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Ⅰ부 교육과정
제1장 교육과정의 개념 = 15
1. 학교교육 내용의 역사적 변천 = 15
1) 학교교육의 역사적 배경 = 15
2) 학교 교육내용의 역사적 변천 = 18
2. 교육과정의 개념 = 19
1) 어원적 고찰 = 19
2) 교육과정의 정의 = 20
3) 교육과정과 특별활동 = 22
3.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발전 계보 = 23
1) 교수요목기(1946~1954) = 23
2) 제1차 교육과정기(1954~1963) = 24
3) 제2차 교육과정기(1963~1973) = 25
4) 제3차 교육과정기(1973~1981) = 26
5) 제4차 교육과정기(1981~1988) = 26
6) 제5차 교육과정기(1988~1992) = 27
7) 제6차 교육과정기(1992~2000) = 27
8) 제7차 교육과정기(2000~현재) = 28
제2장 교육과정의 형태와 유형 = 33
1. 교육과정의 형태와 분류 = 33
1) Caswell의 분류 = 33
2) Hopkins의 분류 = 35
3) Ragan의 분류 = 36
4) Alberty의 분류 = 39
2. 교육과정의 유형 = 40
1) 기본적 유형 = 40
2) 특수유형 = 56
3. 교육과정 형태의 선택 = 61
1) 교육과정 형태의 결정요인 = 61
2) 교과형 형태의 선택요인 = 61
3) 경험형 형태의 선택요인 = 62
제3장 교육과정 개발의 절차와 방법 = 63
1.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적 요인 = 63
1) 철학적ㆍ이념적 요인 = 64
2) 학습자 요인 = 65
3) 학습심리적 요인 = 66
4) 사회적 요인 = 67
5) 학교환경적 요인 = 68
6) 제도적 요인 = 68
2. 교육과정 개발의 기본원리 = 69
1) 타당성의 원리 = 69
2) 계획성의 원리 = 70
3) 지도성의 원리 = 70
4) 역동성의 원리 = 70
5) 수용적 적응의 원리 = 71
6) 점진적 개혁의 원리 = 71
7) 창조적 개발의 원리 = 72
8) 협동적 과정의 원리 = 72
3. 현대 교육과정 개발의 동향 = 73
1) 교육과정의 개별화 = 73
2) 교육과정의 통합화 = 73
3) 교육과정의 지역화 = 74
4. 교육과정 개발의 절차 = 75
1) Tyler의 모형 = 75
2) Taba의 모형 = 76
5. 교육과정 개발계획과 활동 = 77
1) 교육과정 개발계획의 주체 = 77
2)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조직활동 = 79
6. 교육목적의 설정 = 81
1) 교육목적의 성격과 설정 = 81
2) 교육목적 설정의 원리와 방법 = 84
3) 교육목적 진술의 원리 = 89
제4장 교육과정의 내용선정과 조직 = 93
1. 교육내용의 선정방법 = 94
1) Scope의 개념 = 94
2) 교육내용 선정의 일반적 원리 = 94
3) 교육내용 선정방법 = 97
2. 교육내용의 조직방법 = 101
1) Sequence의 개념 = 101
2) 교육내용 조직의 일반적 원리 = 102
3) 교육내용 조직의 방법 = 103
3. 단원의 계획과 전개 = 106
1) 단원의 개념과 유형 = 106
2) 단원계획 = 107
3) 단원전개 = 113
제5장 특별활동 교육과정 = 123
1. 특별활동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 = 123
1) 특별활동의 발전계보 = 123
2) 특별활동의 개념 = 124
3) 특별활동의 교육적 의의 = 125
2. 특별활동과 타교육활동과의 관계 = 126
1) 특별활동과 학교경영 = 126
2) 특별활동과 학급경영 = 127
3) 특별활동과 교과지도 = 127
4) 특별활동과 생활지도 = 128
3. 특별활동 교육과정 구성과 운영 = 128
1) 특별활동 교육과정의 성격 = 128
2) 특별활동 교육과정 구성의 기본방향 = 130
3) 특별활동 교육과정의 교육목표 = 131
4) 특별활동 교육과정의 영역과 활동내용 = 133
5) 특별활동 교육과정 운영방법 = 135
6) 특별활동 교육과정의 편성방법 = 136
제Ⅱ부 교육평가
제6장 교육평가의 개념과 절차 = 143
1. 교육평가의 개념과 기능 = 143
1) 교육평가의 개념 = 143
2) 교육평가와 교육측정 = 144
3) 교육평가의 기능 = 145
4) 수업과정상의 평가의 위치 = 145
2. 교육평가의 일반적 절차 = 148
1) 평가목표의 설정 = 148
2) 평가방식의 구안 = 150
3) 평가도구의 제작 = 153
4) 평가의 실시와 결과의 정리 = 154
5) 평가결과의 해석과 활용 = 155
제7장 교육평가의 형태와 유형 = 157
1. 교육평가의 형태 = 157
1) 임의평가 = 157
2) 상대평가 = 158
3) 절대기준평가 = 159
2. 교과성적 평가의 유형 = 159
1) 진단평가 = 159
2) 형성평가 = 162
3) 수행평가 = 164
4) 총합평가 = 167
5) 검사문항에 따른 평가유형 = 169
제8장 평가도구의 요건과 제작기법 = 171
1. 평가도구의 기본요건 = 171
1) 신뢰도 = 171
2) 타당도 = 175
3) 객관도 = 178
4) 실용도 = 179
2. 주관식 평가도구의 제작 = 180
1) 문항의 형식 = 180
2) 문항의 제작요령 = 183
3) 논술고사의 예문 = 184
4) 주관식 검사의 장단점 = 188
3. 객관식 평가도구의 제작 = 189
1) 문항제작의 기본적 준거 = 189
2) 단답형 = 191
3) 완결형 = 193
4) 배합형 = 195
5) 진위형 = 201
6) 선다형 = 203
7) 객관식 검사의 장단점 = 209
제9장 수업목표와 평가기법 = 215
1. 지적 행동의 평가 = 215
1) 지식 및 이해력의 평가 = 216
2) 적용력 및 분석력의 평가 = 220
3) 종합력 및 평가력의 평가 = 225
2. 정의적 행동의 평가 = 230
1) 정의적 목표의 개념과 진술 = 230
2) 정의적 행동목표의 평가기법 = 236
제10장 문항 양호도 검증과 표준점수 = 243
1. 검사의 실시와 채점법 = 243
1) 검사의 준비 = 243
2) 검사의 실시 = 246
3) 채점의 방법 = 247
2. 문항 양호도의 검증법 = 251
1) 문항 난이도의 분석 = 251
2) 문항 변별도의 분석 = 253
3) 문항 반응분포의 분석 = 254
3. 성적표시법 = 256
1) 원점수 = 256
2) 석차점수 = 258
3) 백분위 점수 = 259
4) 표준점수 = 261
제11장 행동발달 상황의 평가 = 267
1. 행동발달 상황평가의 필요성 = 267
1) 행동발달 상황평가의 어려움 = 267
2) 행동발달 상황평가의 필요성 = 270
2. 행동발달 상황평가의 절차 = 271
1) 평가목표의 정의와 분류 = 271
2) 평가장면의 분류 = 273
3) 평가의 절차 = 275
3. 행동발달 상황의 평가방법 = 278
1) 관찰법 = 278
2) 평정법 = 288
3) 표준화검사법 = 300
4) 사회성 측정법 = 306
참고 문헌 = 323
찾아 보기 = 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