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Loan 28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강봉규 박성혜 , 공저 최미리 , 공저
Title Statement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 강봉규; 박성혜; 최미리 [공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태영 ,   2006.  
Physical Medium
333 p. : 삽도 ; 25 cm.
ISBN
8991777147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 p.323-325 찾아보기 수록 : p.326-333
비통제주제어
교육과정 , 교육평가 ,,
000 00771namccc200265 k 4500
001 000045236390
005 20100807023842
007 ta
008 050324s2006 ulka 001c kor
020 ▼a 8991777147 ▼g 93370: ▼c \14,000
035 ▼a (KERIS)BIB000010218022
040 ▼a 211044 ▼c 211044 ▼d 244002
082 0 4 ▼a 375 ▼2 22
090 ▼a 375 ▼b 2006
100 1 ▼a 강봉규
245 1 0 ▼a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 ▼d 강봉규; ▼e 박성혜; ▼e 최미리 [공저].
246 0 1 ▼a Curriculum & educational evaluation
260 ▼a 서울 : ▼b 태영 , ▼c 2006.
300 ▼a 333 p. : ▼b 삽도 ; ▼c 25 cm.
504 ▼a 참고문헌 수록 : p.323-325
504 ▼a 찾아보기 수록 : p.326-333
653 ▼a 교육과정 ▼a 교육평가
700 1 ▼a 박성혜 , ▼e 공저
700 1 ▼a 최미리 , ▼e 공저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75 2006 Accession No. 15119775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강봉규(지은이)

<심리검사의 이론과 기법>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Ⅰ부 교육과정
 제1장 교육과정의 개념 = 15
  1. 학교교육 내용의 역사적 변천 = 15
   1) 학교교육의 역사적 배경 = 15
   2) 학교 교육내용의 역사적 변천 = 18
  2. 교육과정의 개념 = 19
   1) 어원적 고찰 = 19
   2) 교육과정의 정의 = 20
   3) 교육과정과 특별활동 = 22
  3.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발전 계보 = 23
   1) 교수요목기(1946~1954) = 23
   2) 제1차 교육과정기(1954~1963) = 24
   3) 제2차 교육과정기(1963~1973) = 25
   4) 제3차 교육과정기(1973~1981) = 26
   5) 제4차 교육과정기(1981~1988) = 26
   6) 제5차 교육과정기(1988~1992) = 27
   7) 제6차 교육과정기(1992~2000) = 27
   8) 제7차 교육과정기(2000~현재) = 28
 제2장 교육과정의 형태와 유형 = 33
  1. 교육과정의 형태와 분류 = 33
   1) Caswell의 분류 = 33
   2) Hopkins의 분류 = 35
   3) Ragan의 분류 = 36
   4) Alberty의 분류 = 39
  2. 교육과정의 유형 = 40
   1) 기본적 유형 = 40
   2) 특수유형 = 56
  3. 교육과정 형태의 선택 = 61
   1) 교육과정 형태의 결정요인 = 61
   2) 교과형 형태의 선택요인 = 61
   3) 경험형 형태의 선택요인 = 62
 제3장 교육과정 개발의 절차와 방법 = 63
  1.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적 요인 = 63
   1) 철학적ㆍ이념적 요인 = 64
   2) 학습자 요인 = 65
   3) 학습심리적 요인 = 66
   4) 사회적 요인 = 67
   5) 학교환경적 요인 = 68
   6) 제도적 요인 = 68
  2. 교육과정 개발의 기본원리 = 69
   1) 타당성의 원리 = 69
   2) 계획성의 원리 = 70
   3) 지도성의 원리 = 70
   4) 역동성의 원리 = 70
   5) 수용적 적응의 원리 = 71
   6) 점진적 개혁의 원리 = 71
   7) 창조적 개발의 원리 = 72
   8) 협동적 과정의 원리 = 72
  3. 현대 교육과정 개발의 동향 = 73
   1) 교육과정의 개별화 = 73
   2) 교육과정의 통합화 = 73
   3) 교육과정의 지역화 = 74
  4. 교육과정 개발의 절차 = 75
   1) Tyler의 모형 = 75
   2) Taba의 모형 = 76
  5. 교육과정 개발계획과 활동 = 77
   1) 교육과정 개발계획의 주체 = 77
