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Ⅰ부 발달의 요인과 원리
제1장 발달연구의 계보와 방법 = 19
1. 아동발달연구의 발전계보 = 19
1) 발달의 개념과 영역 = 19
2) 아동발달연구의 발전계보 = 22
2. 이동발달의 연구방법 = 23
1) 횡단적 연구와 종단적 연구 = 23
2) 격리법과 쌍생아 통제법 = 24
3) 실태 조사 연구법 = 26
4) 임상 면접 연구법 = 26
제2장 아동발달의 일반적 요인 = 29
1. 유전적 요인 = 29
1) 생득설 = 29
2) 유전성 정신질환의 예 = 31
2. 생리적ㆍ기관적 요인 = 33
1) 뇌척수계 = 33
2) 자율신경계 = 42
3) 내분비계 = 44
4) 뇌의 손상과 기능의 변화 = 48
3. 환경적 요인 = 50
1) 경험설 = 50
2) 환경의 유형 = 51
3) 가정환경 = 52
4) 학교환경 = 57
5) 사회문화적 환경 = 57
4. 유전과 환경의 관계 = 58
1) Stern의 폭주설 = 58
2) Woodworth의 면적설 = 59
3) Jensen의 상호작용설 = 59
제3장 아동발달의 기본원리 = 61
1. 아동발달의 형 = 61
2. 아동발달의 기본원리 = 62
1) 일반적 유사성의 원리 = 62
2) 연속성의 원리 = 63
3) 분화 통합성의 원리 = 63
4) 발달속도차의 원리 = 64
5) 상관성의 원리 = 66
6) 방향, 순서, 계열성의 원리 = 66
7) 성숙과 학습의 상호작용의 원리 = 68
제4장 발달단계와 과업 = 69
1. 발달단계 = 69
1) 발달단계의 의미 = 69
2) 발달단계의 구분 = 70
2. 발달과업 = 72
1) 발달과업의 개념 = 72
2) 발달과업의 내용 = 72
제Ⅱ부 아동발달의 영역별 특성
제1장 신체발달 = 77
1. 태아기 = 77
1) 배아기 = 77
2) 태아기 = 78
2. 신생아기 = 78
1) 신체의 크기 = 79
2) 뇌와 신경계 = 80
3) 호흡계 = 82
4) 감각기관의 발달 = 83
3. 영아기 = 86
1) 신체의 크기 = 87
2) 골격과 근육 = 88
4. 유아기 = 90
1) 신장ㆍ체중의 발육 = 90
2) 뇌발달 = 90
3) 신체의 발육에 영향을 주는 조건 = 90
5. 학령기 = 91
1) 신체의 크기 = 91
2) 신체적 비율 = 92
3) 골격과 치아의 발달 = 93
4) 기타 신체기관의 발달 = 93
제2장 운동발달 = 95
1. 신생아기 = 95
1) 신생아기의 운동 경향 = 95
2) 전신운동 = 95
3) 특수운동 = 95
2. 영아기 = 98
1) 이동운동 = 98
2) 조작운동 = 100
3) 정상 운동발달 수준 = 101
3. 유아기 = 102
1) 유아기 운동의 특징 = 102
2) 손가락 동작의 발달 = 102
3) 가정 및 유치원에서의 운동지도 = 102
4. 학령기 = 103
1) 일반적 경향 = 103
2) 건강과 위생의 지도 = 104
제3장 지적 발달 = 105
1. 영아기 = 105
1) 일반적 경향 = 105
2) 시각과 지각의 발달 = 106
3) 인지기능의 발달 = 106
4) 언어의 발달 = 107
2. 유아기 = 109
1) 언어발달 = 109
2) 지각의 발달과 미분화성 = 109
3) 전조작적 사고 = 110
4) 자기 중심적 사고와 유아의 세계관 = 111
5) 호기심과 흥미 = 112
6) 지적 발달의 조건 = 112
3. 학령기 = 113
1) 지각 및 시간의식의 발달 = 113
2) 지능 발달 = 114
3) 호기심의 발달 = 115
4) 사고력의 발달 = 115
5) 기억력의 발달 = 116
제4장 정서ㆍ태도 및 성격발달 = 119
1. 신생아기 = 119
1) 신체적 피부 접촉의 중요성 = 119
2) 심리적 안정감과 신뢰감의 조성 = 120
2. 영아기 = 121
1) 정서의 분화 = 121
2) 애착행동의 발달 = 124
3. 유아기 = 127
1) 가정환경의 중요성 = 127
2) 정서발달 = 128
3) 성격의 기초형성과 사회성 발달 = 130
4. 학령기 = 134
1) 정서발달 = 134
2) 사회성 발달 = 137
3) 도덕성 발달 = 140
제5장 발달 및 행동장애 = 143
1. 신생아기 = 143
1) 수정시 요인 = 143
2) 임신초기 요인 = 145
3) 태아기 요인 = 147
4) 출생시 요인 = 149
2. 영아기 = 150
1) 유전적 요인 = 150
2) 외인성 기질적 요인 = 152
3) 심리적 요인 = 153
3. 유아기 = 154
1) 유전적 요인 = 154
2) 외인성 기질적 요인 = 155
3) 심리적 요인 = 159
4. 학령기 = 164
1) 유전적 요인 = 164
2) 외인성 기질적 요인 = 170
3) 심리적 요인 = 176
제Ⅲ부 아동발달이론의 개관
제1장 Gesell의 성숙이론 = 193
1. 성숙의 개념과 발달의 기본원리 = 193
1) 성숙의 개념 = 193
2) 발달의 기본법칙 = 194
2. 성장패턴과 과정 = 195
1) 패턴연구 = 195
2) 성장의 원리 = 197
3. 개성 = 199
제2장 Freud의 성격발달이론 = 201
1. 심리성욕 단계의 개념 = 201
1) 성격 결정설 = 201
2) 성격의 발달단계설 = 202
3) 일차적 성적 부위 = 202
