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외국어 학습·교수의 원리

외국어 학습·교수의 원리 (Loan 22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Brown, H. Douglas. 이흥수 , 역
Title Statement
외국어 학습·교수의 원리 / H. Douglas Brown ; 역자: 이흥수 [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Pearson education Korea ,   2001   (2005)  
Physical Medium
xvii, 413 p. ; 24 cm.
Varied Title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4th ed.
ISBN
8945090029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55-398), 색인수록
000 00759camccc200253 k 4500
001 000045241539
005 20100807033054
007 ta
008 050207s2001 ulk b 001c kor
020 ▼a 8945090029
035 ▼a (KERIS)BIB000009550321
040 ▼d 211004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418.0071 ▼2 22
090 ▼a 418.0071 ▼b 2001b
100 1 ▼a Brown, H. Douglas. ▼0 AUTH(211009)13361
245 1 0 ▼a 외국어 학습·교수의 원리 / ▼d H. Douglas Brown ; ▼e 역자: 이흥수 [외].
246 1 9 ▼a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4th ed.
260 ▼a 서울 : ▼b Pearson education Korea , ▼c 2001 ▼g (2005)
300 ▼a xvii, 413 p. ; ▼c 24 cm.
504 ▼a 참고문헌(p. 355-398), 색인수록
700 1 ▼a 이흥수 , ▼e▼0 AUTH(211009)9366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8.0071 2001b Accession No. 11135678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8.0071 2001b Accession No. 11135678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이흥수(옮긴이)

<외국어 학습.교수의 원리>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 ⅹ
역자 서문 = xv
1. 언어, 학습, 교수 = 1
 제언어 습득에 관한 최근의 논점 = 2
 언어 = 5
 학습과 교수 = 7
 제2 언어 습득 관련 학파들 = 9
  구조주의와 행동주의 = 9
  이성주의와 인지주의 심리학 = 11
  구성주의 = 12
 언어 교수 방법론 = 15
 교실 상황 : 문법 번역식 교수법 = 17
 연구 및 토론을 위한 주제와 질문 = 19
 권독 자료 = 20
 언어 학습 경험 : 일지 목록 1 = 21
2. 제1 언어 습득 = 23
 제1 언어 습득 이론 = 24
  행동주의적 접근법 = 25
  생득론적 접근법 = 28
  기능주의적 접근법 = 32
   인지와 언어 발달 = 32
   사회적 상화 작용과 언어 발달 = 34
  제1언어 습득의 논점 = 35
   언어 능력과 언어 수행 = 35
   이해와 표현 = 38
   선천성과 후천성 = 40
   보편소 = 41
   체계성과 변이성 = 43
   언어와 사고 = 43
   모방 = 44
   연습 = 46
   입력 = 47
   담화 = 49
 교실상황 : Gouin과 Berlitz - 번째 개혁가들 = 51
 연구 및 토론을 위한 주제와 질문 = 54
 권독 자료 = 55
 언어 학습 경험 일지 목록 2 = 56
3. 나이와 언어 습득 = 57
 통념 깨뜨리기 = 58
 비교와 대조의 유형 = 60
 결정적 시기 가설 = 62
 뇌신경학적 고려 사항 = 62
  반구 편중화 = 63
  생물학적 일정표 = 64
  우뇌의 참여 = 65
  인류학적 증거 = 66
 악센트의 중요성 = 67
 인지적 고려 사항 = 70
 정의적 고려 사항 = 73
 언어학적 고려 사항 = 76
  이중 언어 능력 = 77
  제1 언어와 제2 언어 간의 간섭 = 77
  제1 언어 간섭과 성인 학습자 = 78
  습득 순서 = 79
 제1언어 습득에 관한 논점 재고 = 80
 교실 상황 : 청화식 교수법 = 85
 연구 및 토론을 위한 주제와 질문 = 87
 권독 자료 = 88
 언어 학습 경험 일지 목록 3 = 89
4. 인간의 학습 = 90
 학습과 훈련 = 90
 Pavlov의 고전적 행동주의 = 92
