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허균 문학의 실상과 전망

허균 문학의 실상과 전망 (Loan 9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문규 李文奎
Title Statement
허균 문학의 실상과 전망 / 이문규 著.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새문사 ,   2005.  
Physical Medium
462 p. ; 24 cm.
ISBN
8974111500
General Note
색인수록  
주제명(개인명)
허균  
000 00553namccc200217 k 4500
001 000045234074
005 20100807020928
007 ta
008 060227s2005 ulk 001a kor
020 ▼a 8974111500 ▼g 9381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d 244002
082 0 4 ▼a 895.732 ▼2 22
090 ▼a 897.33 ▼b 허균 2005
100 1 ▼a 이문규 ▼g 李文奎 ▼0 AUTH(211009)44974
245 1 0 ▼a 허균 문학의 실상과 전망 / ▼d 이문규 著.
260 ▼a 서울 : ▼b 새문사 , ▼c 2005.
300 ▼a 462 p. ; ▼c 24 cm.
500 ▼a 색인수록
600 1 4 ▼a 허균
945 ▼a KIN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97.33 허균 2005 Accession No. 11135217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97.33 허균 2005 Accession No. 11135217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897.33 허균 2005 Accession No. 15120824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897.33 허균 2005 Accession No. 15120825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97.33 허균 2005 Accession No. 11135217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97.33 허균 2005 Accession No. 11135217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897.33 허균 2005 Accession No. 15120824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897.33 허균 2005 Accession No. 15120825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이문규(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박사과정 수료, 문학박사 충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역임 현, 서울시립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저서 :『 허균산문문학연구』,『고전소설비평사론』,『허균 문학의 실상과 전망』,『고전 문학으로 한국인의 사랑읽기』,『고전소설의 서술 원리』 논문 :「 홍길동전 연구」외 다수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Ⅰ.「기(記)」문학
 1. 허균과 「기」문학 = 8
  1) 〈몽기(夢記)〉ㆍ〈주흘옹몽기(酒吃翁夢記)〉ㆍ〈순군부군청기(巡軍府君廳記)〉 = 10
  2) 〈몽기(夢記)〉ㆍ〈주흘옹몽기(酒吃翁夢記)〉ㆍ〈순군부군청기(巡軍府君廳記)〉의 의의 = 36
 2. 〈별연사고적기(鼈淵寺古迹記)〉 소재(所載) '고기(古記)' = 38
  1) 〈명주가〉, 〈양어지〉, '고기'의 선후 관계 = 39
  2) 〈명주가〉, 〈양어지〉의 편차와 의미 = 43
  3) '고기'의 변모양상 = 47
  4) '고기'의 서사문학적 가치 = 59
Ⅱ. 「전(傳)」 문학
 1. 허균과 「전」문학 = 64
 2. 등장인물의 특성 = 72
