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아버지의 山 : 전병태 시조집

아버지의 山 : 전병태 시조집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전병태
서명 / 저자사항
아버지의 山 : 전병태 시조집 / 전병태 [지음].
발행사항
부산 :   신지서원 ,   2005.  
형태사항
143p. : 삽도,악보 ; 20cm.
ISBN
8955311257
000 00499namccc200181 k 4500
001 000045239487
005 20100807031011
007 ta
008 060316s2005 bnkag 000aw kor
020 ▼a 8955311257 ▼g 03810: ▼c \8,00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082 0 4 ▼a 895.715 ▼2 22
090 ▼a 897.1067 ▼b 전병태 아
100 1 ▼a 전병태
245 1 0 ▼a 아버지의 山 : ▼b 전병태 시조집 / ▼d 전병태 [지음].
260 ▼a 부산 : ▼b 신지서원 , ▼c 2005.
300 ▼a 143p. : ▼b 삽도,악보 ; ▼c 20cm.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97.1067 전병태 아 등록번호 15119923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전병태(지은이)

<아버지의 山>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 선정주
제1부 아버지의 산
 아버지의 산 1 = 12
 아버지의 산 2 = 13
 삼랑진 = 14
 무인도에서 = 15
 김해공항 = 16
 독도 1 = 18
 독도 2 = 19
 오륙도 = 20
 어촌일기 = 21
 덕천서원 바위 = 22
 10월 만리포 = 24
 소록도의 봄 = 25
 낙동강 = 26
 연 = 27
 낙동강역 = 28
 운주사지 = 29
 정동진에서 = 30
 동해일출 = 31
 대곡리 암각화 = 32
 운주사 와불 = 34
 대왕암 이야기 = 35
 금정산 찬가 1 = 36
 금정산 찬가 2 = 37
 금정산 찬가 3 = 38
 금정산 찬가 4 = 39
 백련사 동백꽃 = 40
제2부 거울을 닦는 뜻은
 거울을 닦는 뜻은 = 42
 목탁 = 43
 홍합 이야기 = 44
 바람 바람 바람 = 46
 소나기 = 47
 꼼장어 = 48
 해우소에서 = 49
 팽이 1 = 50
 팽이 2 = 51
 쫄 이야기 = 52
 농부와 장승 = 54
 덕천강 = 55
 노승 = 56
 첫사랑 = 57
 우리 동네 사람들 = 58
 처제 = 59
 노숙자의 꽁초 = 60
 손톱 = 61
 어느 조선족의 귀국 = 62
 붉은 악마 = 63
 겨울산을 오르며 = 64
 직녀 생각 = 66
 국민학교 동창회 = 67
 정시인 = 68
 공룡발자국 = 69
 돌섬의 항변 = 70
제3부 물처럼 살고 싶다
 물처럼 살고 싶다 = 72
 장마 = 73
 새벽 = 74
 자갈치 풍경 = 75
 탑 = 76
 초서 = 77
 비내리는 국제공항 = 78
 겨울비 = 80
 그믐달 = 81
 폐선 = 83
 겨울 암자 = 83
 나팔꽃 = 84
 종소리 = 85
 행초서 = 86
 등짐 = 87
 그림자 = 88
 낮달 일기 = 89
 요즘 석양 = 90
 철없는 고드름 = 91
 걸레처럼 살고 싶다 = 92
 수박 = 93
 타조 = 94
 연대봉에서 = 95
 촛불시위 = 96
 박물관 토기 = 97
 에밀레종 = 98
제4부 봉평리 일출무렵
 봉평리 일출 무렵 = 100
 봄마중 = 102
 수석 = 103
 석류 = 104
 난분 옆에서 = 105
 어머니의 텃밭 = 106
 까치밥 = 108
 신 정당매 = 109
 곶감 = 110
 도시의 민들레 = 111
 수곡 = 112
 담쟁이 = 113
 북어의 변 = 114
 칠점산 = 115
 해바라기 순정 = 116
 비구니 = 117
 진달래 1 = 118
 진달래 2 = 119
 보리밥 = 120
 봄비 = 122
 멸치의 한 = 123
 풍경 = 124
 연꽃 = 125
 우정 = 126
 탄의 일생 = 127
 가재순의 '줄장미와 아이들' = 128
제5부
 삶의 명암을 진솔하게 재 해석 〈평설 / 시조시인 정현대〉 = 130
 탑 〈악보 / 작곡 김영구〉 = 14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