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료구조론
제1장 자료구조의 개요
1. 자료구조의 개념 = 15
2. 알고리즘 = 17
제2장 선형구조
1. 스택(STACK) = 24
2. 큐 = 35
3. 배열 = 44
4. 연결 리스트 = 48
제3장 Tree
1. 트리의 개념 = 57
2. 이진 트리의 개념 = 63
3. 트리의 운행법 = 69
4. 스레드 이진 트리 = 78
5. 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 = 80
6. AVL 트리(균형 트리) = 84
7. 2-3 트리 = 87
8. Heap 트리 = 90
9. 이진 트리의 경로 길이(Path Length)와 허프만 코드 = 92
제4장 Graph
1. 그래프의 개념 = 95
2. 그래프의 표현 방법 = 97
3. 그래프의 운행법 = 103
4. 최소 비용 신장 트리 = 107
5. 최단 경로 = 112
6. 작업 네트워크 = 119
제5장 검색(searching)
1. 검색의 개념 = 124
2. 순차 검색 = 124
3. 이진 검색 = 127
4. 피보나치 검색 = 129
5. 해싱 = 131
6. 검색 기법의 분석 = 145
제6장 정렬(sorting)
1. 정렬의 개념 = 146
2. 삽입 정렬(insertion sort) = 147
3. 쉘 정렬 = 149
4. 버블 정렬 = 151
5. 선택 정렬 = 154
6. 퀵 정렬 = 156
7. 병합 정렬 = 159
8. 기수 정렬 = 163
9. Heap 정렬 = 164
10. 정렬 방법의 분석 = 168
2 프로그래밍 언어론
제1장 프로그래밍 언어의 개념
1. 프로그래밍 언어의 정의 = 171
2. 프로그래밍 언어에서의 추상화 개념 = 172
3. 언어 설계의 기준 = 173
4. 언어의 구현 기법 = 174
5. 속성과 바인딩 = 175
제2장 자료형
1. 자료형의 개념 = 179
2. 기본 자료형 = 180
3. 포인터 자료형 = 181
4. 구조적 자료형 = 183
제3장 순서제어
1. 변수(Variables) = 184
2. 수식 = 185
3. 조건문 = 186
4. 반복문 = 187
제4장 자료제어
1. Scope = 188
2. 메모리 할당 = 191
3. 매개 변수 전달 기법 = 192
제5장 BNF & EBNF
1. 형식언어와 형식 문법 = 194
2. 정규 언어와 정규 문법 = 198
3. 유한 오토마타(Finite Automata ; FA) = 199
4. BNF = 200
5. EBNF = 208
6. 신택스 도표(syntax diagram) = 210
3 데이터베이스
제1장 Database
1. 데이터베이스의 개요 = 213
2.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요소 = 214
3. 데이터 베이스 구조 = 216
4. 데이터베이스의 분류 체계 = 216
제2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1.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개념 = 217
2.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필수 기능 = 219
제3장 Database System
1. 정의 = 220
2. 3층 스키마 = 220
3. 데이터 독립성 = 223
4. 데이터 언어 = 223
5.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구성요소 = 225
6. DBA = 227
7. 데이터베이스 컴퓨터 = 228
제4장 Database Modeling
1. 데이터 모델의 개념 = 229
2. 개체와 관계 = 231
3. E-R 모델 = 232
4. 논리적 데이터 모델 = 237
제5장 관계 데이터 모델
1. 관계 데이터 모델 = 238
2. 키(key) = 240
3. 무결성 제약 = 242
4. 무결성 제약조건의 유지 = 243
제6장 관계 데이터 연산
1. 관계대수 = 245
2. 관계해석 = 249
제7장 SQL
1. SQL 개념 = 252
2. SQL Data Definition Language(DDL) = 252
