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48camccc200205 k 4500 | |
001 | 000045237825 | |
005 | 20100807025714 | |
007 | ta | |
008 | 060106s2005 ulka 000c kor | |
020 | ▼a 899025681X | |
035 | ▼a (KERIS)BIB000010255969 | |
040 | ▼d 211048 ▼d 211009 | |
085 | ▼a 780.953 ▼a 789 ▼2 DDCK | |
090 | ▼a 780.953 ▼b 2005a | |
100 | 1 | ▼a 이소영 ▼0 AUTH(211009)96798 |
245 | 1 0 | ▼a 생존과 자유 : ▼b 이소영의 음악비평 / ▼d 지은이: 이소영. |
260 | ▼a 서울 : ▼b 민족음악연구회 , ▼c 2005. | |
300 | ▼a 247 p. : ▼b 삽도 ; ▼c 23 cm. |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53 2005a | Accession No. 11135501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53 2005a | Accession No. 11135501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국악·창작국악·퓨전국악 창작국악의 존재론에 대한 반성적 논의를 위하여 산조 연주자의 과거와 현재 퓨전 국악의 선두 주자, 가야금과 해금 국악퓨전의 현재와 미래 신민요와 국악가요, 그리고 한국적 뉴에이지 작곡과 연주의 사회적 공공성 포스트산조 세대의 음악하기 사계四季와 사계四界 ''포스트-산조'' 세대의 과제 국악 창작과 현실주의 예술적 정교성과 놀이적 신명 신통으로 다시 태어나는 전통악기 민요의 현대적 부활 한국현대음악앙상블의 ''현대음악''의 정체성 음악의 닫힘과 열림 <가시나무>의 비극 음악의 닫힘과 열림 실내악의 미학과 정치학 문화다양성 관점에서 본 한국음악의 제 문제 뮤페라 "신실크로드"를 보고 국악축전 종횡무진에 대한 몇가지 제언 그들이 꿈꾸는 것은 상상의 불편한 도전 그들은 어떻게 숲을 이루려 하는가 스토리텔링의 산조를 꿈꾸며 전경옥의 『사랑앓이』 신동일이 꿈꾸는 ''즐거운 세상'' 김대성의 변함과 변하지 않음 정대석의 음악세계 맨발로 부르는 연가 민족음악론의 새로운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