4) 좌절과 방임 = 203
5) 퇴행과 고착 = 203
2. 심리성욕 발달단계 = 204
1) 구강기 = 204
2) 항문기 = 206
3) 남근기 = 207
4) 잠복기 = 212
5) 생식기 = 213
제3장 Erikson의 자아발달이론 = 215
1. 성숙의 점성원칙 = 215
2. 인간발달의 여덟단계 = 217
1) 영아기 = 217
2) 유아기 초기 = 217
3) 유아기 = 217
4) 학동기 = 218
5) 청년기 = 218
6) 성인기 초기 = 218
7) 성인기 = 219
8) 성숙기 = 219
제4장 Murray의 유아기 콤플렉스 발달론 = 221
1. 기본 입장 = 221
2. 콤플렉스 발달단계 = 222
1) 폐소 콤플렉스 = 222
2) 구강 콤플렉스 = 223
3) 항문 콤플렉스 = 223
4) 요도 콤플렉스 = 224
5) 거세 콤플렉스 = 224
제5장 Piaget의 인지 및 도덕성 발달이론 = 225
1. Schema = 225
2. 인지발달의 단계 = 226
1) 감각운동기 = 226
2) 전조작적 사고기 = 227
3) 구체적 조작기 = 229
4) 형식적 조작기 = 231
3. Piaget의 도덕성 발달단계설 = 232
1) 제1단계 : 타율적 도덕성의 단계 = 233
2) 제2단계 : 자율적 도덕성의 단계 = 233
제6장 Vygotsky의 사회ㆍ문화적 인지발달이론 = 235
1. 사회ㆍ문화적 접근법 = 235
2. 언어와 사고의 발달단계설 = 236
1) 언어의 발달단계 = 236
2) 사고의 발달단계 = 239
3) 언어의 발달과 사고발달의 관계 = 244
제7장 Lorenz의 각인이론 = 245
1. 각인과 결정적 시기 = 245
2. 각인의 대상과 범위 = 246
제8장 Bowlby의 애착행동이론 = 249
1. 애착행동의 유형과 과정 = 249
2. 애착의 단계 = 251
1) 1단계(0~3개월) = 251
2) 2단계(3~6개월) = 253
3) 3단계(6개월~3세) = 254
4) 4단계(3세~아동기 말) = 256
3. 수용시설 양육의 영향 = 257
1) 각인으로서의 애착 = 257
2) 시설적 결핍의 영향 = 258
3) 격리작용의 영향 = 259
제9장 Chomsky의 언어발달이론 = 261
1. 변형규칙 = 261
1) 규칙의 중요성 = 261
2) 변형규칙 = 262
3) 언어획득 장치 = 264
2. 문법과 표현의 발달 = 265
1) 영아기의 언어 = 265
2) 문법의 발달 = 266
3) 변형 = 268
4) 보편성 = 270
제10장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 273
1. 도덕성의 발달단계설 = 273
2. 도덕적 딜레마 = 274
3. 도덕성 판단의 6단계 = 275
1) 인습이전 수준의 도덕성 = 275
2) 인습수준의 도덕성 = 278
3) 인습 이후 수준의 도덕성 = 281
제11장 Montessori의 민감기이론 = 285
1. 민감기의 개념 = 285
2. 민감기의 유형 = 286
1) 질서에 대한 민감기 = 286
2) 세부에 대한 민감기 = 286
3) 양손 사용에 대한 민감기 = 287
4) 걷기에 대한 민감기 = 287
5) 언어에 대한 민감기 = 288
3. 민감기의 가정 조기교육론 = 291
제12장 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이론 = 293
1. 고전적 조건형성 모형 = 293
2. 소거 = 294
3. 자극일반화와 변별 = 295
1) 자극일반화 = 295
2) 변별 = 295
4. 고차적 조건형성 = 296
제13장 Watson의 정서의 조건형성이론 = 297
1. 조건자극과 정서반응 = 297
1) 공포 = 297
2) 분노 = 298
3) 사랑 = 298
2. 공포 조건형성의 실험 = 299
제14장 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 = 301
1. 조작적 행동 = 301
2. 조건형성의 원리 = 303
1) 강화와 소거의 원리 = 303
2) 즉시강화의 원리 = 304
3) 변별자극의 원리 = 304
4) 일반화의 원리 = 305
5) 행동조성의 원리 = 306
6) 강화계획의 원리 = 307
7) 벌의 원리 = 308
제15장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 311
1. 관찰학습 = 311
1) 관찰학습과 모델링 = 311
2) 관찰학습의 4부분 모형 = 312
2. 사회화 과정 = 315
1) 공격성 = 315
2) 성역할 = 317
3) 자기강화 = 318
4) 친사회적 행동 = 320
제16장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발달이론 = 321
1. 생태학적 접근의 개념과 특징 = 321
1) 생태학적 접근의 개념 = 321
2) 생태학적 접근의 특징 = 322
2. 환경체계의 영향 = 322
1) 미시체계 = 322
2) 중간체계 = 323
3) 외체계 = 324
4) 거시체계 = 325
5) 시간체계 = 325
참고 문헌 = 327
찾아 보기 = 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