Ⅰ·Ⅱ(일조각, 2016), 『반일 종족주의』(공저, 미래사, 2019)가 있다. 청람상靑藍賞(한국경제학회, 1990), 봉래상蓬萊賞(봉래학술문화재단, 2008), 경암학술상耕岩學術賞(경암교육문화재단, 2013), 월봉저작상月峰著作賞(월봉한기악선생기념사업회, 2017) 등을 받았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volume. vol.1]----------
목차
머리말 = 11
1부 식민지하의 일상적 삶
 왜 다시 해방 전후사인가 / 이영훈 = 25
  1. 백두산 이야기 = 25
  2. 직업으로서의 역사학 = 32
  3. 민족과 혁명의 이중주 = 41
  4. 근본주의 함정 = 47
  5. 대안으로서의 문명사 = 55
 하바꾼에서 황금광까지 - 채만식의 소설에 나타난 식민지 사회의 투기 열풍 / 한수영 = 64
  1. 채만식 혹은 소설의 사회사 = 64
  2. 미두와 식민지 자본주의 = 68
   ① 청산 거래 제도와 투기 열풍 = 70
   ② 미두장의 풍경 = 79
   ③ 《탁류》의 미두꾼들 = 83
  3. 황금광 시대의 빛과 그늘 = 86
   ① 금광 열풍의 사회경제적 배경 = 86
   ② 금 관련 정책의 여파로 금 밀매매 성행 = 94
   ③ 엘도라도의 주민들 - 산금 정책과 금광 경기 = 99
  4. 투기, 혹은 식민지 자본주의의 통과제의 = 105
 식민지 시기의 생활수준 / 주익종 = 107
  1. 생활수준 논의, 어디까지 왔나 = 107
  2. 1 인당 소득과 소비의 동향 = 110
   ① 1 인당 소득ㆍ소비 수준과 변동 = 110
   ② 민족 간 소득 분배의 검토 = 113
   ③ 계층별 임금과 수입 = 121
  3. 영양 상태와 교육 = 128
   ① 식량 소비와 영양 상태 = 128
   ② 교육 = 139
  4. 새로운 출발을 위해 = 142
 일제하 법치와 권력 / 이철우 = 145
  1. 일제하의 법제, 어떻게 볼 것인가 = 145
  2. 제국의 헌법 질서와 조선의 지위 : 동화와 차별 = 155
  3. 사회 통제 방식과 권력의 성격 = 167
  4. 민사법제와 관습의 재구성 = 175
  5. 사법 제도와 분쟁 해결 방식 = 179
  6. 조합주의적 사회 조직화의 법 형식과 특징 = 183
  7. 맺음말 = 185
 식민지 시기의 공업화 재론 / 김낙년 = 188
  1. 식민지 시기 공업화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 = 188
  2. 공업화와 구조 변화 : 장기 추이 속에서 = 192
  3. 공업화 정책의 평가 = 200
  4. 시장과 자금 = 208
  5. 해방 후와의 단절과 연속 = 219
 식민지 근대 도시의 일상과 만문만화 / 신명직 = 229
  1. 만문만화에 나타난 근대의 얼굴 = 229
  2. 만문만화의 등장 = 232
  3. 식민지 근대 도시 경성의 일상 = 235
   ① 소비도시 경성의 이중성 = 235
   ② 근대 공원의 형성과 식민지적 근대 - 창경원과 남산공원 = 239
  4. 식민지 근대 도시의 유혹 = 243
   ① 근대의 유혹 = 243
   ② 빈약한 수요 = 247
  5. 식민지 근대 도시의 사람들 = 251
   ① 모던 걸과 모던 보이 = 251
   ② 모던 걸의 기생성 = 256
   ③ 대립하는 두 계급 = 260
   ④ 순사와 식민지 규율 권력 = 265
   ⑤ 고리대금업자와 경제적 강제 = 269
  6. 근대 도시 경성의 문화 = 272
   ① 근대적 욕망을 강요하는 영화 = 273
   ② 초가집의 서구 음악과 딴스 = 275
   ③ 근대적 규율과 스포츠 = 280
   ④ 서구 문화를 바라보는 이중적 시선 = 283
  7. 식민지 근래 도시의 이중성을 폭로한 만문만화 = 286
