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시대를 선도하는 문학의 물결) 21세기 문예이론

(시대를 선도하는 문학의 물결) 21세기 문예이론 (2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성곤 , 편저
서명 / 저자사항
(시대를 선도하는 문학의 물결) 21세기 문예이론 / 김성곤 편저.
발행사항
서울 :   문학사상사 ,   2005.  
형태사항
289 p. ; 23 cm.
기타표제
문학과 시대의 새로운 흐름, 그 길잡이로서의 문예이론.
ISBN
8970127178
000 00655camccc200217 k 4500
001 000045239783
005 20100807031251
007 ta
008 051205s2005 ulk 000c kor
020 ▼a 8970127178 ▼g 03800: ▼c \8,500
035 ▼a (KERIS)BIB000010238997
040 ▼a 211040 ▼c 211040 ▼d 211040 ▼d 244002
082 0 4 ▼a 801 ▼2 22
090 ▼a 801 ▼b 2005a
245 2 0 ▼a (시대를 선도하는 문학의 물결) 21세기 문예이론 / ▼d 김성곤 편저.
246 0 3 ▼a 문학과 시대의 새로운 흐름, 그 길잡이로서의 문예이론.
260 ▼a 서울 : ▼b 문학사상사 , ▼c 2005.
300 ▼a 289 p. ; ▼c 23 cm.
700 1 ▼a 김성곤 , ▼e 편저 ▼0 AUTH(211009)22076
940 0 ▼a 이십일세기 문예이론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1 2005a 등록번호 11139778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1 2005a 등록번호 1113977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01 2005a 등록번호 15119853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01 2005a 등록번호 15119853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1 2005a 등록번호 11139778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1 2005a 등록번호 1113977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01 2005a 등록번호 15119853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01 2005a 등록번호 15119853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21세기 문예사조와 비평이론의 흐름을 탐색하는 책으로, 2003년 초부터 2년간 월간 「문학사상」에 실렸던 연재물을 모아 엮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세계문단과 학계에서 일어난 변화를 담아내고, 이와 관련된 한국문단과 학계의 수용 및 적용 문제를 함께 다루었다.

페미니즘, 포스트모더니즘, 정신분석 등 비교적 전통적인 문예이론을 비롯해 2000년 이후 활발히 부각되기 시작한 문학과 과학기술, 디지털 서사, 몸담론 등을 망라하여, 새로운 시각과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성곤(엮은이)

뉴욕 주립대학교(버펄로)에서 영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컬럼비아대학교에서 비교문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2017년 뉴욕 주립대학교에서 명예 인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2018년에는 조지 워싱턴대학교에서 초빙 석학교수로 강의했다. 2014년까지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서울대 언어교육원장, 출판문화원장, 미국학연구소장을 역임했다. 학계에서는 국제비교한국학회 회장, 문학과 영상학회 회장, 한국아메리카학회 회장, 현대영미소설학회 회장을 지냈으며, 정부에서는 문체부 산하 한국문학번역원장을 맡아 한국문학의 세계화를 위해 일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자 다트머스대학교 객원 교수로 있다. 저서로 『문화로 보는 세상, 문화로 읽는 미래』, 『경계해체시대의 인문학』, 『문학의 명장면』, 『경계를 넘어서는 문학』, 『글로벌 시대의 문학』, 『뉴미디어 시대의 문학』 등이 있다. 우호인문학상, 김환태평론문학상을 수상했으며, 2018년 스페인 정부로부터 La Orden del Merito Civil (Cruz de Oficial) 훈장을 수훈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편저자의 말 - 문학과 시대의 새로운 흐름, 그 길잡이로서의 문예이론
1부 과학기술 시대의 문학, 그 담론들
 1. 정보시스템 이론(Information Systems Theory)
  문학과 과학, 또는 '정보시스템' 이론 / 김성곤 = 15
 2. 생태주의 이론(Eco-criticism)
  환경위기 시대의 생태주의 문학 / 정정호 = 23
 3. 디지털 이론(Digital Theory)
  새로운 기술과 탈근대의 세계관의 만남 / 최혜실 = 31
 4. 생체윤리 이론(Bio-ethics)
  포스트휴먼 시대의 문학, 뉴럴 텍스트(neural text) / 김상구 = 40
2부 세계화 시대의 문학, 경계와 구분을 넘어
 1. 비교문학(Comparative Literature)
  초국성 시대의 문학연구 / 박진임 = 55
 2. 잡종 이론(Hybrid Culture)
  문화적 전 지구성과 문화적 잡종성 / 이소희 = 66
 3. 탈식민주의 이론(Postcolonialism)
  저항을 넘어 통합과 포용의 세계로 / 김상률 = 81
3부 소외된 타자를 위한 문학, 다원화 시대의 문예이론
 1. 페미니즘 이론(Feminism)
  서구 페미니스트 문학비평과 한국의 여성문학 / 최영 = 95
 2. 하위주체 이론(Sub-altern Studies)
  억압계층의 저항적 목소리 되찾기 / 안지현 = 106
 3. 소수인종 이론(Minority Cultures)
  '자치권' 획득의 추구, 미국 원주민의 민족주의 구현 / 박은정 = 114
 4. 사이보그 페미니즘(Cyborg Feminism)
  '사이보그'에서 '동반종'으로 / 유제분 = 123
 5. 레즈비언ㆍ게이 이론(Lesbian-Gay Studies)
  섹슈얼리티의 민주화와 레즈비언·게이 이론의 변동 / 노승희 = 132
4부 텍스트로서의 문학, 새로운 시도 새로운 도전
 1. 해체 이론(Deconstruction)
  해체(구성)란 무엇인가 / 장경렬 = 145
 2. 서사학(Narrative Theory)
  소설에서 서사로 / 변지연 = 157
 3. 언어시 운동(Language Poetry)
  '언어시 운동'과 찰스 번스틴 / 정은귀 = 168
 4. 그래픽 소설(Graphic Novel)
  미국 소설의 새로운 장르, '그래픽 소설' / 최진영 = 176
5부 역사 속의 문학 읽기, 현재진행형 문예이론들
 1.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근대의 부정적 유산에 대한 저항의 정치학 / 박인찬 = 187
 2. 신역사주의(New Historicism)
  신역사주의 역사화하기 / 김경한 = 196
 3. 문화유물론(Cultural Materialism)
  문화는 물질적이다 / 여건종 = 207
 4. 바흐친 이론(Bahktin's Theory)
  21세기의 바흐친, 그 꺼지지 않는 신화 / 조준래 = 216
6부 21세기 문학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1. 문화연구(Cultural Studies)
  위기에 처한 저항적 분과학문 / 송승철 = 233
 2. 정신분석 이론(Psychoanalysis Theory)
  새로운 상호텍스트로서의 정신분석 / 박찬부 = 244
 3. 몸담론(Body Discourse)
  문예학으로서의 몸담론 / 황훈성 = 254
 4. 문학윤리(Literary Ethics)
  윤리학적 비평이론이 가리키는 주체와 그 욕망 / 이재성 = 267
 5. 페다고지 이론(Pedagogy Theory)
  비판적 페다고지와 문학 교육 / 이소영 = 27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