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그림으로 이해하는)정치사상 (33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민권
서명 / 저자사항
(그림으로 이해하는)정치사상 / 김민권 지음.
발행사항
서울 :   개마고원 ,   2005.  
형태사항
343 p. : 삽도 ; 19 cm.
ISBN
8957690395
000 00529camccc200205 k 4500
001 000045234887
005 20100807022124
007 ta
008 051214s2005 ulka 000c kor
020 ▼a 8957690395 ▼g 03340
035 ▼a (KERIS)BIB000010237690
040 ▼a 211040 ▼d 211009
082 0 4 ▼a 320.5 ▼2 22
090 ▼a 320.5 ▼b 2005d
100 1 ▼a 김민권
245 2 0 ▼a (그림으로 이해하는)정치사상 / ▼d 김민권 지음.
260 ▼a 서울 : ▼b 개마고원 , ▼c 2005.
300 ▼a 343 p. : ▼b 삽도 ; ▼c 19 cm.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5 2005d 등록번호 11137194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5 2005d 등록번호 11137194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20.5 2005d 등록번호 12112347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20.5 2005d 등록번호 12112347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20.5 2005d 등록번호 1511987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5 2005d 등록번호 11137194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5 2005d 등록번호 11137194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20.5 2005d 등록번호 12112347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20.5 2005d 등록번호 12112347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20.5 2005d 등록번호 1511987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마키아벨리를 시작으로 근현대의 주요 정치사상가 43인의 84개 핵심 개념어를 정리한 정치사상 용어해설집이다. 정치사상은 각 사상가들이 자기 시대의 문제를 고민한 흔적이므로, 개념과 함께 정치사상가들이 그것을 만들게 된 역사적 배경과 개인적 고민들을 조화롭게 소개했다.

더불어 84개의 개념어마다 각기 그림으로 재구성해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한 도해(圖解)가 곁들여져 있다. 저자가 직접 콘티를 짜서 그려넣은 이 도해는, 독자들이 해당 개념어를 이해할 수 있도록 친절하게 안내한다.

또한 앞에 등장한 철학자들의 개념을 비판.발전시킨 후대 철학자들의 챕터에는 선배 철학자들이 다시 등장하여 정치사상의 흐름을 도해만으로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배려했으며, 각 장이 시작될 때마다 그 장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붙여 전체 사상과 역사적 맥락을 짚어낸 다음 각 개념을 익힐 수 있도록 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만권(지은이)