3. SQL Data Manipulation Language(DML) = 254
4. SELECT Statement : Retrieve rows from a table or view = 255
5. View = 260
제8장 정규화
1. 정규화의 개념 = 264
2. 함수 종속(FD, Functional Dependency) = 265
3. 기본 정규형 = 266
제9장 Transaction
1. 트랜잭션 = 273
2. 회복 = 277
3. 동시성 제어 = 281
4 컴퓨터 구조
제1장 자료의 표현
1. 데이터의 종류 = 289
2. 외부적 자료 표현 방식 = 290
3. 내부적 자료 표현 방식 = 292
제2장 디지털 논리회로
1. 개요 = 297
2. Bool 대수 = 298
3. Bool 함수 = 300
4. 간소화 = 300
5. 회로의 설계 및 해독 = 301
제3장 조합논리회로
1. 조합논리회로 설계 과정 = 305
2. 가산기 및 감산기 = 305
3. 비교기 = 308
4. 코드 변환기 = 310
5. 패리티 발생기와 검사기 = 311
6. Decoder = 312
7. 인코더(Encoder; 부호기) = 315
8. Demultiplexer(DeMUX) = 317
9. MUX = 317
10. ROM & PLA = 321
제4장 순차 논리회로
1. F/F = 324
2. 순차논리회로의 개요 = 329
3. 순차논리회로의 설계 = 331
4. 카운터 설계 = 332
제5장 연산장치
1. 구조와 구성요소 = 340
2. 레지스터 전송언어(register transfer language) = 342
3. 버스와 메모리 전송 = 343
4. 산술 마이크로 연산 = 345
5. 논리 마이크로 연산 = 349
6. 시프트 마이크로 연산 = 350
7. 상태 비트 조건 = 352
제6장 제어장치 및 중앙처리장치
1. 개요 = 353
2. 기본 컴퓨터 메모리와 레지스터 = 354
3. 컴퓨터 명령어 = 357
4. 명령어 사이클 = 358
5. 레지스터 참조 명령어 = 360
6. 메모리 참조 명령어 = 360
7. 입출력 참조 명령어 = 362
제7장 중앙처리장치(CPU)
1. 개요 = 366
2. 범용 레지스터 구조 = 366
3. Stack 구조 = 369
4. 명령어 형식 - X=(A+B)*(C+D) 계산 = 371
5. Addressing Mode = 372
6. 프로그램 제어 = 375
7.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 377
제8장 입ㆍ출력장치
1. 입출력 인터페이스 = 381
2. 비동기 데이터 전송방식 = 384
3. 전송 모드 = 386
4. 우선순위 인터럽트 = 387
제9장 병렬 처리 컴퓨터와 파이프라인
1. 병렬 처리 컴퓨터 = 392
2. 파이프라인 = 393
3. 명령어 파이프라인 = 395
4. RISC 파이프라인 = 397
제10장 메모리 구조
1. 주기억장치(main memory, primary memory) = 406
2. Memory Map = 409
3. 보조기억장치(auxiliary storage, secondary storage) = 411
4. 캐시 기억 장치 = 412
5 운영체제
제1장 운영체제의 개념
1. 운영체제의 개요 = 419
2. 운영체제의 종류 = 421
3. 운영체제의 관점 = 426
4. 시스템 프로그래밍 = 427
제2장 프로세스 관리
1. 프로세스의 개념 = 433
2. 프로세스 상태도 = 439
3. 프로세스 스케줄링 = 441
4. 프로세스 동기화 = 451
5. 세마포어(Semaphores) = 462
6. 교착상태 = 473
제3장 기억장치 관리
1. 개요 = 487
2. 기억장치 관리 기법 = 488
3. 기억장치 운영 기법 = 489
4. 가상기억장치 구성 = 492
5. 가상기억장치 관리 = 501
6. 페이지 교체 정책 = 503
제4장 입ㆍ출력 관리
1. 디스크 스케줄링 = 511
제5장 파일 관리
1. 파일의 보호 = 514
6 컴퓨터 통신
제1장 컴퓨터 통신의 개념
1. 프로토콜(Protocol) = 521
2. 프로토콜의 기능 = 523
제2장 OSI 7 layer
1. 계층 구조 = 525
제3장 TCP/IP
1. 계층 구조 = 529
2. 내부 계층별 프로토콜 = 530
3. TCP vs UDP = 532
