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화폐와 문학 = 11
1 씌어진 것으로서의 네이션
01 대상과 논제 - 민족 담론과 자국어 글쓰기 = 29
02 개념과 문제틀 - 전략과 연대로서의 문장 배치ㆍ에크리튀르ㆍ담론 = 41
1. 배치와 요소 - 개화(開化), 단선적이지 않았던 진화들 = 41
2. 담론 - '사이'의 언어로서의 국문 논쟁 = 48
3. 에크리튀르 - 언어ㆍ문체와의 구별과 개념의 근거 = 50
2 자기 표상과 타자 : 내셔널리즘의 전기적 양상과 문학적 재현
01 타자들 사이에서 재현되는 자기 표상 = 59
1. 국가어로서의 국어 - 국어 생성의 외적 계기 = 59
2. 근대 견문록 - 화이론적 종족지의 임계와 언어의 문제 = 64
02 간문화적 화용과 타자의 형상 - 『일동기유』의 문사(文事)와 수사 배치 = 75
1. 수신(修信)의 울타리와 서술 상황 - 문사(文事/文士)의 운명 = 75
2. 기기음교냐 이용후생이냐 - 승어중국(勝於中國)의 근대 = 91
03 한자 표상과 서구 문명 - 김홍집 복명서와 『대청흠사필담』 = 101
1. 책봉과 공법, 교체기의 '한문자(漢文字)'와 필담 화용 = 101
2. 시공간 현실의 창안 - 문명론과 시간의 이중성 = 114
3. 부강(富强)과 자강(自强) - '자주일어(自主一語)', 한자로 표상된 서구 문명 = 123
04 국민국가의 재현 - 박영효 『사화기략』의 구어 상황 = 135
1. 국기(國旗)와 전권(全權)이라는 표상 - 만국과 네이션의 재현 = 135
2. 만국 체제, 국어라는 배치물 - 불균질 에크리튀르의 등장 = 145
05 네이션과 내셔널 랭귀지 = 157
3 교통 체계의 성립 : 만국교통, 신문, 도로, 교환
01 교통론적 문제 설정 - 박영효의 한성부 개혁 = 163
1. 만국교통(萬國交通) - 신문, 도로, 교통 = 167
2. 검약ㆍ외어(外禦)론과 통상ㆍ교통론의 대립 = 175
3. 자본론과 교통론 - 교통의 의미 변동 = 184
4. 교통론 - 좌절된 구상들 = 195
02 수평담론의 발생 - 근대 언론과 교통의 문제 = 201
1. 「사초(史草)」의 확장으로서의 「조보(朝報)」 - 과시적 공공성 = 201
2. 집단적 고백, 속도, 문체 - 『한성순보』와 한문의 문제 = 210
4 번역과 문체(Ecriture) : 국한문체의 발생과 이념
01 신문 제도의 착종과 에크리튀르의 문제 = 223
1. 제도의 이식과 절합 - 착종된 것의 유일성 = 223
2. 역사적 연대 행위로서의 에크리튀르 = 226
02 문명화된 독립국 - 타자와 계몽, 국자(國字) 발견의 계기들 = 233
1. 김옥균과 후쿠자와 유키치 - 국자론(國字論)과 독립론 = 233
2. '반개(半開)'의 딜레마 - 문명과 식민 = 248
3. '본국문자'의 발견 - 윤치호의 경우 = 255
03 이미지 시스템의 혁신 - 한글 연활자와 한글 국서 = 263
1. 미디어와 에크리튀르 = 263
2. 『한성주보』의 한글 도입 = 266
3. '조선의 알파벳' - 뉴욕 헤럴드의 한글 국서 = 271
04 문자 분할의 원점 - 『한성주보』의 체제(體裁)와 에크리튀르의 삼분 = 279
1. 공적 담론에 등장한 한글 - 국한문체 재발견 = 279
2. 『한성주보』의 사용문자별 기사 통계 = 288
3. 두 개의 번역, 칙유와 외보 - 번역어로서의 국한문체 = 291
05 혼종 국어의 탄생과 그 논리 - 유길준과 후쿠자와 유키치 = 305
1. '조선의 가나문자(假名文字)' - 『한성주보』의 한글 활자와 후쿠자와 유키치의 역할 = 305
2. '문학(文學)'을 지양하는 '학문(學問)' - 후쿠자와 유키치, 실학(사이엔스)으로서의 속문 = 312
3. 영토, 유산 - 유길준의 언어실사론(言語實事論) = 323
4. 하나의 음성(音聲), 하나의 문명(文明) - 유길준의 문화상대주의 = 334
5. 번역(飜譯)과 집술(輯述) - 유길준의 되받아쓰기 = 354
06 신조어적 구성과 국한문체 = 373
1. 신조어와 담론 질서의 재편 - 문학 개념의 경우 = 373
2. 신조어적 구성과 국한문체 = 387
5 문자의 영토화 : 국문 제도와 국문 담론
01 국어국문 개념의 탄생 - 박영효 「건백서」와 근대 네이션의 비전 = 399
1. 애국심과 국어국문 - 문화망국론(文華亡國論) = 401
2. '언문'과 '국문' - 하위 주체의 국민화 = 407
02 '국어' 성립 이전의 자국어 이해 = 413
1. 성음(聲音)과 지치(至治) - '국어' 이전의 한글론 = 413
2. 외국어에 들린 사람들 - '국어' 이전의 언문일치론 = 421
3. 언문일치와 국어, 그 결렬과 결합 - 메이지 일본의 경우 = 431
03 '국문'ㆍ'국어' 개념의 성립과 언문일치 = 437
1. 청일전쟁과 세 개의 국어 = 437
2. 제도로서의 국문 - 국문 관계 법규 검토 = 442
3. 언문일치라는 환상 - 국한문체라는 언문일치 = 457
04 국문 담론의 변폭 - 조선의 인민, 조선의 글자, 조선의 음성 = 465
1. 『독립신문』의 문자ㆍ문체관 - 표상의 급진성 = 465
2. 달력, 글자, 국적 - 『독립신문』의 신기선 비판 = 470
3. 표음주의의 변폭 - 어디의 음성인가, 누구의 음성인가 = 479
05 국한문체 채용의 논리와 현실 = 485
1. 국한문체의 여러 변폭들 = 485
2. 시장과 문체 - 독자 배치와 에크리튀르, 국한문체의 경우 = 487
6 근대 네이션, 그 계기, 그 표상, 그 배치
결론, 그 이후의 문제 = 4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