   2)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조직활동 = 79
  6. 교육목적의 설정 = 81
   1) 교육목적의 성격과 설정 = 81
   2) 교육목적 설정의 원리와 방법 = 84
   3) 교육목적 진술의 원리 = 89
 제4장 교육과정의 내용선정과 조직 = 93
  1. 교육내용의 선정방법 = 94
   1) Scope의 개념 = 94
   2) 교육내용 선정의 일반적 원리 = 94
   3) 교육내용 선정방법 = 97
  2. 교육내용의 조직방법 = 101
   1) Sequence의 개념 = 101
   2) 교육내용 조직의 일반적 원리 = 102
   3) 교육내용 조직의 방법 = 103
  3. 단원의 계획과 전개 = 106
   1) 단원의 개념과 유형 = 106
   2) 단원계획 = 107
   3) 단원전개 = 113
 제5장 특별활동 교육과정 = 123
  1. 특별활동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 = 123
   1) 특별활동의 발전계보 = 123
   2) 특별활동의 개념 = 124
   3) 특별활동의 교육적 의의 = 125
  2. 특별활동과 타교육활동과의 관계 = 126
   1) 특별활동과 학교경영 = 126
   2) 특별활동과 학급경영 = 127
   3) 특별활동과 교과지도 = 127
   4) 특별활동과 생활지도 = 128
  3. 특별활동 교육과정 구성과 운영 = 128
   1) 특별활동 교육과정의 성격 = 128
   2) 특별활동 교육과정 구성의 기본방향 = 130
   3) 특별활동 교육과정의 교육목표 = 131
   4) 특별활동 교육과정의 영역과 활동내용 = 133
   5) 특별활동 교육과정 운영방법 = 135
   6) 특별활동 교육과정의 편성방법 = 136
제Ⅱ부 교육평가
 제6장 교육평가의 개념과 절차 = 143
  1. 교육평가의 개념과 기능 = 143
   1) 교육평가의 개념 = 143
   2) 교육평가와 교육측정 = 144
   3) 교육평가의 기능 = 145
   4) 수업과정상의 평가의 위치 = 145
  2. 교육평가의 일반적 절차 = 148
   1) 평가목표의 설정 = 148
   2) 평가방식의 구안 = 150
   3) 평가도구의 제작 = 153
   4) 평가의 실시와 결과의 정리 = 154
   5) 평가결과의 해석과 활용 = 155
 제7장 교육평가의 형태와 유형 = 157
  1. 교육평가의 형태 = 157
   1) 임의평가 = 157
   2) 상대평가 = 158
   3) 절대기준평가 = 159
  2. 교과성적 평가의 유형 = 159
   1) 진단평가 = 159
   2) 형성평가 = 162
   3) 수행평가 = 164
   4) 총합평가 = 167
   5) 검사문항에 따른 평가유형 = 169
 제8장 평가도구의 요건과 제작기법 = 171
  1. 평가도구의 기본요건 = 171
   1) 신뢰도 = 171
   2) 타당도 = 175
   3) 객관도 = 178
   4) 실용도 = 179
  2. 주관식 평가도구의 제작 = 180
   1) 문항의 형식 = 180
   2) 문항의 제작요령 = 183
   3) 논술고사의 예문 = 184
   4) 주관식 검사의 장단점 = 188
  3. 객관식 평가도구의 제작 = 189
   1) 문항제작의 기본적 준거 = 189
   2) 단답형 = 191
   3) 완결형 = 193
   4) 배합형 = 195
   5) 진위형 = 201
   6) 선다형 = 203
   7) 객관식 검사의 장단점 = 209
 제9장 수업목표와 평가기법 = 215
  1. 지적 행동의 평가 = 215
   1) 지식 및 이해력의 평가 = 216
   2) 적용력 및 분석력의 평가 = 220
   3) 종합력 및 평가력의 평가 = 225
  2. 정의적 행동의 평가 = 230
   1) 정의적 목표의 개념과 진술 = 230
   2) 정의적 행동목표의 평가기법 = 236
 제10장 문항 양호도 검증과 표준점수 = 243
  1. 검사의 실시와 채점법 = 243
   1) 검사의 준비 = 243
   2) 검사의 실시 = 246
   3) 채점의 방법 = 247
  2. 문항 양호도의 검증법 = 251
   1) 문항 난이도의 분석 = 251
   2) 문항 변별도의 분석 = 253
   3) 문항 반응분포의 분석 = 254
  3. 성적표시법 = 256
   1) 원점수 = 256
   2) 석차점수 = 258
   3) 백분위 점수 = 259
   4) 표준점수 = 261
 제11장 행동발달 상황의 평가 = 267
  1. 행동발달 상황평가의 필요성 = 267
   1) 행동발달 상황평가의 어려움 = 267
   2) 행동발달 상황평가의 필요성 = 270
  2. 행동발달 상황평가의 절차 = 271
   1) 평가목표의 정의와 분류 = 271
   2) 평가장면의 분류 = 273
   3) 평가의 절차 = 275
  3. 행동발달 상황의 평가방법 = 278
   1) 관찰법 = 278
   2) 평정법 = 288
   3) 표준화검사법 = 300
   4) 사회성 측정법 = 306
참고 문헌 = 323
찾아 보기 = 326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