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58n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45234603 | |
005 | 20100807021759 | |
007 | ta | |
008 | 060302s2006 ulk 000a kor | |
020 | ▼a 8976962672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ger |
082 | 0 4 | ▼a 325.3 ▼2 22 |
090 | ▼a 325.3 ▼b 2006 | |
100 | 1 | ▼a Osterhammel, Jurgen ▼0 AUTH(211009)1879 |
245 | 1 0 | ▼a 식민주의 / ▼d 위르겐 오스터함멜 지음; ▼e 박은영, ▼e 이유재 옮김. |
246 | 1 9 | ▼a Kolonialismus : Geschichte, Formen, Folgen |
260 | ▼a 서울 : ▼b 역사비평사 , ▼c 2006. | |
300 | ▼a 213 p. ; ▼c 20 cm. | |
700 | 1 | ▼a 박은영 , ▼e 역 |
700 | 1 | ▼a 이유재 , ▼e 역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5.3 2006 | 등록번호 111354396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4-01-03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25.3 2006 | 등록번호 15120634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25.3 2006 | 등록번호 15120634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5.3 2006 | 등록번호 111354396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4-01-03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25.3 2006 | 등록번호 15120634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25.3 2006 | 등록번호 15120634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1995년에 독일에서 출간된 이 책은 전세계적으로 식민사 입문서로, 대학 교재로 인정받고 있다. 책은 무엇보다 식민 지배의 다양한 양태들을 분석하는 데 필요한 개념들을 정밀하게 하려는 시도이다. 여기에는 근본적으로 '식민주의' 개념을 '제국주의' 개념으로부터 분리하려는 생각이 깔려 있다.
책은 비교적인 분석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비교를 통해서만 각각의 식민 구조와 지배 기술의 특수성이 명백해지며, 또한 비교는 특히 식민시기를 한 민족의 좀더 장기적인 발전과정에 위치시켜 그 민족의 특수한 발전 경로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위르겐 오스터함멜(지은이)
오스터함멜은 1980년 독일에 있는 카셀대학에서 현대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독일의 프라이부르크대학, 하겐대학, 콘스탄츠대학에서 가르쳤으며, 스위스의 ‘국제연구 대학원’(Graduate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udies),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연구소’(Netherlands Institute for Advanced Study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런던에 있는 ‘독일 역사연구소 런던’(German Historical Institute London)에서 연구했다. 현재 독일 콘스탄츠대학의 명예교수이며 2010년 독일에서 가장 중요한 연구 관련 상인 라이프니츠상을 수상했다. 또한 세계사 연구의 업적을 인정받아 2017년에는 사회과학 분야의 최고상인 토인비상, 2018년에는 발찬(Balzan)상을 받았다. 국내 출간된 저서로는 『식민주의: 식민주의의 역사를 다시 해부한다』(2006), 『글로벌화의 역사』(2013, 공저)가 있으며 이번에 한길사에서 총 세 권으로 출간하는 『대변혁: 19세기의 역사풍경』이 있다.
이유재(옮긴이)
베를린 자유대학교, 베를린 훔볼트대학교, 서울대학교에서 역사, 철학, 정치학, 한국학을 공부했다. 독일 에어푸르트대학 역사학과에서 알프 뤼트케 교수 지도하에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독일 튀빙겐대학교 한국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일상사란 무엇인가』(공역, 2002), 『일상사로 보는 한국 근현대사』(공편, 2006), 『한국 현대 생활문화사 1950년대』(공저, 2016), Koloniale Zivilgemeinschaft(2017) 등을 썼다.
박은영(옮긴이)
서울대 서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 국제대학원에서 유럽 지역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2006년 현재 독일에서 문화기획과 비평 및 번역 활동을 하고 있다.

목차
목차 한국어판 서문 = 5 1. 식민화와 식민지 역사상 나타났던 팽창의 형태 = 15 식민지 : 하나의 분류 = 26 2. 식민주의와 식민 제국 식민주의 : 하나의 정의 = 31 식민 제국과 '비공식적 제국' = 36 제국주의 = 41 3. 식민주의의 시기구분 식민주의 역사의 문제들 = 45 식민지의 새로운 건설 : 하나의 시대 구분 = 49 4. 정복과 저항 경계에서의 폭력 및 군사적 침입 = 70 패배와 저항 = 75 5. 식민 국가 국가 형태와 지배 행위 = 81 식민 국가의 기능과 조직 = 92 관료적 개입 국가 = 99 토착민의 협력 = 104 영토적 행정국가 및 민족 = 112 6. 식민 경제 형태 제국주의적 경제정책 및 식민 경제정책 = 116 농촌에서의 농업 = 119 자본주의적 생산 = 124 7. 식민 사회 구세계에서의 종족적 - 문화적 경계 = 133 식민지 도시와 '다원적 사회' = 141 8. 식민주의와 토착문화 종교 = 151 교육 = 156 9. 식민주의적 사고 = 165 10. 탈식민화 = 175 역자 후기 = 183 주(註) =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