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 김성숙·장건상·정화암·이강훈의 독립투쟁 개정판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 김성숙·장건상·정화암·이강훈의 독립투쟁 개정판 (1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정식 , 1931- 김용호 , 1952- , 수정증보 김학준 , 1943- , 편집해설
서명 / 저자사항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 김성숙·장건상·정화암·이강훈의 독립투쟁 / 면담: 이정식 ; 편집해설: 김학준 ; 수정증보: 김용호.
판사항
개정판
발행사항
서울 :   민음사 ,   2005.  
형태사항
564 p. ; 24 cm.
ISBN
8937425483
서지주기
참고문헌(p. 547-550), 색인수록
주제명(개인명)
정화암 ,   1896-1981.  
이강훈 ,   1903-2003.  
김성숙 ,   1889-1969.  
장건상 ,   1882-1974.  
000 00942camccc200301 k 4500
001 000045234234
005 20100807021223
007 ta
008 060210s2005 ulk b 001c kor
020 ▼a 8937425483 ▼g 03990
035 ▼a (KERIS)BIB000010252406
040 ▼a 211032 ▼d 211009
082 0 4 ▼a 953.060922 ▼2 DDCK
090 ▼a 953.060922 ▼b 2005a
100 1 ▼a 이정식 , ▼d 1931-
245 1 0 ▼a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 ▼b 김성숙·장건상·정화암·이강훈의 독립투쟁 / ▼d 면담: 이정식 ; ▼e 편집해설: 김학준 ; ▼e 수정증보: 김용호.
250 ▼a 개정판
260 ▼a 서울 : ▼b 민음사 , ▼c 2005.
300 ▼a 564 p. ; ▼c 24 cm.
504 ▼a 참고문헌(p. 547-550), 색인수록
600 1 4 ▼a 정화암 , ▼d 1896-1981.
600 1 4 ▼a 이강훈 , ▼d 1903-2003.
600 1 4 ▼a 김성숙 , ▼d 1889-1969.
600 1 4 ▼a 장건상 , ▼d 1882-1974.
700 1 ▼a 김용호 , ▼d 1952- , ▼e 수정증보
700 1 ▼a 김학준 , ▼d 1943- , ▼e 편집해설 ▼0 AUTH(211009)120513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60922 2005a 등록번호 11135158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청구기호 953.060922 2005a 등록번호 11135158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청구기호 953.060922 2005a 등록번호 1512005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 청구기호 953.060922 2005a 등록번호 15120051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60922 2005a 등록번호 11135158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청구기호 953.060922 2005a 등록번호 11135158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청구기호 953.060922 2005a 등록번호 1512005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 청구기호 953.060922 2005a 등록번호 15120051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1988년에 초판을 발행했던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의 수정 증보판. 지금은 고인이 된 항일 운동가들의 생생한 증언을 들려줌으로써 당국적 해석에 의해 왜곡된 평가를 받거나 평가 밖에 놓여 있었던 좌익 운동가와 혁신 운동가들을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보고, 해방 이후의 정치사를 올바르게 서술하는 데 한 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다.

이 책의 면담자인 이정식 교수가 항일독립운동가들을 만나 면담록을 만든 것은 1966년 가을부터 1967년 여름까지에 걸친 1년과 1969년 가을부터 1970년 여름까지에 걸친 1년, 모두 합쳐 2년 동안이다. 김성숙, 장건상, 정화암, 이강훈을 각각 인터뷰를 녹음한 다음 정리해서 발간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용호(엮은이)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은 후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University of Pennsylvania)에서 정치학 박사를 받았다. 외교부 외교안보연구원(현 국립외교원)과 한림대를 거쳐 2002년부터 2017년까지 인하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정년퇴임하였다.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St. Antony’s College 인촌 펠로우(1996-1997년), 한국정당학회(2004-2005년)와 한국정치학회(2006년) 회장, 중앙선거관리위원(장관급, 2014-2020년) 등을 지낸 후 현재 경희대 평화복지대학원 특임교수 등을 맡고 있다. 저서는 &lt;2016 총선에서 배우다&gt;(편저, 푸른길, 2016), &lt;외교영토 넓히기: 대한민국 수교역사&gt;(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6), &lt;북한의 협상 스타일&gt;(인하대 출판부, 2005), &lt;한국정당정치의 이해&gt;(나남, 2001), &lt;비교정치서설&gt;(공저, 법문사, 1990), &lt;민주주의 이론서설: 미국 민주주의의 원리&gt;(역서, 법문사, 1990) 등이 있다.

이정식(엮은이)

1931년 평안남도 출생. 1956년 UCLA를 졸업하고 1961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UC Berkeley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콜로라도 대학교, 다트머스 대학교를 거쳐서 1963년부터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정치학과 교수직을 역임하였고, 고려대학교 연구교수, 연세대학교 용재 석좌교수,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석좌교수를 지냈다. 2020년 현재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명예교수이다. 1974년 우드로 윌슨 파운데이션 상, 1990년 제1회 위암학술상, 2012년 경암학술상, 2018년 인촌상을 수상했다. 주요 저서로 The Politics of Korean Nationalism, Communism in Korea (로버트 스칼라피노와 공저), Japan and Korea: The Political Dimension, Syngman Rhee: The Prison Years of a Young Radical, Park Chung Hee: From Poverty to Power, 『구한말의 개혁.독립투사 서재필』, 『이승만의 구한말 개혁운동』, 『여운형』, 『대한민국의 기원』, 『21세기에 다시 보는 해방후사』 등이 있다.

