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선정주
제1부 아버지의 산
아버지의 산 1 = 12
아버지의 산 2 = 13
삼랑진 = 14
무인도에서 = 15
김해공항 = 16
독도 1 = 18
독도 2 = 19
오륙도 = 20
어촌일기 = 21
덕천서원 바위 = 22
10월 만리포 = 24
소록도의 봄 = 25
낙동강 = 26
연 = 27
낙동강역 = 28
운주사지 = 29
정동진에서 = 30
동해일출 = 31
대곡리 암각화 = 32
운주사 와불 = 34
대왕암 이야기 = 35
금정산 찬가 1 = 36
금정산 찬가 2 = 37
금정산 찬가 3 = 38
금정산 찬가 4 = 39
백련사 동백꽃 = 40
제2부 거울을 닦는 뜻은
거울을 닦는 뜻은 = 42
목탁 = 43
홍합 이야기 = 44
바람 바람 바람 = 46
소나기 = 47
꼼장어 = 48
해우소에서 = 49
팽이 1 = 50
팽이 2 = 51
쫄 이야기 = 52
농부와 장승 = 54
덕천강 = 55
노승 = 56
첫사랑 = 57
우리 동네 사람들 = 58
처제 = 59
노숙자의 꽁초 = 60
손톱 = 61
어느 조선족의 귀국 = 62
붉은 악마 = 63
겨울산을 오르며 = 64
직녀 생각 = 66
국민학교 동창회 = 67
정시인 = 68
공룡발자국 = 69
돌섬의 항변 = 70
제3부 물처럼 살고 싶다
물처럼 살고 싶다 = 72
장마 = 73
새벽 = 74
자갈치 풍경 = 75
탑 = 76
초서 = 77
비내리는 국제공항 = 78
겨울비 = 80
그믐달 = 81
폐선 = 83
겨울 암자 = 83
나팔꽃 = 84
종소리 = 85
행초서 = 86
등짐 = 87
그림자 = 88
낮달 일기 = 89
요즘 석양 = 90
철없는 고드름 = 91
걸레처럼 살고 싶다 = 92
수박 = 93
타조 = 94
연대봉에서 = 95
촛불시위 = 96
박물관 토기 = 97
에밀레종 = 98
제4부 봉평리 일출무렵
봉평리 일출 무렵 = 100
봄마중 = 102
수석 = 103
석류 = 104
난분 옆에서 = 105
어머니의 텃밭 = 106
까치밥 = 108
신 정당매 = 109
곶감 = 110
도시의 민들레 = 111
수곡 = 112
담쟁이 = 113
북어의 변 = 114
칠점산 = 115
해바라기 순정 = 116
비구니 = 117
진달래 1 = 118
진달래 2 = 119
보리밥 = 120
봄비 = 122
멸치의 한 = 123
풍경 = 124
연꽃 = 125
우정 = 126
탄의 일생 = 127
가재순의 '줄장미와 아이들' = 128
제5부
삶의 명암을 진솔하게 재 해석 〈평설 / 시조시인 정현대〉 = 130
탑 〈악보 / 작곡 김영구〉 = 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