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북한연구 방법론
제1절 북한연구의 시각 및 접근법 = 15
제2절 북한문제의 접근방법 = 17
1. 내재적 접근방법 = 17
2. 외재적 접근방법 = 18
제3절 내 외재적 접근법의 문제점 = 21
1. 내재적 접근방법의 문제점 = 21
2. 외재적 접근방법의 문제점 = 22
3. 내재적 외재적 접근법 구분의 무용성 = 22
제4절 결론 = 23
제2장 사회과학의 접근법
제1절 접근방법의 의미 = 25
제2절 접근방법의 분류 = 26
1. 역사적 접근방법 = 26
2. 법적 제도적 접근방법 = 26
3. 관리기능적 접근방법 = 27
4. 행태론적 접근방법 = 28
5. 체제론적 접근방법 = 30
6. 생태론적 접근방법 = 32
7. 해석학적 접근법 = 35
8. 비교연구방법 = 38
9. 경험적 방법 = 39
제3장 상징론적 접근법
제1절 상징의 개념 = 41
제2절 상징의 개념차원 = 42
1. 은유성 = 42
2. 한계성 = 43
3. 모호성 = 43
제3절 상징의 존재양식과 종류 = 44
제4절 상징조작 = 46
1. 여론 = 46
2. 선전 = 47
3. 피알 = 47
4. 정보왜곡 = 47
제5절 상징효과 = 48
1. 의제설정단계에서의 상징효과 = 48
2. 정책결정단계의 상징효과 = 49
3. 정책집행과정에서의 상징의 효과 = 50
4. 정책평가과정에서의 상징 효과 = 51
제6절 상징주의적 시각 = 53
제4장 북한의 문화와 예술
제1절 북한 문화예술의 특징 = 55
1. 북한문예의 원칙 = 55
2. 문예이론과 창작원칙 = 57
제2절 문화 예술분야 활동실태 = 60
1. 문학 = 60
2. 음악 및 가극 = 61
3. 무용 = 62
4. 미술 = 63
5. 영화 및 연극 = 64
제3절 문예단체 기구 = 66
제5장 북한의 문예정책
제1절 서론 = 69
제2절 북한의 문예정책과 종자론 = 71
1. 문예정책 = 71
2. 주체문예 이론 = 73
3. 종자론 = 76
제3절 김정일의 문예정책 = 79
1. 북한 문학의 발자취 = 79
2. 당의 문학 통제 = 80
3. 김정일과 문예정책 = 82
제4절 북한 문예정책의 문제점 = 85
1. 북한 문예정책의 문제점 = 85
2. 북한 문예정책의 해결방안 = 88
3. 통일에 대한 북한 문예정책의 방향 = 89
제5절 결론 = 95
제6장 북한의 미술
제1절 북한미술의 이해 = 99
제2절 북한의 미술 정책 = 100
1. 북한의 사회주의 미술정책 = 100
2. 북한의 미술가와 미술계 조직 = 103
3. 활동상황 및 작품경향 = 107
제3절 북한미술의 시기별 변화 = 109
1. 평화적 민주 건설시기 = 110
2. 조국광복 전쟁 시기 = 110
3. 전후복구 사회주의기초 건설시기 = 111
4. 천리마 시기 = 112
5. 사회주의 건설시기 주체미술 대전성기 = 113
6. '주체사실주의' 구현 김일성사망후 현재 = 114
제4절 주체 미술의 논리 = 116
1. 주체사상과 주체미술 = 116
2. 김일성의 주체미술 교시 = 118
3. 김정일의 주체 사실주의 지도 = 120
제5절 남북한의 미술 비교 = 126
1. 북한의 미술 = 126
2. 남한의 미술 = 127
3. 통일을 대비한 미술정책의 제안 = 128
제6절 결론 = 129
제7장 북한의 영화
제1절 서론 = 133
제2절 북한 영화의 정책 = 134
1. 김일성 지도기 = 134
2. 김일성 김정일 공동 지도기 = 139
3. 김정일 지도기 = 143
4. 북한영화의 정치적 기능 = 144
제3절 북한 영화정책의 실태와 선전전략 = 147
1. 북한 영화정책의 실태 = 147
2. 북한영화의 선전전략 = 159
3. 남북한 주민에게 미치는 영향 = 160
제4절 남북한의 영화 교류 = 161
1. 민간차원의 교류 = 162
2. 정부 차원의 교류 = 165
3. 북한영화의 수입 = 166
제5절 통일에 대비한 영화교류의 방향 = 167
1. 남북한 영화교류의 문제점 = 167
2. 남북한 영화교류의 해결 방향 = 168
