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교육방법론의 기초 = 11
1. 교육방법의 개념 = 11
(1) 교육방법의 의미 = 11
(2) 교수-학습지도의 관계 = 14
(3) 교수방법의 유형 = 16
2. 교육방법의 변천과정 = 19
(1) 모방과 암기 = 19
(2) 소크라테스의 산파법 = 20
(3) 코메니우스의 감각적 직관교수 = 21
(4) 로크의 능력도야법 = 23
(5) 루소의 내적 자연의 중시 = 24
(6) 페스탈로치의 기초도야법 = 27
(7) 프뢰벨의 자발적 활동 = 30
(8) 헤르바르트의 5단계법 = 31
(9) 듀이의 반성적 탐구법 = 32
(10) 마카렌코의 집단교육법 = 34
3. 교육방법의 현재와 미래 : 정보화사회의 교육방법 = 35
별첨 1 : 교육방법이 달라져야 한다 = 40
참고 문헌 = 41
제2장 학습과 학습지도 = 43
1. 학습이론 = 45
(1) 행동주의 학습이론 = 45
(2) 인지학습이론 = 49
(3) 인본주의 학습이론 = 55
2. 학습의 유형 : 학습목표에 따른 구분 = 63
(1) 지식저장을 위한 학습 = 63
(2) 능력연마를 위한 학습 = 64
(3) 행동변화를 위한 학습 = 65
3. 학습지도의 원리 = 66
(1) 자기활동의 원리 = 68
(2) 개별화의 원리 = 69
(3) 직접경험의 원리 = 70
(4) 사회화의 원리 = 71
(5) 통합화의 원리 = 72
(6) 목적의 원리 = 73
(7) 직관의 원리 = 74
4. 학습의 전이이론 = 75
(1) 전이의 의미 = 75
(2) 전이의 이론 = 76
(3) 전이의 일반적인 원리와 수업지침 = 79
별첨 2 : 자기충족 예언 = 80
참고 문헌 = 82
제3장 학습동기유발과 벌의 문제 = 83
1. 학습동기유발 = 83
(1) 학습과정과 동기유발의 기능 = 83
(2) 동기의 종류 = 85
(3) 동기유발의 방법 = 87
(4) 성취동기가 높은 사람의 행동특성 = 92
(5) Maslow의 동기 위계설 = 95
2. 벌의 문제점과 유의할 점 = 101
(1) 사랑의 매 = 101
(2) 벌이라는 말의 의미 = 104
(3) 처벌의 과정과 단계 = 105
(4) 체벌의 교육철학적 분석ㆍ평가 = 108
별첨 3 : 처벌의 요령 = 113
참고 문헌 = 115
제4장 생활지도와 상담 = 117
1. 생활지도의 개념과 변천과정 = 117
2. 생활지도의 기본원리 = 119
3. 생활지도의 영역과 목표 = 121
(1) 생활지도의 활동별 영역 = 121
(2) 생활지도의 내용별 영역 = 122
(3) 생활지도의 목표 = 123
4. 상담활동 = 125
(1) 상담에 대한 견해 = 128
(2) 상담의 기본 요건 = 132
(3) 상담 이론 = 134
(4) 자아 방어기제와 적응 = 147
참고 문헌 = 152
제5장 교수-학습이론의 모형과 수업설계 = 153
1. 교수-학습이론의 모형 = 153
(1) 글레이스의 수업과정 모형 = 155
(2) 캐롤의 학교학습 모형 = 157
(3) 불룸의 완전학습 모형 = 161
2. 수업설계 = 168
(1) 좋은 수업의 설계 = 168
(2) 수업설계의 모형 = 170
(3) 수업체제 설계의 단계 = 171
(4) 수업설계의 실제 = 172
(5) 수업설계의 교훈 = 176
별첨 4 : 사랑의 학습지도법 = 178
참고 문헌 = 179
제6장 학습지도의 형태 : 전통적인 교육방법 = 181
1. 강의법 = 183
(1) 강의법의 성격과 역사 = 184
(2) 강의법의 특징과 장ㆍ단점 = 185
2. 질문법 = 189
3. 토론법 = 190
(1) 토론의 목적과 성격 = 190
(2) 토론의 유형 = 192
(3) 효과적인 토론법 수업의 특성 = 196
(4) 토론식 수업의 장ㆍ단점 = 198
참고 문헌 = 201
제7장 학습지도의 형태 : 교육방법의 새로운 시도 = 203
1. 탐구학습 = 203
(1) 탐구학습의 교실분위기 = 205
(2) 탐구학습의 단계 = 207
(3) 탐구학습에 임하는 교사의 역할 = 208