2부 식민지하의 여성의 삶
 상하이의 일본군 위안소와 조선인 / 후지나가 다케시 = 295
  1. 문제 제기 = 295
  2. 위안소 개설의 전제 - 일본형 공창 제도의 도입과 변천 = 305
   ① 상하이의 해군 위안소와 '전신' = 305
   ② 공동 조계 당국의 매매춘 대응책 = 311
   ③ 일본 (총)영사관에 의한 매매춘 관리 개시 = 321
   ④ 일본형 공창 제도의 재편과 해군 위안소로의 전환 = 331
  3. 상하이의 위안소 제도와 조선인 = 336
   ① 재류 조선인의 변천 = 336
   ② 접객부ㆍ풍속영업과 위안소 경영 = 349
  4. 위안소의 여러 형태와 존재 상황 = 360
   ① 상하이 소재 해군 위안소 개관 = 360
   ② 위안소의 분포 상황과 약간의 사례 = 369
  5. 상하이 위안소 제도 완성까지의 3단계 = 381
 친일 문학의 또 다른 층위 - 젠더와 〈야국초〉 / 최경희 = 387
  1. '친일파' 연구의 새로운 전기 = 387
  2. 전쟁 선전물로서의 〈야국초〉 = 395
  3. 신(新)모성, 제국의 모성의 탄생 = 401
  4. 좌초된 여성 근대성에 대한 담론 = 406
  5. 지식인 남성의 실패에 대한 페미니스트적 잠재비판 = 411
  6. '제국의 어머니'의 피학-가학적(Sado-masochistic) 고초 = 422
  7. 친일적 글쓰기와 작품의 정직성 = 427
  8. '친일 요소'의 불확정성 = 431
 교육받고 자립된 자아실현을 열망했건만 : 조선인 '위안부'와 정신대에 관한 '개인 중심'의 비판인류학적 고찰 / 소정희 = 434
  1. 정신대로서의 '위안부들' : 신화와 현실 = 441
  2. 후기 식민지 시대 조선의 성별, 계급, 노동 = 453
  3. '한'의 증언구술들 = 461
  4. 교육받은 근대적 자아를 가꾸려는 열망으로 집을 뛰쳐나온 딸 = 463
  5. 결론 = 474
  6. 덧붙이는 말 = 476
3부 식민지하의 지식인의 삶
 몰락하는 신생 - '만주'의 꿈과 〈농군〉의 오독 / 김철 = 479
  1. 〈농군〉을 바로 읽기 위하여 = 479
  2. 〈농군〉과 완바오 산 사건 = 486
  3. 만주 유토피아니즘과 조선 농민 = 508
  4. 만주국은 아직, 있다 = 522
 '민족의 힘'을 욕망한 '친일 내셔널리스트' 이광수 / 조관자 = 524
  1. '친일 내셔널리즘'을 기억하기 위하여 = 525
  2. 문명의 주체가 되기를 욕망하다 = 528
  3. '내선일체'를 승인하는 '주체=신민' = 531
  4. '민족운동'의 좌절인가 활로인가 = 533
  5. '조선심'의 사산과 '일본인'의 개종 = 538
  6. 충실한 맹세와 거짓말의 양의성 = 544
  7. 반복되는 문화 내셔널리즘 = 548
  8. '친일 내셔널리즘'이 일관하는 것 = 550
  9. 절대 권력을 탄생시키는 정치 신학 = 553
 한글 운동과 근대 미디어 / 이혜령 = 556
  1. 한글 운동의 역사와 수행 주체 = 556
  2. 한글 운동의 핵심적인 장소, 학교 = 563
  3. 출판 인쇄 미디어의 표준 장악 = 574
  4. 한글 운동의 근대성 담론 = 587
  5. 민족어와 국가어 = 595
4부 단절과 연속
 식민지 말기 조선의 총력전ㆍ공업화ㆍ사회 변화 / 카터 J. 에커트 = 601
  1. 1931년 이전의 공업화 = 603
  2. 만주와의 관련 = 608
  3. 전쟁을 위한 공업화 = 614
  4. 사회적 변화의 문제 = 618
  5. 노동자와 기술자 = 622
  6. 기업가들과 기타 관리자들 = 629
  7. 병사들과 장교들 = 638
  8. 제국의 신민들 = 645
  9. 식민지 지배의 유산 = 650
 식민지 시기 조선인의 정치 참여 - 해방 후사와 관련해서 / 나미키 마사히토 = 655
