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ART Ⅰ 교수설계이론에 관하여
CHAPTER 1 교수설계이론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 왕경수[번역] = 5
1. 교수설계이론이란 무엇인가? = 5
2. 무엇이 교수설계이론이 아닌가? = 10
3. 왜, 그리고 어떻게 교수설계이론은 변화하고 있는가? = 13
4. 결론 = 23
CHAPTER 2 이론, 완전성, 수업에 관한 몇 가지 생각들 / 임철일[번역] = 26
1. 시작하며: 이론, 지침, 수업에 관한 생각과 일화들 = 26
2. 서론 = 27
3. 경쟁하는 교수 이론에 관한 건설적인 논의를 촉진할 수 있는 두 가지 방식 = 32
4. "부가 가치"의 장점: "모든 것" 대신에 "단지" 특정한 측면만 다룬다고 왜 주장하는가? = 38
5. 이론으로부터 무엇을 기대할 수 있는가? 이론들을 검토하는데 고려할 수 있는 다른 생각들 = 38
PART Ⅱ 인지발달 촉진하기
CHAPTER 3 인지 교육과 인지 영역 / 왕경수[번역] = 43
1. 서론 = 43
2. 학습의 분류 = 43
3. 비교를 위안 틀 = 46
4. PBL이론에 대안 이슈 추가 = 53
5. 결론 = 55
CHAPTER 4 다중적 접근을 통한 이해 학습 / 이인숙[번역] = 56
1. 이해: 다중지능을 통한 접근 = 64
2. 접근의 일반화 = 69
3. 결론 : 기술적 수단과 인간적 목적 = 71
4. 감사의 말 = 72
CHAPTER 5 이해의 교수와 학습 / 이인숙[번역] = 73
1. TfU의 교수적 요소에 대안 구체적인 소개 = 80
2. 교사 전문성개발의 유형 = 88
3. TfU가 학생들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 89
4. TfU가 학생의 이해에 대한 개념화에 미치는 영향 = 90
5. 감사의 말 = 91
CHAPTER 6 열린 학습환경: 기초, 방법, 모형 / 정현미[번역] = 93
1. OLEs 개관 = 95
2. 구성요소와 방법들 = 99
3. OLES 실제 사례: ERGOMOTION = 109
4. 시사점과 결론 = 113
CHAPTER 7 구성주의 학습을 위한 교수설계 / 양영선[번역] = 116
1. 구성주의 학습의 소개 = 118
2. 학습의 SOI 모형 : 지식 구축에서의 세 가지 인지과정의 촉진 = 121
3. SOI 모형이 제안하는 교수 방법 = 124
4. 지식 구성 접근의 교수 목표를 강조하는 가치 = 128
5. 결론 = 128
CHAPTER 8 경험 중심 학습 / 이인숙[번역] = 131
1. 전통적 교수법의 문제점과 GBS의 가치 = 133
2. 사례기반 추론 = 135
3. 가르침 = 139
4. 결론 = 147
CHAPTER 9 유연한 적응적 교수설계 개발을 위하여 / 왕경수[번역] = 148
1. 유연한 적응적 교수설계의 필요성 = 152
2. STAR LEGACY: 유연한 적응적 교수설계를 연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셀 = 152
3. 유연한 적응적 교수설계의 평가 = 167
4. 요약 및 결론 = 171
5. 감사의 말 = 171
CHAPTER 10 구성주의 학습환경 설계 / 변호승[번역] = 174
1. 서론 = 175
2. 구성주의 학습환경 설계를 위한 모형 = 176
3. CLEs에서 학습을 지원하기 = 187
4. 결론 = 192
CHAPTER 11 협력적 문제해결 / 양영선[번역] = 196
1. 서론 = 198
2. CPS를 사용하는 조건 = 200
3. 협력적 문제해결을 위한 교수 이론 = 202
4. 포괄적 지침 = 202
5. 과정 활동 = 207
6. 결론 = 215
7. 감사의 말 = 216
CHAPTER 12 교실에서의 학습공동체: 교육실천의 재개념화 / 정현미[번역] = 218
1. 서론 = 220
2. 학습공동체 교실 분석 = 225
3. 세 사례들 간 비교 = 227
4. 효과적인 학습 공동체 설계를 위한 원리 = 233
5. 결론 = 236
6. 감사의 말 = 237
CHAPTER 13 학급수업에서 자지조절학습을 위한 설계이론 / 이상수[번역] = 239
1. 협력적 혁신의 실례 = 245
2. 교사혁신과 자기조절학습 = 254
3. 요약 및 결론 = 257
CHAPTER 14 4-8학년 학습부진아의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체계적인 학습환경 / 최욱[번역] = 262
1. 서론 = 264
2. 파트 1. 4-8학년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대한 상황적 역학관계 = 265
3. 파트 2. HOTS 프로그램 = 271
4. 결론 = 279