 3. 작품고찰 = 76
  1) 〈남궁선생전〉 = 76
  2) 〈장산인전〉 = 78
  3) 〈장생전〉 = 81
  4) 〈손곡산인전〉 = 83
  5) 〈엄처사전〉 = 84
 4. 허균 「전」의 공통적 특성 = 87
Ⅲ. 소설 문학
 1. 〈홍길동전〉의 작자문제 = 94
  1) '유재론(遺才論)'과 〈홍길동전〉 = 96
  2) '호민론(豪民論)'과 〈홍길동전〉 = 99
  3) 허균의 「전」과 〈홍길동전〉 = 103
 2. 〈홍길동전〉 작자시비 재론 = 106
  1) 현전 〈홍길동전〉에 대한 최근의 이견 = 108
  2) 택당의 기록과 〈홍길동전〉 부전(不傳)의 문제 = 112
  3) '임진록서'의 〈홍길동전〉의 성격 = 115
  4) 똑같은 이름의 소설을 창작하는 문제 = 118
  5) 〈홍길동전〉의 내용상의 문제 = 120
  6) 현전 〈홍길동전〉과 허균의 의식과의 관계 = 125
  7) 19세기 후반에 〈홍길동전〉이 유행한 점 = 126
 3. 〈홍길동전〉의 의미 = 128
 4. 홍길동의 인물형상으로 본 〈홍길동전〉의 의미 = 139
  1) 홍길동의 존재조건 = 140
  2) 존재조건의 역학관계 = 142
  3) 행동의 기본 동기 = 145
  4) 행동의 방향과 특성 = 149
  5) 행동의 궁극적 목표와 의미 = 154
 5. 허균의 현실인식과 〈홍길동전〉 = 159
  1) 허균의 현실인식 = 161
  2) 위민정신의 실상 = 169
  3) 〈홍길동전〉과의 관계 = 175
 6. 〈홍길동전〉 창작에 미친 '임꺽정' 사건의 영향 = 180
  1) 행적의 유사성 = 183
  2) 임꺽정의 위상 = 198
  3) 영향의 한계 = 202
 7. '해중서생(海中書生)'과 〈홍길동전〉 = 205
  1) '해중서생'의 내용 = 207
  2) 순양자의 견해 = 210
  3) '해중서생'과 〈홍길동전〉의 상관성 = 211
  4) 역사상의 실존인물 홍길동과 '해중서생'의 관계 = 216
  5) '해중서생'과 허균작 〈홍길동전〉의 상관성 = 218
  6) 순양자가 언급한 〈홍길동전〉 = 221
Ⅳ. 시 문학
 1. 허균의 시관(詩觀) = 226
  1) '감발징창(感發懲創)'의 시관 = 227
  2) '용철여금(用鐵如金)'의 시관 = 232
  3) '간고체험(艱苦體驗)'의 시관 = 237
  4) 시작원리론(詩作原理論) = 240
 2. 허균과 '위민시(爲民詩)' = 247
  1) '위민시'의 개념 = 249
  2) 허균 '위민시'의 창작 배경 = 256
  3) 허균 '위민시'의 양상 = 261
 3. 허균의 위민의식(爲民意識)과 유가적 이상주의 = 277
  1) 현실 정치에 대한 비판 = 278
  2) 임금의 책임 정치와 덕치(德治)에 대한 갈망 = 285
 4. 허균과 우국시(憂國詩) = 292
  1) 허균 우국시의 양상과 특성 = 294
   (1) 임진왜란을 소재로 한 시 = 294
   (2) 국가의 안녕을 염원한 시 = 305
   (3) 민족적 기개를 노래한 시 = 309
   (4) 임란 참전 장수를 기린 시 = 311
   (5) 관운장의 혼령을 찬양한 시 = 313
   (6) 호국충절을 읊은 시 = 315
  2) 허균 우국시의 가치와 의미 = 317
 5. 허균의 「동정부(東征賦)」 - 정철의 「관동별곡」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320
  1) 「동정부」와 「관동별곡」의 관계 = 322
  2) 작품 구조면 = 324
  3) 「동정부」의 가치 = 345
Ⅴ. 인간 허균론
 1. 허균에 대한 오해 = 350
  1) 경박하다거나 무례한 인간이라는 평 = 350
  2) '거상압기(居喪狎妓)'했다는 평 = 357
  3) '영불(영佛)'했다는 평 = 364
 2. 허균의 성격과 당시인의 비난 = 370
 3. 현실대처방식 = 379
 4. 허균의 인간적 면모 = 395
  1) 다정다감한 인물 = 395
  2) 가문에 대한 자부심 = 401
  3) 학문에 대한 열정 = 405
  4) 주체의식이 강했던 인물 = 409
  5) 인재를 아끼는 마음 = 419
  6) 공명정대한 마음 = 427
  7) 충(忠)과 절(節)을 중시했던 인물 = 435
  8) 투철한 국방의식 = 441
찾아보기 = 452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