  1. 식민지 시기 정치사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 655
   ① 해방은 역사의 단절인가 = 658
  2. 지배정책사와 민족운동사가 거둔 결실 = 660
  3. 식민지 시기 조선인의 정치 참여 실태 = 664
  4. 대일협력의 여러 유형 : 이데올로그형과 테크노크라트형 = 675
  5. 해방 후사와의 연속성 발견 : 통치사와 민족운동사 측면에서 = 685
  6. 완전한 해방 전후사를 위하여 = 695
 '신인간' - 해방 직후 북한 문학이 그려낸 동원의 형상 / 신형기 = 698
  1. '신인간'-인간 중심주의와 동원의 형상 = 698
  2. 민주주의, 혹은 변신의 편집증 = 701
  3. 발단적 형상들 = 709
  4. 신인간의 모습 = 716
   ① 공적 엄격성 - 구획과 배제 = 716
   ② 노동 규율의 내면화 = 721
  5. 영웅의 출현 = 725
  6. 남한을 향한 증오의 표정 = 733
  7. '거룩한' 민족의 부름으로 지속시킨 동원정치체제 = 735
 파시즘에서 공산주의로 - 북한 집산주의 경제정책의 연속성과 발전 / 기무라 미쓰히코 = 737
  1. 전시 식민지 정부의 농업 정책 = 740
  2. 후식민지 시기 북한의 농업 정책 = 743
  3. 후식민지 시기 북한의 공업 정책 = 752
  4. 일본제국주의와 북한 공산주의 정책의 유사성 = 756
  5. 후식민지 시기 남북한의 경제정책 = 762
찾아보기 = 765
[volume. vol.2]----------
목차
5부 해방 공간
 냉전의 전개 과정과 한반도 분단의 고착화 - 스탈린의 한반도 정책, 1945 / 이정식 = 13
  1. 1945년 9월 20일의 지령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 13
  2. 스탈린에게 한반도는 부차적인 관심 대상이었다 = 17
  3. 만주에 대한 스탈린의 관심 = 22
  4. 스탈린의 유동적인 한반도 정책 = 25
  5. 런던 외상회의의 결렬과 냉전 시대 개막 = 26
  6. 스탈린의 양면적인 중국 정책 = 33
  7. 국제 정세에 따른 스탈린의 한반도 정책 변화 = 40
  8. 모스크바 삼상회의와 신탁통치 결정 = 46
  9. 스탈린의 한반도 가치 재평가와 한국전쟁 발발 = 50
  10. 한국전쟁의 비극을 자초한 미국의 한반도 정책 = 55
 해방 직후 국내 정치 세력과 미국의 관계, 1945~1948 / 이완범 = 57
  1. 분단의 원인을 보는 시각들 = 58
  2. 외부적 힘의 공백기에 발현된 민족 내부의 힘, 1945년 8월 16일~9월 6일 = 62
   ① 1945년 8월 16일, 건준 선포 = 62
   ② 건준의 치안권 확보에 따른 식민 지배 당국의 말기적 저항 = 65
   ③ 미ㆍ일의 비밀 접촉 : 일본에서 미국으로 = 68
   ④ 미군 진주설에 영향 받은 건준 내 좌우 연합의 와해 = 71
   ⑤ '인공'의 일방적 '선포' = 72
  3. 미국과 국내 정치 세력의 결합 : 국제적 성격이 강한 복합형 형성 = 74
   ① 미군 진주와 미군정의 수립 과정 = 74
   ② 한국 정치 세력에 대한 미국의 정책 = 80
 한국의 노동 운동과 미국, 1945~1950 / 박지향 = 103
  1. 미군정이 한국의 노동 운동을 탄압하게 된 이유를 다시 묻는다 = 103
  2. 초기의 억압적 노동 정책 = 106
  3. 전평 수용으로의 전환 = 113
  4. 탄압 정책으로의 복귀 = 126
  5. 대한노총의 개혁 추진 = 131
  6. 전평의 비극 = 138
 해방 공간의 사회사 / 전상인 = 141
  1. 왜 사회사인가 = 141
  2. 미진한 해방, 불안한 미래 = 148
