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교실수업의 혁신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교실수업의 혁신 (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유택열
서명 / 저자사항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교실수업의 혁신 / 柳澤烈 著.
발행사항
서울 :   교육과학사 ,   2005.  
형태사항
430 p. : 삽도 ; 26 cm.
ISBN
8982879374
서지주기
참고문헌(p. 419-424), 색인수록
000 00589camccc200217 k 4500
001 000045239643
005 20100807031105
007 ta
008 060125s2005 ulka b 001c kor
020 ▼a 8982879374 ▼g 93370
035 ▼a (KERIS)BIB000010275435
040 ▼a 211062 ▼d 211009
082 0 4 ▼a 371.3 ▼2 22
090 ▼a 371.3 ▼b 2005v
100 1 ▼a 유택열
245 2 0 ▼a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교실수업의 혁신 / ▼d 柳澤烈 著.
260 ▼a 서울 : ▼b 교육과학사 , ▼c 2005.
300 ▼a 430 p. : ▼b 삽도 ; ▼c 26 cm.
504 ▼a 참고문헌(p. 419-424), 색인수록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71.3 2005v 등록번호 1211244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71.3 2005v 등록번호 12112447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유택열(지은이)

<수업연구와 실제>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3
제1부 교실수업 혁신의 기초
 제1장 교실수업 혁신의 필요성 = 25
  Ⅰ. 수업의 질적 향상 = 26
   1. 수업의 질의 개념 = 26
   2. 교실수업의 질적 문제 분석 = 30
   3. 수업의 질적 혁신 과제 = 35
  Ⅱ. 교실수업 운영의 정상화 = 37
   1. 교육과정과 수업의 위상 = 37
   2. 새로운 수업의 정의 = 42
   3. 전개된 교육과정 운영 분석 = 47
   4. 교실수업 운영의 혁신 과제 = 53
  Ⅲ. 교육의 본질 구현 = 54
   1. 교육의 본질과 교실수업 = 54
   2. 교실수업의 본질적 문제 분석 = 62
   3. 교실수업의 본질적 혁신 과제 = 67
 제2장 교실수업 혁신 방법의 탐구 = 73
  Ⅰ. 교실수업의 혁신 마인드 형성 = 74
   1. 교육혁신의 의미 탐구 = 74
   2. 교육혁신의 핵심 파악 = 75
   3. 교육혁신의 주체 의식 확립 = 78
  Ⅱ. 상호보완적 접근 철학의 정립 = 79
   1. 미시적 접근과 거시적 접근 = 79
   2. 실증주의적 접근과 해석학적 접근 = 84
   3. 패러다임과 내러티브 = 86
  Ⅲ. 미시교육학적 접근 방법 = 89
   1. 새로운 접근 방식의 필요성 = 89
   2. 미시교육학의 구성 가능성 = 91
   3. 미시교육학적 접근의 원리 = 94
  Ⅳ. 교실수업 혁신 계획과 실천 방법 = 99
   1. 교실수업 혁신 추진 계획(사례) = 99
   2. 교실수업 혁신 실천 양식(사례) = 103
   3. 교실수업 혁신 기대 효과(변화) = 106
제2부 교실수업 혁신의 실제
 제3장 전적 지식의 구조관 혁신 = 111
  Ⅰ. 지식의 개념 = 112
   1. 지식의 의미 = 112
   2. 인지 역동 모형 = 114
   3. 상보적 지식관의 정립 = 116
  Ⅱ. 동적 지식의 구조관과 수업 유형 = 119
   1. 지식의 구조 유형 = 119
   2. 동적 지식의 구조 = 120
   3. 지식의 구조관과 수업 유형 = 124
  Ⅲ. 교실수업 경영관의 혁신 = 130
   1. 수업 목적ㆍ목표관의 혁신 = 130
   2. 수업 평가관의 혁신 = 132
   3. 교재 연구관의 혁신 = 132
 제4장 대단원 수업설계의 혁신 = 133
  Ⅰ. 수업모형 혁신의 이론적 기초 = 134
   1. 모형의 개념 = 134
   2. 수업모형 구안의 원리 = 137
   3. 수업이론의 유형 고찰 = 138
  Ⅱ. 조합적 수업모형 구안 방법 = 142
   1. 확일적 수업유형의 적용 문제 = 142
   2. 종적유형과 횡적유형의 분석 = 144
   3. 조합적 수업모형 구안 방법 = 144
  Ⅲ. 대단원 수업설계의 혁신 = 146
   1. 단원의 개념 = 146
   2. 대단원 목표의 구성과 설정 = 150
   3. 대단원 수업설계의 혁신 모형 = 155
  Ⅳ. 단위수업 3단계 설계의 혁신 = 158
   1. 혁신의 필요성 = 158
   2. 이론적 기초 = 159
   3. 단위수업 설계 모형 구안 = 162
  Ⅴ. 대단원 수업설계 혁신의 실제(사례) = 165
   1. 수업의 이론모형 구안 = 165