3. 통일에 대비한 영화교류 = 169
제6절 결론 = 170
제8장 북한의 연극
제1절 서론 = 173
제2절 북한연극의 조직 및 실태 = 174
1. 조직 = 174
2. 연극 분야 내용 = 175
3. 장르별 실태 = 175
제3절 북한연극의 전개과정 = 176
1. 광복직후 = 176
2. 6ㆍ25 동란 시기 = 177
3. 전후 복구시기 = 177
4. 1960년대 = 178
5. 1970년대 = 178
6. 1980년대 = 179
7. 1990년대 = 180
제4절 북한연극의 특성 = 180
1. 북한연극의 공연방식 = 180
2. 연극혁명과 성황당식 연극의 특성 = 185
제5절 북한연극의 문제점 = 194
1. 북한연극의 현실 = 195
2. 북한연극의 과제 = 196
3. 통일을 대비한 북한연극의 방향 = 198
제9장 북한의 음악
제1절 서론 = 201
제2절 북한 음악의 특징 = 202
1. 주체사상과 음악 = 202
2. 북한 음안의 기본형식과 종류 = 205
3. 북한 문화예술의 특징 = 206
제3절 남북한 음악교육 비교 = 208
1. 교육과정의 교과 편제 = 208
2.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 = 209
3. 남북한 음악교과서 비교 = 217
제4절 통일에 대비한 음악교육의 문제점 = 219
1. 음악교육의 문제점 = 219
2. 남북한 음악의 문제점 해소방안 = 221
3. 통일에 대비한 음악교육정책의 방향 = 223
제5절 결론 = 225
제10장 북한의 민속놀이
제1절 서론 = 227
제2절 민속놀이 = 228
1. 민속놀이의 역사 = 228
2. 민속놀이의 분류 = 230
3. 민속놀이의 전통과 계승 = 231
제3절 북한의 민속놀이 = 232
1. 북한 민속놀이의 의의 = 233
2. 북한 민속놀이의 특성 = 234
3. 북한 민속놀이의 변화 = 235
4. 북한 민속놀이의 분류 = 238
제4절 남북한의 민속놀이 비교 = 257
1. 남한의 민속놀이 = 257
2. 민속놀이 비교 = 258
3. 민속놀이교류방향 = 259
제5절 결론 = 261
제11장 북한의 체육
제1절 서론 = 263
제2절 북한 체육 관계법과 정책 = 265
1. 북한 체육 관계법 = 265
2. 체육 정책 = 267
3. 체육인 양성기관 = 272
제3절 북한의 체육 행정 = 274
1. 체육교육 행정체제 = 274
2. 북한 체육 분류 = 275
3. 북한체육인의 대우 = 282
제4절 북한 체육의 문제점 = 284
1. 문제점 = 284
2. 해결 방안 = 286
3. 통일대비 북한 체육의 방향 = 287
제5절 결론 = 290
제12장 북한의 무용
제1절 서론 = 293
제2절 북한무용 변천사 = 295
1. 광복직후 = 295
2. 6ㆍ25 동란 시기 = 296
3. 1960년대 = 296
4. 1970~1980년대 = 297
5. 1990년대 이후 = 298
제3절 북한무용의 종류 = 299
1. 고전무용 = 299
2. 현대무용 = 300
3. 군중무용 = 301
제4절 북한무용과 한국무용 = 302
1. 북한무용의 특징 = 302
2. 한국무용의 특징 = 305
3. 북한무용과 한국무용의 차이점 = 307
4. 통일에 대비한 북한무용의 방향 = 309
제5절 결론 = 310
제13장 남북한의 문화예술교류
제1절 서론 = 313
제2절 남북한 문화예술관 정책비교 = 314
1. 한국의 문화예술관과 정책개관 = 314
2. 북한의 문화예술관과 정책개관 = 317
3. 남북한 문화예술관과 정책비교 = 323
제3절 남북한 문화예술교류 현황 = 325
1. 남북 교류현황 개관 = 325
2. 남북 정상회담 이전의 교류현황 = 326
3. 남북 정상회담 이후의 교류 현황 = 329
제4절 남북한 문화예술교류의 문제점 = 341
1. 문제점 = 341
2. 해결방안 = 342
제5절 결론 = 344
참고문헌 = 346
찾아보기 = 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