  3. 해방의 사회적 풍경 = 152
  4. 미증유의 식량 위기 = 158
  5. 일상생활의 정치화 = 164
  6. 개인의 사회적 정체성 = 168
  7. 역사는 모든 사람이 함께 만든다 = 173
6부 한국전쟁과 한미동맹
 한국전쟁 원인의 국제 정치적 재해석 - 스탈린의 롤백 이론 / 김영호 = 177
  1. 한국전쟁의 원인을 설명하는 여러 이론들 = 177
  2. 커밍스 내전론의 비판적 고찰 = 184
  3. 스탈린의 롤백 이론 : 한국전쟁의 국제 정치적 성격 = 194
  4. 한반도에서 전쟁 재발을 막기 위한 우리의 자세 = 209
 전시 정치의 재조명 - 부산 정치 파동의 다차원성에 대한 복합적 이해 / 김일영 = 215
  1. 전쟁과 정치 = 215
  2. 원내 세력의 이합집산 : 가변적 정립 구도 = 217
  3. 게임의 규칙을 바꾸어라 : 두 갈래의 개헌 공작 = 224
   ① 내각제 개헌과 장면 옹립 공작 그리고 미국의 지원 = 225
   ② 북진통일론과 직선제 개헌 공작 = 230
  4. 부산 정치 파동 : 정부, 국회, 군부, 그리고 미국의 상호작용 = 236
  5. 보나파르트의 등장 = 244
  6. 부산 정치 파동의 세 차원 = 254
 이승만과 1950년대의 한미동맹 / 차상철 = 258
  1. 이승만과 1950년대 한미동맹을 재평가하는 작업 = 258
  2. 한미동맹 결성 - 한국의 국가적 생존과 안보를 확보하는 길 = 262
  3. 한미동맹 강화 - 북진통일론 포기를 담보하여 한국군의 병력 증강 = 274
  4. 한미상호방위조약 - 협상가 이승만의 최대 업적 = 288
7부 농지개혁과 농촌 사회
 농지개혁을 둘러싼 신화의 해체 / 김일영 = 295
  1. 농지개혁, 전쟁, 산업화, 그리고 민주화의 변증법으로서의 한국 현대사 = 295
  2. 농지개혁법안의 입법과 개정을 둘러싼 신화의 해체 : '이승만 퍼즐'의 풀이 = 298
   ① 신화 1 : 이승만이 지주 계급을 옹호했기 때문에 농지개혁에 소극적이었다 = 301
   ② 농지개혁법과 귀속재산처리법 : 정부 부처, 정파, 그리고 계급 분파의 상호 작용 = 310
  3. 농지개혁의 시행 과정을 둘러싼 신화의 해체 = 318
   ① 신화 2 : 한국전쟁 전에 농지개혁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 319
   ② 농지개혁 단행과 민국당의 5ㆍ30 선거 패배 간의 상관성 : 하나의 가설 = 325
  4. 농지개혁과 전쟁, 국가의 재정 안정 정책, 그리고 계급 구조의 변화 = 331
   ① 지배 계급의 교체 : 지주의 몰락과 국가를 매개로 한 신흥 자본가의 등장 = 331
   ② 농민의 보수화와 이승만에 대한 수동적 지지 기반의 형성 = 336
  5. 농지개혁, 전쟁, 그리고 한국의 정치경제 발전 : 발전 국가의 사회적 토대 형성 = 340
 농지개혁 - 지주제 해체와 자작농체제의 성립 / 장시원 = 345
  1. 농지개혁의 새로운 평가를 위해 = 345
  2. 농지개혁 연구의 성과와 쟁점 = 348
   ① 개혁의 의의를 소극적으로 평가하는 견해 = 348
   ② 개혁의 의의를 적극적으로 평가하는 견해 = 352
   ③ 성과와 쟁점 = 357
  3. 농지개혁의 경제적 영향 - 자작농체제하의 농업구조 = 366
   ① 농업생산의 변화 = 367
   ② 농가경제의 변화 = 379
  4. 평가기준의 재검토 - 소농민경영의 발전과 관련하여 = 382
   ① '소경영적 개혁'의 재인식 = 383
   ② 영세과소농 문제의 재인식 = 384
  5. 농업 발전의 새로운 가능성을 연 농지개혁 = 388
 1950년대 한국 농촌의 사회구조 / 이만갑 = 390
  1. 조사의 목적 = 393
  2. 일상의 이모저모 = 396
  3. 양반과 상놈의 그림자 = 400
