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ⅹ
역자 서문 = xv
1. 언어, 학습, 교수 = 1
제언어 습득에 관한 최근의 논점 = 2
언어 = 5
학습과 교수 = 7
제2 언어 습득 관련 학파들 = 9
구조주의와 행동주의 = 9
이성주의와 인지주의 심리학 = 11
구성주의 = 12
언어 교수 방법론 = 15
교실 상황 : 문법 번역식 교수법 = 17
연구 및 토론을 위한 주제와 질문 = 19
권독 자료 = 20
언어 학습 경험 : 일지 목록 1 = 21
2. 제1 언어 습득 = 23
제1 언어 습득 이론 = 24
행동주의적 접근법 = 25
생득론적 접근법 = 28
기능주의적 접근법 = 32
인지와 언어 발달 = 32
사회적 상화 작용과 언어 발달 = 34
제1언어 습득의 논점 = 35
언어 능력과 언어 수행 = 35
이해와 표현 = 38
선천성과 후천성 = 40
보편소 = 41
체계성과 변이성 = 43
언어와 사고 = 43
모방 = 44
연습 = 46
입력 = 47
담화 = 49
교실상황 : Gouin과 Berlitz - 번째 개혁가들 = 51
연구 및 토론을 위한 주제와 질문 = 54
권독 자료 = 55
언어 학습 경험 일지 목록 2 = 56
3. 나이와 언어 습득 = 57
통념 깨뜨리기 = 58
비교와 대조의 유형 = 60
결정적 시기 가설 = 62
뇌신경학적 고려 사항 = 62
반구 편중화 = 63
생물학적 일정표 = 64
우뇌의 참여 = 65
인류학적 증거 = 66
악센트의 중요성 = 67
인지적 고려 사항 = 70
정의적 고려 사항 = 73
언어학적 고려 사항 = 76
이중 언어 능력 = 77
제1 언어와 제2 언어 간의 간섭 = 77
제1 언어 간섭과 성인 학습자 = 78
습득 순서 = 79
제1언어 습득에 관한 논점 재고 = 80
교실 상황 : 청화식 교수법 = 85
연구 및 토론을 위한 주제와 질문 = 87
권독 자료 = 88
언어 학습 경험 일지 목록 3 = 89
4. 인간의 학습 = 90
학습과 훈련 = 90
Pavlov의 고전적 행동주의 = 92
Skinner의 조작적 조건화 = 93
Ausubel의 유의적 학습 이론 = 96
체계적 망각 = 99
Rogers의 인본주의 심리학 = 102
학습의 유형 = 105
전이, 간섭, 과잉 일반화 = 108
귀납적 추론과 연역적 추론 = 111
적성과 지능 = 112
교실 상황 : 1970년대의 "디자이너" 교수법들 = 118
연구 및 토론을 위한 주제와 질문 = 125
권독 자료 = 126
언어 학습 경험 : 일지 목록 4 = 127
5. 학습 유형과 전략 = 128
과정, 유형, 전략 = 128
학습 유형 = 129
장 독립성 = 131
좌뇌와 우뇌 기능 = 135
애매모호성 관용 = 137
심사숙고형과 충동형 = 138
시각적 유형과 청각적 유형 = 140
전략 = 141
학습 전략 = 143
의사소통 전략 = 146
회피 전략 = 148
보상 전략 = 148
전략 중심 지도법 = 150
교실 상황 : 학습 유형과 전략의 실제 = 155
연구 및 토론을 위한 주제와 질문 = 159
권독 자료 = 161
언어 학습 경험 : 일지 목록 5 = 162
6. 성격 요인 = 163
정의적인 영역 = 164
자아 존중 = 166
억제 = 169
모험 시도 = 172
두려움 = 173
감정 이입 = 176
외향성 = 178
Myers-Briggs의 성격 유형 = 180
동기 = 184
도구적 지향성과 통합적 지향성 = 187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 = 190
정의의 신경 생물학 = 192
정의적 요인의 측정 = 193
교실 상황 : 교수법들을 고찰하려면 = 196
연구 및 토론을 위한 주제와 질문 = 200
권독 자료 = 202
언어 학습 경험 : 일지 목록 6 = 203
7. 사회 문화적 요인 = 205
고정관념에서 일반화까지 = 207
태도 = 210
제2 문화 습득 = 211
사회적 거리 = 215
교실에서의 문화 = 219
언어 정책과 정치 = 223
세계 영어 = 223
제2 언어로서의 영어와 외국어로서의 영어 = 224
언어 제국주의와 언어 보유권 = 225
언어 정책과 "영어 전용" 논쟁 = 226
언어, 사고, 문화 = 227
교실 상황 : 원리에 입각한 언어 교육 접근법에 대하여 = 233
연구 및 토론을 위한 주제와 질문 = 235
권독 자료 = 237
언어 학습 경험 : 일지 목록 7 = 238
8. 언어간 영향과 학습자 언어 = 240
대조 분석 가설 = 240
대조 분석 가설에서 언어간 영향론까지 = 244
유표와 보편 문법 = 248
학습자 언어 = 249
오류 분석 = 251
실수와 오류 = 252
오류 분석에서의 오류 = 254
오류 식별과 기술 = 255
오류의 원인 = 259
언어간 전이 = 260
언어내 전이 = 261
학습의 장 = 263
의사소통 전략 = 264
학습자 언어 발달 단계 = 264
학습자 언어의 변이성 = 267
화석화 = 270
언어 형태 중심 지도법 = 272
오류 처리 = 274
교실 상황 : 오류 처리 모델 = 280
연구 및 토론을 위한 주제와 질문 = 283
권독 자료 = 285
언어 학습 경험 : 일지 목록 8 = 286
9. 의사소통 능력 = 287
의사소통 능력 개념 정의 = 288
언어 기능 = 292
기능 중심 교수 요목 = 295
담화 분석 = 296
대화 분석 = 298
화용론 = 301
언어와 성별 = 303
스타일과 언어 사용역 = 304
비언어적 의사소통 = 307
신체 언어학 = 307
눈맞춤 = 309
근접 공간학 = 309
옷과 소지품 = 310
감각학 = 310
후각 = 310
교실 상황 :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 = 312
연구 및 토론을 위한 주제와 질문 = 314
권독 자료 = 315
언어 학습 경험 : 일지 목록 9 = 317
10. 제2 언어 습득 이론 = 318
제2 언어 습득 이론의 구축 = 319
영역들과 일반화된 것들 = 319
가설과 주장 = 322
생존 가능한 이론을 위한 기준 = 324
선천성 모델 : Krashen의 입력 가설 = 326
인지 모델 = 331
McLaughlin의 주의 집중·처리 모델 = 331
암시·명시적 모델들 = 334
사회 구성주의적 모델 : Long의 상호 작용 가설 = 336
이론에서 실제로 = 339
어려운 상황에 처한 : 언어 습득의 생태학 = 346
연구 및 토론을 위한 주제와 질문 = 349
권독 자료 = 351
언어 학습 경험 : 마지막 일지 = 352
참고 문헌 = 355
찾아보기(인명) = 399
찾아보기(용어) = 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