김학준(엮은이)

1943년에 중국 심양(=봉천)에서 태어났다. 단국대학교 이사장, 인천대학교 총장, 동아일보사 사장·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문화과학대학 김보정(金寶鼎)석좌교수로 「남북한의 정치, 1945-2010: 비교정치학적 관점에서」(1학기) 및 「한국정치사상의 전개: 고조선으로부터 현대까지」(2학기)를 담당하고 있다. 전공분야의 논문들로, 「마르크스의 ‘경제학·철학 원고’ 논쟁」(『문학과 지성』 7:1, 1976년 봄), “The Post-War Reinterpretation of Marx in Soviet and East European Thoughts”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7:4, 1976), 「트카초프의 정치사상: 그것이 레닌이즘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서울대학교 사회과학논문집』 5, 1980) 및 「맑스학(學)에서의 사람: 생산하는 사람」(손보기(孫寶基) 외, 『도대체 사람이란 무엇일까』, 뿌리깊은나무, 1980) 등이 있다. 전공분야의 저서들로 『러시아혁명사』(문학과지성사, 초판 1979; 개정증보판 1999), 『마르크시즘의 이해』(정음사, 1984), 『소련 및 동유럽 공산주의자들의 삶과 이상』(동아일보사 출판부, 1997), 『동아시아 공산주의자들의 삶과 꿈』(동아일보사 출판부, 1998) 등이 있다. 최근의 저서들로 『북한의 역사』 전2권(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서양인들이 관찰한 후기 조선』(서강대학교 출판부, 2010), The Domestic Politics of Korean Unification(Seoul and Edison, NJ : Jimoondang, 2010)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개정판에 부쳐 = 5

초판 책머리에 = 7

권두시론 = 17

1부 운암(雲岩) / 김성숙

 1. 항일을 결심하고 집을 떠나다 = 39

 2. 3.1 운동 참여와 투옥 = 46

 3. 사회주의에 입문하다 = 55

 4. 중국으로의 망명과 급진활동 = 66

 5. 의열단의 김원봉과 손을 잡다 = 91

 6. 조선의용대를 조직하다 = 118

 7. 임정통합운동에 참여하다 = 135

 8. 민족해방에 대비하여 = 142

 9. 해방과 더불어 귀국하다 = 152

 10. 임정 탈퇴와 민전 참여 - 탈퇴의 전말 = 158

 11. 대한민국 건국 이후의 혁신운동 = 170

2부 소해(宵海) / 장건상

 1. 항일을 결심하고 일본과 미국에 유학하다 = 191

 2. 임정의 참여와 이탈 = 199

 3. 북경과 이르쿠츠크에서 공산주의에 접하다 = 208

 4. 레닌을 만나 조선독립의 방략을 논의하다 = 217

 5. 북경에서 투옥되다 = 229

 6. 상해에서의 투옥과 국내로의 압송 = 243

 7. 임정으로의 탈출 = 247

 8. 연안에서 해방을 맞고 귀국하다 = 254

 9. 민전과 근민당에서의 활동 = 264

 10. 남-북협상에 참여하다 = 287

 11. 대한민국 건국 이후의 혁신운동 = 294

3부 화암(華岩) / 정현섭

 1. 3.1 운동을 계기로 중국으로 망명하다 = 317

 2. 무정부주의 운동에 참여하다 = 326

 3. 파업과 일본화물배척을 주도하다 = 338

 4. 상해와 북경에서 항일투쟁을 계속하다 = 346

 5. 북만에서의 항일투쟁 = 366

 6. 남화한인연맹(南華韓人聯盟)을 발족시키다 = 378

 7. 육삼정 의거와 서간단의 활동 = 398

 8. 독립운동단체들 사이의 불화를 이겨내며 = 410

 9. 한-중 합동유격대(合同遊擊隊)를 조직하다 = 429

 10. 해방 직후 중국에서의 활동 = 439

 11. 혁신운동가서의 만년 = 452

4부 청뢰(靑雷) / 이강훈

 1. 간도와 상해에서 시작한 항일활동 = 469

 2. 다시 북간도에서 = 476

 3. 김좌진 장군의 한 팔이  되다 = 487

 4. 만주에서의 무정부주의 운동 = 499

 5. 김좌진의 죽음을 보고 만주를 떠나다 = 508

 6. 육삼정 의거로 15년 징역형을 받다 = 527

 7. 해방 이후의 혁신-통일 운동 = 535

 8. 원로 지도자로 독립운동사를 편찬하고 민족정기를 세우는 일에 앞장서다 = 539

참고문헌 = 547

찾아보기(인명) = 551

찾아보기(사항) = 560



관련분야 신착자료

한국학호남진흥원 (2022)
홍봉한 (2022)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HK+ 사업단 지역인문학센터 (2022)
김민수 (2022)
최보영 (2022)
서종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