   ① 여수리 = 400
   ② 하대원리 = 402
   ③ 도촌리 = 404
   ④ 창평 = 405
   ⑤ 거곡 = 406
   ⑥ 능원리 = 407
  4. 누구를 믿을 것인가 = 411
   ① 동족결합 = 411
   ② 동계 = 414
   ③ 계 = 415
  5. 고독한 사람들 = 419
   ① 행정기관 = 419
   ② 사회단체 = 422
   ③ 문화단체 = 425
8부 잃어버린 10년을 찾아
 거시적으로 본 1950년대의 역사 - 남한의 변화를 중심으로 / 유영익 = 433
  1. 현대사를 발전적으로 봐야 될 이유 = 433
  2. '서구 중심 세계 질서'로의 진출 = 436
  3. 민주주의 정치의 첫 시도 = 443
  4. 자본주의적 시장경제제도의 도입 = 452
  5. 국민 교육의 확대ㆍ향상 = 460
  6. 평등화의 실현, 그리고 시민과 군부의 대두 = 469
   ① 인구 이동 = 470
   ② 인구의 도시 집중과 '시민' 계층의 등장 = 471
   ③ 사회의 평등화와 여권 신장 = 473
   ④ 군대의 비대화 = 476
  7. 1950년대는 창조적 변혁의 전환기 = 479
 비합리성 이면의 합리성을 찾아서 - 이승만 시대 수입대체산업화의 정치경제학 / 우정은 = 482
  1. 1950년대 다시 보기 = 482
  2. 동맹의 정치경제학 : 미국, 일본, 그리고 한국의 수입대체산업화 = 485
  3. 이승만의 금융 정책과 국가 건설 = 516
  4. 정치적 자본가들의 등장 = 523
  5. 1957년, 변화가 시동된 해 = 531
 1950년대 후반 미국의 대한 정책 / 이철순 = 538
  1. 1950년대 후반 미국의 대한 정책의 본질은 무엇인가 = 538
  2. 북한의 위협에 대한 미국의 인식 변화 = 542
  3. 제3세계 정책 전환을 둘러싼 미국 내의 논의 = 546
  4. 1956년 제3대 정ㆍ부통령 선거 이후 한국 현지 수준에서의 정책 변화 진언 = 550
  5. 대내 안보 지향적인 정책(개혁적 개입 정책) 실시 = 559
   ① 강경파 배제와 온건파 포섭 정책 = 560
   ② 경제 개발에 대한 강조와 경제 관료 엘리트의 지원ㆍ육성 = 570
  6. 단기적 정치 안정화 정책과 이승만 정권과의 절연 정책 = 580
   ① 국가보안법 개정안 통과 전후의 미국의 대응(1958년 12월~1959년 1월) = 581
   ② 다울링 소환 이후 자유당 온건파와 민주당 구파 간의 타협 모색(1959년 1월~l959년 7월) = 586
   ③ 조봉암 사형 이후 이승만 정권과의 절연 정책(1959년 7월~1960년 4월) = 594
  7. 한국의 안보 상황 변화에 따른 미국의 대한 정책 변화 = 606
9부 대담
 해방 전후사의 새로운 지평 = 611
  1. 해방 전후 현대사를 논하는 이유 = 612
  2. 일제 식민 통치의 성격 = 617
  3. 민족과 식민지 근대성 = 622
  4. 여성과 민족 = 634
  5. 제국의 유산 = 638
  6. 식민지 유산의 청산 : 남북한 비교 = 652
  7. 해방 정국과 국제 관계 = 657
  8. 국민 만들기 = 666
  9. 1950년대의 재해석 = 673
  10. 지식인ㆍ학문ㆍ정치 = 678
찾아보기 = 685


관련분야 신착자료

안확 (2023)
서천군지편찬위원회 (2023)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3)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22)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22)
沈志華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