   2. 수업의 적용모형 구안 = 175
   3. 단위수업의 수업설계 모형 = 178
   4. 대단원 수업설계의 실제(사례) = 179
 제5장 단위수업 전개의 혁신 = 187
  Ⅰ. 학습문제 제시의 혁신 = 188
   1. 혁신의 필요성 = 188
   2. 이론적 기초 = 190
   3. 학습목표 제시의 방법 = 203
  Ⅱ. 교사 주도적 경쟁학습의 혁신 = 208
   1. 교사 주도적 학습의 문제 = 208
   2. 경쟁 학습의 문제 = 212
   3. 교사 주도적 경쟁학습의 혁신 = 215
  Ⅲ. 종결 단계의 혁신 = 217
   1. 정립 단계의 필요성 = 217
   2. 이론적 기초 = 218
   3. 지식의 정립 방법 = 223
  Ⅳ. 학습전이 개념의 혁신 = 224
   1. 학습전이의 이론 = 224
   2. 새로운 학습전이의 개념 = 227
   3. 일반화와 형성평가의 혁신 = 227
  Ⅴ. 학습의 시험 연계의 혁신 = 229
   1. 통합적 접근의 중요성 = 229
   2. 실천동기의 육성 = 231
   3. 행동화의 방법 = 232
 제6장 학생 학습평가의 혁신 = 235
  Ⅰ. 형성평가의 혁신 = 236
   1. 학습평가의 유형 = 236
   2. 형성평가의 문제 = 239
   3. 형성평가 혁신 방법 = 242
  Ⅱ. 총괄평가의 혁신 = 244
   1. 총괄평가ㆍ성취도 평가의 개념 = 244
   2. 총괄평가ㆍ성취도 평가의 문제 = 250
   3. 총괄평가의 혁신 방법 = 253
   4. 교과목표 기준 성취도 평가 = 260
   5. 교육목표 및 자기목표 기준 성취도 평가 = 264
  Ⅲ. 주관 서술형 평가 방법 = 268
   1. 주관 서술형 평가 모형 = 268
   2. 주관 서술형 평가 방법 = 269
   3. 결과해석 및 활용 = 274
제3부 수업연구의 혁신
 제7장 수업연구 체제의 혁신 = 281
  Ⅰ. 수업 연구의 의의 = 282
   1. 수업연구의 중요성 = 282
   2. 수업연구의 목적 = 283
   3. 수업연구와 연구수업 = 286
  Ⅱ. 학교 수업연구의 유형 = 286
   1. 수업연구의 패러다임 = 286
   2. 수업연구의 연구 형태 = 291
   3. 학교 수업연구의 유형 = 296
  Ⅲ. 주제 수업연구의 혁신 = 299
   1. 주제의 개념과 소재 = 299
   2. 주제 선정의 방법 = 306
   3. 연구문제의 선정 = 309
   4. 주제 진술의 방법 = 313
 제8장 이론적 배경 논술의 혁신 = 319
  Ⅰ. 이론적 고찰 방법 = 320
   1. 이론적 배경의 중요성 = 320
   2. 이론적 배경의 구성 = 321
   3. 이론적 고찰 방법 = 324
  Ⅱ. 이론적 배경의 논술 방법 = 326
   1. 종속변인(Y변인)의 논술 = 328
   2. 독립변인(X변인)의 논술 = 330
   3.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관계 논술 = 332
  Ⅲ. 선행연구의 분석과 논술 방법 = 334
   1. 선행연구의 분석 계획 = 334
   2. 인터넷 검색 방법 = 335
   3. 선행연구 분석 결과 논술 방법 = 337
 제9장 수업 협의회 운영의 혁신 = 341
  Ⅰ. 수업 협의회 운영 모형 = 342
   1. 수업 협의회 운영 스타일 = 342
   2. 탐구적 수업 협의회 운영 = 344
  Ⅱ. 수업 협의회 운영 방법 = 346
   1. 수업 협의회 진행 순서 = 346
   2. 소감발표 및 지도조언 = 347
   3. 수업 협의록 작성 및 보고 = 355
제4부 평가 및 과제
 제10장 교실수업 평가의 혁신 = 359
  Ⅰ. 거시적 양적평가 방법 = 360
   1. 언어 상호작용 분석법 = 360
   2. 필터(Filter)식 수업분석 = 361
  Ⅱ. 미시적 질적평가 방법 = 363
   1. 수업의 구조적 평가 = 364
   2. 수업의 외현적 평가 = 365
   3. 수업의 잠재적 평가 = 366
   4. 수업의 경영적 평가 = 367
   5. 교사의 자질적 평가 = 367
  Ⅲ. 조합적 수업평가 방법 = 369
   1. 조합적 수업평가 모형 = 369
   2. 조합적 수업 참관록 = 369
   3. 수업참관과 평가의 실제 = 371
 제11장 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혁신 = 379
  Ⅰ. 교육과정 운영의 개념 = 380
   1. 교육과정의 개념 = 380
   2. 교육과정 운영의 변천 = 386
   3. 교육과정 운영의 유형 = 388
  Ⅱ. 교육과정 운영 모형의 혁신 = 390
   1. 모형 구안의 배경 = 390
   2. 삶 중심 교육과정 운영 모형 = 399
   3. 삶 중심 교육과정 운영의 기대 효과 = 405
  Ⅲ. 학교 교육과정 운영 계획의 혁신 = 407
   1. 학교 교육과정 운영 계획의 개념 = 407
   2. 학교 교육과정 운영 계획 체제 모형 = 412
   3. 학교 교육과정 운영 계획 체제 = 417
참고문헌 = 419
찾아보기 = 42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