김만권은 철학자다. 땅에 발 딛고 선 철학을 하고파서 정치철학을 한다. 그러고 보니 생각으로 현실에 세상을 짓는 게 직업이다. 한편으로 김만권은 일곱 살 아이를 둔 아빠이기도 하다. 너무 늦은 나이에 본 아이라 그럴까? 어떻게 하면 이 아이가 안심하고 살 세상을 지을 수 있을까 이런저런 고민이 많다. 승자들이 모든 것을 가져가는 세상에서 그 모든 것을 가져가는 아이로 키워야 하나? 한때 이런 바보 같은 생각을 하기도 했다. 고민 끝에 내린 결론은 이렇다. 100분의 1도 안 되는 승자가 될 확률에 걸기보다는 아이가 평범하게 자라도, 아니 조금 모자라게 커도 걱정 없이 맘껏 사랑하고, 존중받고, 좋아하는 일을 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게 훨씬 현명한 길이라는 것, 내 아이에게 안전하고 좋은 세상이라면 세상의 모든 아이에게도 그럴 것이라는 것. 그래서 아빠는 아이에게 이렇게 말할 수 있는 세상을 짓고 싶다. “걱정하지 말고 네가 원하는 일을 해도 괜찮아!” 지난번에 쓴 《새로운 가난이 온다》에서 우리 삶을 잠식하는 가난과 불안에 대해 이야기했던 것도, 이번 책에서 다시 우리 일상에 스며든 고립과 외로움을 다룬 것도, 모두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미래만은 달랐으면 하는 간절함 때문이었다. 그동안 《열심히 일하지 않아도 괜찮아!》, 《호모 저스티스》, 《불평등의 패러독스》 등 10여 권의 책을 썼고, 《민주주의는 거리에 있다》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최근엔 EBS e-class에서 ‘근대 정치철학사’, ‘20세기 정치철학사’ 등을 강의했다. 현재 경희대 학술연구교수이자 국가인권위원회 사회권전문위원회 전문위원이며, 인공지능 시대의 인문학을 고민하는 콜렉티브 휴먼 알고리즘 의 창립 멤버 겸 대표로 일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정치사상이란 무엇이고 왜 필요한 것일까? = 5
제1장 근대 정치의 시작과 사회계약론
 마키아벨리
  비르투 _ 정치는 도덕이 아니라 정치변동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다 = 17
  혼합정부 _ 정치체제 내에서 조직화된 사회갈등은 사회에 이롭다 = 21
  공화적 자유 _ 자유로운 공화국이 자유로운 시민을 만든다 = 24
 홉스
  소극적 자유 _ 자유란 강제력의 부재에 달려 있다 = 28
  만인 대 만민의 투쟁 _ 자연상태의 자유는 전쟁상태이다 = 32
  절대국가주권 _ 자기 보존을 위해 사적 판단을 포기하라 = 36
 로크
  시민정부 _ 정부의 목적은 시민의 재산권을 보호하는 것이다 = 40
  사유재산권 _ 노동만이 사유재산을 만든다 = 44
  시민저항권 _ 인민이 정치사회의 주인이다 = 48
 루소
  문명 _문명과 예술의 발전이 인간을 타락시킨다 = 52
  허영 _ 타자에게 인정받으려는 욕망이 인간 불평등의 기원이다 = 55
  일반의지 _ 자유로운 시민은 공동체의 의지에 복종한다 = 59
제2장 독일 관념론 - 권리중심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기원
 칸트
  계몽/이성의 공적 사용 _ 이성을 사용할 용기를 갖는 것이 계몽이다 = 65
  도덕적/정치적 자율성 _ 이성적 인간은 도덕률과 헌법에 복종한다 = 68
  자유ㆍ평등ㆍ자립 _ 시민들은 자유롭고 평등하며 자립적이다 = 72
  환대 _ 인간은 세계 어디서든 환대받을 보편적 권리가 있다 = 76
 헤겔
  자유의지 _ 자유의지는 그 자체로 자유롭고자 하는 의지이다 = 80
  인륜 _ 이성은 윤리적 삶으로 사회에 현실화된다 = 84
  시민사회 _ 시민사회는 근대인만을 위한 윤리적 삶의 원천이다 = 88
  국가 _ 인간의 구체적 자유의 실체가 국가이다 = 92
제3장 고전적 자유주의와 비판적 자유주의
 스미스
  자연적 자유체제/도덕 감정 _ 도덕으로 통제되는 시장이 건강하다 = 99
 벤담
  쾌락과 고통의 감성론 _ 효용이 모든 행위를 판단하는 포괄적 기준이다 = 103
 밀
  자유의 원리 _ 자유는 타인의 자유를 해하지 않는다 = 106
  다수의 횡포 _ 좋은 사회는 토론과 대화에 열려 있다 = 109
  개별성 _ 개별성은 사회적 활력의 근원이다 = 113
 토크빌
  시민적 평등 _ 권력의 분산은 시민들이 평등한 곳에서 가능하다 = 116
  개인주의 _ 시민적 평등이 사적 영역을 만들어낸다 = 119
 홉하우스
  사회적 조화 _ 자아의 발전은 구성원들의 복지와 함께 한다 = 122
 뒤르켐
  유기적 연대 _ 노동분업 속에서 교환은 도덕적 연대를 형성한다 = 125
제4장 반자유주의적 의지와 결단 - 자유주의와 자본주의 비판Ⅰ
 니체
  원한 _ 나약한 자들의 음모가 선악의 이분법을 만들었다 = 131
  초인 _ 자신만의 기준과 법칙으로 허위의 세상에 맞서라 = 134