 Skinner의 조작적 조건화 = 93
 Ausubel의 유의적 학습 이론 = 96
  체계적 망각 = 99
 Rogers의 인본주의 심리학 = 102
 학습의 유형 = 105
 전이, 간섭, 과잉 일반화 = 108
 귀납적 추론과 연역적 추론 = 111
 적성과 지능 = 112
 교실 상황 : 1970년대의 "디자이너" 교수법들 = 118
 연구 및 토론을 위한 주제와 질문 = 125
 권독 자료 = 126
 언어 학습 경험 : 일지 목록 4 = 127
5. 학습 유형과 전략 = 128
 과정, 유형, 전략 = 128
 학습 유형 = 129
  장 독립성 = 131
  좌뇌와 우뇌 기능 = 135
  애매모호성 관용 = 137
  심사숙고형과 충동형 = 138
  시각적 유형과 청각적 유형 = 140
 전략 = 141
  학습 전략 = 143
  의사소통 전략 = 146
   회피 전략 = 148
   보상 전략 = 148
 전략 중심 지도법 = 150
 교실 상황 : 학습 유형과 전략의 실제 = 155
 연구 및 토론을 위한 주제와 질문 = 159
 권독 자료 = 161
 언어 학습 경험 : 일지 목록 5 = 162
6. 성격 요인 = 163
 정의적인 영역 = 164
  자아 존중 = 166
  억제 = 169
  모험 시도 = 172
  두려움 = 173
  감정 이입 = 176
  외향성 = 178
 Myers-Briggs의 성격 유형 = 180
 동기 = 184
  도구적 지향성과 통합적 지향성 = 187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 = 190
 정의의 신경 생물학 = 192
 정의적 요인의 측정 = 193
 교실 상황 : 교수법들을 고찰하려면 = 196
 연구 및 토론을 위한 주제와 질문 = 200
 권독 자료 = 202
 언어 학습 경험 : 일지 목록 6 = 203
7. 사회 문화적 요인 = 205
 고정관념에서 일반화까지 = 207
 태도 = 210
 제2 문화 습득 = 211
 사회적 거리 = 215
 교실에서의 문화 = 219
 언어 정책과 정치 = 223
  세계 영어 = 223
  제2 언어로서의 영어와 외국어로서의 영어 = 224
  언어 제국주의와 언어 보유권 = 225
  언어 정책과 "영어 전용" 논쟁 = 226
 언어, 사고, 문화 = 227
 교실 상황 : 원리에 입각한 언어 교육 접근법에 대하여 = 233
 연구 및 토론을 위한 주제와 질문 = 235
 권독 자료 = 237
 언어 학습 경험 : 일지 목록 7 = 238
8. 언어간 영향과 학습자 언어 = 240
 대조 분석 가설 = 240
 대조 분석 가설에서 언어간 영향론까지 = 244
 유표와 보편 문법 = 248
 학습자 언어 = 249
 오류 분석 = 251
  실수와 오류 = 252
  오류 분석에서의 오류 = 254
  오류 식별과 기술 = 255
  오류의 원인 = 259
   언어간 전이 = 260
   언어내 전이 = 261
   학습의 장 = 263
   의사소통 전략 = 264
 학습자 언어 발달 단계 = 264
 학습자 언어의 변이성 = 267
 화석화 = 270
 언어 형태 중심 지도법 = 272
 오류 처리 = 274
 교실 상황 : 오류 처리 모델 = 280
 연구 및 토론을 위한 주제와 질문 = 283
 권독 자료 = 285
 언어 학습 경험 : 일지 목록 8 = 286
9. 의사소통 능력 = 287
 의사소통 능력 개념 정의 = 288
 언어 기능 = 292
 기능 중심 교수 요목 = 295
 담화 분석 = 296
  대화 분석 = 298
 화용론 = 301
  언어와 성별 = 303
 스타일과 언어 사용역 = 304
 비언어적 의사소통 = 307
  신체 언어학 = 307
  눈맞춤 = 309
  근접 공간학 = 309
  옷과 소지품 = 310
  감각학 = 310
  후각 = 310
 교실 상황 :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 = 312
 연구 및 토론을 위한 주제와 질문 = 314
 권독 자료 = 315
 언어 학습 경험 : 일지 목록 9 = 317
10. 제2 언어 습득 이론 = 318
 제2 언어 습득 이론의 구축 = 319
  영역들과 일반화된 것들 = 319
  가설과 주장 = 322
  생존 가능한 이론을 위한 기준 = 324
 선천성 모델 : Krashen의 입력 가설 = 326
 인지 모델 = 331
  McLaughlin의 주의 집중·처리 모델 = 331
  암시·명시적 모델들 = 334
 사회 구성주의적 모델 : Long의 상호 작용 가설 = 336
 이론에서 실제로 = 339
 어려운 상황에 처한 : 언어 습득의 생태학 = 346
 연구 및 토론을 위한 주제와 질문 = 349
 권독 자료 = 351
 언어 학습 경험 : 마지막 일지 = 352
참고 문헌 = 355
찾아보기(인명) = 399
찾아보기(용어) = 404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