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영역 외주정책의 실효성 확보 방안 연구 = 33
1. 연구 목적 = 34
2. 외주정책의 의미 = 36
1) 도입의 근거에 대한 이론적 논의 = 36
2) 외국의 사례와 경향 = 43
3. 외주정책의 공과 논의: 공과에 대한 찬반 논쟁의 내용과 그 의미 = 64
1) ''외주정책''에 대한 논쟁의 출발: 효율성 편익 vs 시장지배력 폐해 = 64
2) 외주정책의 성과와 대안에 대한 입장 = 68
4. 외주의 현황과 과제 = 69
1) 외주의 실태 = 69
2) 외주의 정책적 과제: 딜레마 분석 = 74
5. 새로운 모색 = 83
6. 결론 = 93
제2영역 외주전문채널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 101
1. 서론: 외주전문채널 도입의 맥락 = 102
2.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04
3. 신규 지상파 채널로서의 외주전문채널 = 108
4. 신규 지상파 채널의 생존 가능성 = 110
5. 신규 지상파 채널의 경제적 영향 = 119
1) 지상파 방송 시장에 미칠 영향 = 119
2) 신문 시장에 미칠 영향 = 126
6. 외주전문채널의 재원구조별 유형 = 132
7. 유형별 외주전문채널의 경제적 영향 = 133
1) 광고운영 모형 = 134
2) 광고와 공적 재원의 혼합형 모형 = 136
8. 논의 및 결론 = 141
제3영역 외주전문채널의 사회문화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 149
1. 서론: 외주전문채널을 바라보는 관점의 확대 = 150
2. 국내 방송의 사회문화적 정체성(停滯性) = 156
1) 방송 다양성의 차원과 국내 방송문화의 편협성 = 156
2) 방송 다양성의 핵심 요소로서 공급원의 다양성 = 165
3) 방송의 문화적 다양성 구현정책의 필요성 = 166
3. 해외 경험사례 분석 = 169
1) 영국의 채널4 = 169
2) 독일의 아르테(ARTE) = 203
4. 결론 : 사회문화적 효과를 최적화하기 위한 정책방안 = 215
제4영역 방송 독과점의 역기능 완화 방안 연구 = 227
1. 서론 = 228
2. 방송 독과점의 개념 및 차원 = 230
1) 경제적 집중현상 = 231
2) 수용자 집중현상 = 235
3. 방송 독과점의 구체적 양상 및 변화 = 238
1) 외국의 경우 = 238
2) 국내 지상파 방송의 독과점 상황 및 변화 = 241
4. 방송 독과점의 문제점 및 규제방식 = 254
1) 방송 독과점의 경제적 문제점 = 254
2) 방송 독과점의 사회정치적 문제점 = 255
5. 현행 방송 독과점 규제방식 및 실효성 평가 = 256
6. 논의 및 결론 = 258
1) 방송 독과점 논의의 특수성 = 258
2) 방송 독과점에 대한 대응 방안 = 262
제5영역 DMB 등 뉴미디어 산업 성장 전망 및 육성방안 연구 : 모바일, DMB 콘텐츠 시장을 중심으로 = 267
1. 서론 = 268
2. 방송통신 융합 환경 하에서의 콘텐츠 산업 = 269
1) 콘텐츠의 상품의 개념과 유형 = 269
2) 콘텐츠 상품의 특성 = 271
3) 방송통신 융합과 디지털 콘텐츠 생산, 유통, 소비 모델의 변화 = 282
4) 디지털 플랫폼하의 콘텐츠 고유 속성의 변화 = 287
3. 모바일 콘텐츠 상품의 특성과 유통 시장 현황 = 289
1) 모바일 콘텐츠 상품의 특성과 유형 = 289
2) 모바일 콘텐츠 산업의 분류체계 = 298
3) 모바일 콘텐츠 시장의 현황 및 사업 유형과 전망 = 303
4. 통신형 모바일 콘텐츠 유통 모델과 문제점 = 307
1) 통신형 모바일 콘텐츠 거래 유형 = 307
2) 통신형 모바일 콘텐츠 유통 구조의 문제점 = 313
5. 방송형 모바일 콘텐츠 유형과 특징; DMB 서비스 = 315
1) DMB의 도입 배경 = 315
2) 기존 방송 콘텐츠와 DMB 콘텐츠의 관계 = 318
3) DMB 콘텐츠와 이동 수신 환경의 특성 = 319
6. 결론 및 제언 =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