4. 인터넷 프로토콜(IP) = 537
제4장 통신 기법
1. 신호(Signal) = 547
2. 부호화(encoding) = 549
3. 전송매체 = 557
제5장 다중화
1. 다중화 방식 = 561
2. 주파수 분할 다중화 = 562
3.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 562
4.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 564
제6장 오류 검출 및 오류 정정
1. 오류의 검출 = 565
제7장 데이터 링크 제어
1. Data Link = 569
2. 회선 원칙 = 570
3. 흐름제어 = 571
4. 에러 제어 = 573
제8장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1. 데이터 링크 제어 프로토콜 = 575
2. 동기식 전송 방식 vs 비동기식 전송 = 576
3. HDLC = 578
제9장 교환 통신망
1. 컴퓨터 통신망 = 585
2. 교환 방식 = 586
3. 회선교환 = 587
4. 축적 교환방식(Store and Forward 방식) = 588
제10장 근거리통신망
1. LAN의 개념 = 592
2. LLC = 593
3. LAN의 분류 = 594
4. 이더넷 = 596
5. 경로 배정 = 606
제11장 ISDN 및 B-ISDN
1. ISDN = 611
2. B-ISDN = 613
제12장 인터네트워킹(internetworking)
1. Networking Device = 616
2. 라우팅 알고리즘의 구분 = 619
3. 라우팅 알고리즘 = 620
제13장 인터넷(internet)
1. 인터넷 = 626
2. 웹 저작 언어 = 629
3. HTML = 632
7 컴퓨터 교육론
제1장 컴퓨터 교육
1. 컴퓨터 교육이론 = 639
2. 컴퓨터 교육의 필요성(교육정보화 백서) = 643
3. 정보소양교육 = 645
4. 컴퓨터 윤리 교육 = 649
제2장 컴퓨터 교육과정
1. ICT를 포함한 컴퓨터 교육과정의 모형 = 653
2. 컴퓨터 교육의 편제 방식 = 654
3. 7차 교육과정 = 655
4. 컴퓨터 관련 교과목 - 실과(기술ㆍ가정) = 659
5. 컴퓨터 관련 교과목 - 중학교 "컴퓨터" = 662
6. 컴퓨터 관련 교과목 - 일반계 고등학교의 "정보사회와 컴퓨터" = 666
7. 컴퓨터 관련 교과목 - 상업계 고등학교의 상업에 관한 교과 = 670
8. 컴퓨터 관련 교과목 - 공업계 고등학교의 공업에 관한 교과 = 677
제3장 ICT 교육
1. ICT의 개념 = 680
2. ICT 교육과정 = 682
3. ICT 활용 교육(1) = 689
4. ICT 활용 교육(2) = 704
제4장 컴퓨터 교육방법론
1. 교수와 학습의 개념 = 710
2. 컴퓨터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이론(인지주의, 행동주의, 구성주의) = 713
3. 컴퓨터교육을 위한 교수 방법 = 715
4. 학습지도안의 구조와 구성요소 = 719
제5장 교수 설계 이론
1. 교수 설계 이론 = 721
2. 교수설계 이론의 인식론적 관점과 학습 이론 = 723
3. 객관주의적 관점을 토대로 한 교수설계 이론 = 725
4. 구성주의적 관점을 토대로 한 교수설계 이론 = 735
제6장 Computer 교육 교재론
1. 컴퓨터 보조 수업(CAI) = 737
2. 저작도구 = 742
3. ASSURE 모형의 절차 = 748
4. 교재 설계 모형 = 749
5. 교재 개발 절차 = 752
6. 전자교과서 = 753
7. 멀티미디어 = 756
8. 하이퍼미디어 = 757
9. 웹 기반 학습 = 761
10. 원격 교육 = 767
11. 가상 교육 = 769
제7장 Computer 교육 평가론
1. 컴퓨터 교육 평가의 기초 = 771
2. 문항의 유형과 특성 = 773
3. 교육평가 제작의 절차 = 782
4. 수행 평가 = 783
5.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평가 = 786
6. 코스웨어 평가 = 788
Appendix Ⅰ : C 언어 = 7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