  문화의 결속력 _ 고귀한 문화를 가진 공동체가 새로운 변화를 수용한다 = 138
 베버
  섹트 _ 종교적 윤리가 자본주의 정신의 근본이다 = 141
  관료화 _ 근대화된 국가는 필연적으로 관료화된다 = 144
  의회주의 _ 의회의 권력투쟁에서 승리한 자가 정치지도자가 된다 = 147
 슈미트
  정치적인 것 _ 적과 동지의 구분이 민주주의 동질성을 만든다 = 150
  결단주의 _ 정치는 법에 우선한다 = 154
  전체국가 _  '정치적인 것의 사회화'에서 '사회적인 것의 정치화'로 = 157
 하이데거
  현존재/사유 _ 효용과 휴머니즘의 정치이데올로기를 탈피하라 = 161
제5장 마르크스주의 - 자유주의와 자본주의 비판 Ⅱ
 마르크스
  노동/소외 _ 자본주의 사회는 자기 창조의 근원인 노동을 소외시킨다 = 167
  계급투쟁 _ 사회의 모든 역사는 계급투쟁의 역사이다 = 171
  국가 _ 국가는 부르주아 이익의 대변기구이다 = 175
 엥겔스
  물질 _ 명료한 행위 기준을 위해 마르크스주의의 과학화가 필요하다 = 179
 베른슈타인
  수정주의 _ 사회주의는 자본주의 발전의 평화적 산물이다 = 183
 룩셈부르크
  자발성 _ 혁명의 힘은 대중의 자발성에서 나온다 = 186
 레닌
  민주집중제 _ 당내에선 자유롭게 토론하고 행동은 통일한다 = 189
 루카치
  물화 _ 물질적 관계가 인간적 관계를 대체한다 = 193
 그람시
  헤게모니 _ 지배적 이데올로기의 장악이 중요하다 = 197
  유기적 지식인 _ 대항헤게모니를 만드는 사람들이 필요하다 = 201
 알튀세르
  이데올로기적 국가장치 _ 억압과 조작. 국가의 두 얼굴 = 205
  우발성의 유물론 _ 정치사회적 구조는 우연성의 산물이다 = 209
제6장 권리중심자유주의
 벌린
  소극적 자유 _ 자유는 어떤 것도 강제하지 않는다 = 215
  다원주의 _ 상대적 가치를 받아들이는 자세가 필요하다 = 219
 노직
  최소국가/소유권리 _ 정당한 국가는 개인의 배타적 소유권을 보장한다 = 222
 롤스
  공정성 _ 현대 사회의 정의의 원칙은 절차의 공정성에 있다 = 226
  차등원칙 _ 불평등을 허용하여 평등을 개선한다 = 230
  정치적인 것 _ 정치란 다양한 신념 간에 공정한 협동조건을 만드는 것이다 = 234
  공적 이성 _ 공정한 협동을 원하는 민주시민의 정치적 자세 = 238
 드워킨
  국가 중립성 _ 국가는 개인의 가치에 중립적이어야 한다 = 241
  복지의 평등 _ 정치는 모든 사람을 평등하게 대우해야 한다 = 244
 센
  발전 _ 발전의 의미는 실질적 자유의 확장이다 = 247
 킴리카
  문화적 멤버십 _ 개인은 문화공동체에 속할 정치적 권리가 있다 = 250
제7장 완전주의ㆍ공동체주의ㆍ공화주의 - 권리중심자유주의 비판
 스트라우스
  참된 정치 _ 정치는 구성원들이 가치 있는 삶을 사는 데 기여해야 한다 = 257
 아렌트
  수용소 _ 전체주의는 인간의 자발성을 박탈한다 = 261
  공적 영역 _ 정치적인 것이란 소통하는 것이다 = 265
  권리를 가질 권리 _ 하나의 공동체에 속할 때 인간성이 보전된다 = 269
 매킨타이어
  덕의 실행 _ 좋은 삶은 가치를 공유한 공동체의 전통 속에서 완성된다 = 273
 왈쩌
  영역의 정의 _ 사회 영역마다 각각 정의의 원칙이 있다 = 277
 테일러
  상호 인정의 정치 _ 개인의 집단적 문화 정체성에 대한 인정이 필요하다 = 281
  애국심 _ 사회적 연대의 핵심은 동포들에 대한 헌신이다 = 285
 스키너
  맥락주의 _ 정치사상은 자신의 시대적 고민에 참여하는 정치행위이다 = 288
  종속 _ 자유의 반대 개념은 종속이다 = 292
제8장 비판이론 및 후기 근대 비판이론
 아도르노ㆍ호르크하이머
  계몽 _ 이성은 해방이 아니라 새로운 신화(억압)이다 = 299
 벤야민
  폭력 _ 법과 정의는 폭력을 내재하고 있다 = 303
 하버마스
  체계와 생활세계 _ 행위자는 소통을 통해 구조에 저항해야 한다 = 307
  공론장 _ 민주주의 역동성은 토론적 정치참여에 있다 = 311
  입헌적 애국주의 _ 헌법 아래 애국심을 갖는 시민이 필요하다 = 315
  사적/공적 자율성 _ 인간의 권리의 근거는 법적 토대에 있다 = 318
 푸코
  지식/권력 _ 지식과 권력은 상호작용한다 = 322
  계보학 _ 일상에 내재된 권력을 비판하는 새로운 방법론이 필요하다 = 326
  판옵티콘 _ 권력의 가시성이 자율적 인간을 만든다 = 329
 데리다
  정의 _ 진정한 정의는 기존의 사회적 질서와 믿음의 해체이다 = 332
 슈클라
  공포 _ 공포에 대한 저항이 권리의 원천이다 = 336
 로티
  우리 - 의식 _ 고통과 굴욕에 대한 감수성이 자유주의 연대를 만든다 = 340


관련분야 신착자료

Berger, Stefan (2023)
박장호 (2022)
김성민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