2. 협동학습 = 209
3. 문제법 : 문제해결 학습 = 213
4. 구안법 = 215
(1) 목적의 단계 = 216
(2) 계획의 단계 = 217
(3) 실행의 단계 = 217
(4) 비판의 단계 = 217
참고 문헌 = 220
제8장 학습지도의 형태 : 교육공학적 방법 = 221
1. 교육공학의 기본 개념 = 221
(1) 교육공학이란 무엇인가? = 223
(2) 교육방법과 교육공학과의 관계 = 225
2. 컴퓨터와 멀티미디어 = 227
(1) 컴퓨터의 교육적 특성 = 229
(2) 뉴미디어 = 232
(3) 미래와 교육공학 = 237
(4) 새로운 교육형태 : 원격교육 = 241
(5) 멀티미디어의 교육적 활용 : 유용성과 문제점 = 242
(6) 인터넷 교육 = 243
참고 문헌 = 245
제9장 사례연구 교육방법 = 247
1. 개념 = 247
2. 이론적 배경 = 250
3. 사례연구의 유형 = 252
(1) Yin의 분류 = 252
(2) Borg & Gall의 분류 = 253
(3) Stenbouse의 분류 = 254
4. 수업 절차 = 255
(1) 준비단계 = 256
(2) 전개단계 = 257
(3) 정리단계 = 260
5. 사례작성의 실제 = 261
(1) 사례작성의 방법 = 261
(2) 사례의 예시 = 263
6. 사례연구법의 학습효과 및 장ㆍ단점 = 265
(1) 사례연구법의 학습효과 = 265
(2) 사례연구법의 장점 = 266
(3) 사례연구법의 단점 = 266
참고 문헌 = 268
제10장 지적능력과 감성능력의 향상을 위한 교육방법 = 269
1. 교육과 지적 능력 = 269
(1) 지적능력의 개념 = 269
(2) 지능에 대한 접근방법 = 272
(3) 지능의 발달과 환경과의 관계 = 275
(4) 지적인 능력의 향상을 위한 지도방법 = 278
2. 교육과 감성지능 = 286
(1) 감성능력의 의미와 중요성 = 286
(2) 감성능력의 구성 요인 = 290
(3) 감성능력의 향상 방안 = 292
(4) 감성능력을 길러주는 교육방법 = 293
(5) 감성지수의 측정방법 및 문제점 = 296
별첨 5 : 지능검사의 문제점 = 298
별첨 6 : 말의 지능지수 : IQ 70~80 = 300
별첨 7 : Q의 유형 = 301
참고 문헌 = 302
제11장 창의력 향상을 위한 교육방법 = 305
1. 창의력의 의미와 중요성 = 305
(1) 창의적 사고력의 개념화 = 309
(2) 과정론 = 311
(3) 성격발달론과 성격특성론 = 311
2. 창의적인 사람의 지적 특징 = 314
3. 창의적인 사람의 정의적 특징 = 317
4. 환경과 창의력의 발달 = 319
5. 창의력을 높이기 위한 교육방법 = 321
(1) 자유롭고 허용적인 분위기 = 324
(2) 창의력은 길러줄 수 있는 활동 = 325
(3) 창의력을 길러줄 수 있는 대화 = 327
6. 창의성 교육의 최근 동향 = 330
참고 문헌 = 332
제12장 특수한 학습자 지도 = 335
1. 학습지진아 = 336
(1) 학습지진아의 정의와 식별 = 336
(2) 학습지진의 요인 = 338
(3) 학습지진아의 행동 특징 = 340
(4) 학습지진아를 도와주는 방법 = 341
2. 학습장애아 = 345
3. 학습부진아 = 348
4. 영재아 = 351
(1) 영재아의 정의와 식별 = 351
(2) 영재아의 행동 특징 = 352
(3) 영재아를 도와주는 방법 = 353
별첨 8 : 효율적인 학습방법 = 356
참고 문헌 = 364
부록 : 학습지도안 작성 = 365
1. 학습지도안 작성의 중요성 = 366
2. 학습지도안 작성의 기저 = 370
(1) 학습지도안의 구비조건 = 370
(2) 학습지도안 작성의 사전계획 = 372
(3) 수업목표의 진술방법 = 373
3. 학습지도안의 예시와 활용방안 = 376
(1) 실제 학습지도안의 예시 = 376
(2) 학습지도안의 활용방안 = 376
참고 문헌 = 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