CHAPTER 15 Landamatics 교수설계 이론과 포괄적 사고력을 위한 교육방법 / 최욱[번역] = 281
1. 서론 = 283
2. 수업에서의 란다매틱스 접근방법 = 288
3. 사고방법의 내재화와 숙달화의 심리적 현상 = 290
4. 사고방법의 일반화 수준을 제고 = 291
5. 포괄적인 사고방법을 교육하는 것과 관련된 주요 이슈들 = 300
6. 결론 = 303
CHAPTER 16 통합주제 교수법: 두뇌 연구에서 적용까지 / 양영선[번역] = 304
1. 우선적인 가치의 명료화 = 307
2. ITI 모형의 개요와 학습의 생물학 = 308
3. 신체두뇌 호환 요소 = 311
4. 신체두뇌 협력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 317
5. 연간 주제(개념의 조직) = 318
6. 확장 : 정치적 행동과 지역사회 서비스 = 321
7. ITI의 평가 = 323
8. 결론 = 323
CHAPTER 17 수업교류이론: 지식 객체 기반 수업 설계 / 박인우[번역] = 326
1. 도입 = 328
2. 참고 사례 = 332
3. 수업교류 = 337
4. 요약 = 346
CHAPTER 18 정교화 이론: 범위와 계열 결정을 위한 지침 / 변호승[번역] = 348
1. 정교화 계열이란 무엇인가? = 355
2. 결론 = 370
참고 문헌 = 370
PART Ⅲ 운동기능발달 촉진
CHAPTER 19 신체적 기능의 발달: 운동기능영역의 수업 / 이상수[번역] = 375
1. 서론 = 377
2. 운동기능의 학습과 교수: 기본적 구성 = 378
3. 운동기능 학습과 수업의 일반적 과정 = 382
4. 특별한 상황에 대한 수업 전술 = 384
5. 수행자와 과제의 통합 = 390
6. 결론: 수업이론과 연습 활동의 통합 = 392
PART Ⅳ 정의적 발달의 촉진
CHAPTER 20 정의적 교육과 정의적 영역: 수업설계이론과 모델을 위한 적용 / 이상수[번역] = 397
1. 정의적 교육: 무엇을 의미하는가? = 397
2. 왜 정의를 고려하는가? = 398
3. 정의적 학습의 영역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 = 401
4. 정의적 영역의 또 다른 개념적 모형 = 403
5. 정의적 발달 교육과정을 위한 적용 모형 = 409
6. 정의적 영역에 어떤 종류의 강좌와 프로그램들이 존재하는가? = 410
7. 수업설계사와 교사를 위한 의사결정 = 415
8. 정의를 고려해야 하는 이유? = 416
CHAPTER 21 교육의 완전한 사명 되찾기: 사회성, 도덕성, 지적 발달을 위한 교육 / 정현미[번역] = 419
1. 서론 = 421
2. 문학작품 중심 독서 = 425
3. 발달을 위한 훈육 = 429
4. 협동학습 = 436
5. 전학교적 활동 = 438
6. 결론 = 439
7. 감사의 글 = 440
CHAPTER 22 자기과학: 아동을 위한 감성지능 / 최욱[번역] = 442
1. 서론 = 444
2. Nueva 학교 = 446
3. 자기과학 = 446
4.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를 결정 = 449
5.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결정 = 454
6. 자기과학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전제 조건 = 462
7. 결론 = 463
CHAPTER 23 태도 교수를 위한 구조화된 설계 / 변호승[번역] = 465
1. 서론 = 466
2. 전체론적 교수 전략 = 479
CHAPTER 24 품성교육: 덕의 육성 / 박인우[번역] = 488
1. 품성 개발에의 통합적 접근 = 495
2. 품성교육 평가 = 504
CHAPTER 25 청소년 영적 발달: 단계와 전략 / 박인우[번역] = 507
1. 정화 단계 = 510
2. 계몽 단계 = 514
3. 통합 단계 = 517
4. 공립학교와 기관을 위한 제언 = 520
PART Ⅴ 성찰과 향후 연구
CHAPTER 26 형성적 연구: 설계 이론의 개발과 개선에 관한 방법론 / 임철일[번역] = 525
1. 일반화가 가능한 설계 지식에 관한 형성 연구의 준거 = 526
2. 형성적 연구 = 527
3. 형성적 연구의 방법론적 절차 = 528
4. 형성적 연구의 방법론적 문제 = 537
5. 결론 = 540
CHAPTER 27 최근의 진전, 역사적 관점 및 미래의 교수 이론을 위한 몇 가지 과제 / 임철일[번역] = 543
1. 교수 이론: 최근의 진전 = 544
2. 역사적 관점 = 551
3. 미래의 난제와 과제 = 555
4. 요약 = 560
찾아보기 = 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