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살아있는 특수교육 이야기 : 이론과 실제의 교류

살아있는 특수교육 이야기 : 이론과 실제의 교류 (Loan 10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원희 신현기
Title Statement
살아있는 특수교육 이야기 : 이론과 실제의 교류 / 박원희 , 신현기.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북카페 ,   2006.  
Physical Medium
383 p. ; 26 cm.
ISBN
8989293235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000 00582namccc200217 k 4500
001 000045233642
005 20100807020440
007 ta
008 060223s2006 ulk b 000a kor
020 ▼a 8989293235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618.9289 ▼a 371.92 ▼2 22
090 ▼a 618.9289 ▼b 2006
100 1 ▼a 박원희
245 1 0 ▼a 살아있는 특수교육 이야기 : ▼b 이론과 실제의 교류 / ▼d 박원희 , ▼e 신현기.
260 ▼a 서울 : ▼b 북카페 , ▼c 2006.
300 ▼a 383 p. ; ▼c 26 cm.
504 ▼a 참고문헌 수록
700 1 ▼a 신현기 ▼0 AUTH(211009)36582
945 ▼a KIN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8.9289 2006 Accession No. 11135222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8.9289 2006 Accession No. 11135222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Call Number 618.9289 2006 Accession No. 15120451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8.9289 2006 Accession No. 11135222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8.9289 2006 Accession No. 11135222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Call Number 618.9289 2006 Accession No. 15120451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박원희(지은이)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특수교육과, 미국 The Wichita State Univ.(M.A.), 중앙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교육학 박사)를 졸업하였다.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학장을 거쳐 현재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특수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살아있는 특수교육 이야기> 외 등이 있다.

신현기(지은이)

단국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특수교육연구소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학 전공(석·박사) 특수교육요구학생을 위한 생활기술 활동, 제2판(초등학생용) (역, 2016, 시그마프레스) 외 정신지체아동의 대인문제해결 특성 외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부 정신지체아동교육의 이론과 사례
 Ⅰ. 정신지체의 정의 = 13
  1. 정신지체의 고전적 정의 = 13
   1) Tredgold의 정의(1937) = 14
   2) Doll의 정의(1941) = 14
   3) 오늘날 정의와의 공통점과 차이점 = 14
  2. 이전의 미국정신지체협회 정의 = 15
   1) 1961년의 정의(제5차) = 15
   2) 1973년의 정의(제6차) = 16
   3) 1983년의 정의 = 18
  3. 1992년의 정의 = 19
   1) 지능지수 및 기능 중심 체계 = 19
   2) 1992년 정의 = 20
   3) 1992년 정신지체 정의의 일반적 구조 = 22
   4) 분류 체계 = 23
   5) 진단, 분류, 지원의 3단계 = 25
   6) 1992년 정의와 분류 체계의 주요 변화 = 26
  4. 2002년 정신지체 정의 = 28
   1) 1992년 정의에 대한 긍정적 평가 = 28
   2) 1992년 정의에 대한 부정적 평가 = 30
   3) 1992년 정의 체계에 대한 비판이 10판 정의에 갖는 함의 = 33
   4) 2002년 정신지체 정의(Lurkasson 등, 2002) = 36
   5) 2002년 정신지체 정의의 이론적 모형 = 38
   6) 2002년 정의의 진단, 분류, 지원 계획을 위한 틀 = 40
  5. 우리나라의 정신지체 정의 = 41
 Ⅱ. 정신지체아동 교육이론 = 43
  1. 정신지체 특성의 재 언급 = 44
  2. 협력 체제에서의 교사 역할 = 46
   1) 다양한 적응 행동의 획득 = 47
   2) 기술을 사용하는 때와 장소의 학습 = 47
   3) 적응 행동의 일반화 = 47
   4) 새로운 기술/행동의 유지 = 48
   5) 기능적 행동의 정선 = 48
   6) 협력을 위한 노력 = 49
  3. 교육과정상의 고려 = 51
  4. 교육과정의 적응 경향 = 53
   1) 지원/조절이 없는 일반교육과정 = 53
   2) 지원/조절한 일반교육과정 = 53
   3) 교과와 사회적 기술 발달과 교정에 초점을 맞춘 특수교육과정 = 54
   4) 성인기 이후 성과에 초점을 맞춘 특수교육 교육과정 = 55
  5. 교수과정에서의 고려 = 56
 Ⅲ. 일본의 정신지체아동 교육 사례 = 60
  1. 저자의 머리말 = 61
   "나는 바보가 아닌 인간이다." = 62
  2. 사과란 토끼야 = 63
   남의 아이의 불행은 내 아이의 불행이다 = 63
    1) 아동을 교육하는 장이다 = 82
    2) 부모를 교육하는 장이다 = 83
    3) 지역사회를 교육하는 장이다 = 83
    4) 시설은 없어져야 한다 = 84
    5) 저항하는 장이다 = 84
    6) 사과하는 장이다 = 85
    7) 멈춰서는 장이다 = 86
    8) 그 누군가가 걷는 장이다 = 86
   눈에 보이는 것보다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 87
   바보란 불쌍해, 정말 그럴까? = 105
    1) 시설은 건물이 아니고 사람이다 = 114
    2) 보모는 왜 부족한가? = 115
    3) 아이들이 몰려들지 않는 시설 = 116
    4) 보이지 않는 곳이 아름다운 시설 = 117
   아이들의 똥오줌 투성이 속에서 = 126
제2부 자폐성 장애아동교육의 이론과 사례
 Ⅰ. 자폐성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기술과 마음 읽기 이론 = 139
  1. 「마음 읽기 이론」의 개념 성립 과정 = 142
  2. 「마음 읽기 이론」의 발달 = 146
  3. 자폐성 장애아동과 「마음 읽기 이론」 = 148
  4. 「마음 읽기 이론」의 기제 = 152
  5. 「마음 읽기 이론」에 관한 반증 = 155
  6. 「마음 읽기 이론」의 대안 연구 = 158
  7. 「마음 읽기 이론」과 의사소통 = 160
  8. 요약 = 164
 Ⅱ.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적 특성과 지도이론 = 168
  2.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적 특성 = 170
   1) 사회적 특성을 진단하는 도구 = 170
   2) 진단도구의 사회성 준거 = 172
   3) 특정 사회적 영역의 발달 특성 = 173
  3.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적 기술의 지도 = 177
   1) 사회적 상호작용의 지도 = 177
   2) 놀이의 지도 = 181
  4. 요약 = 182
 Ⅲ. 자폐성 장애아동의 가정교육 사례 = 190
  1. 자폐성 장애아동의 가족 = 190
   맥과이어의 가족의 이야기 = 190
    1) 평생 동안 존속되는 관계로서의 형제자매 = 197
    2) 형제 또는 자매가 자폐성 장애를 가진 경우 = 200
    3) 요약 = 210
    4) 부모의 견해 = 210
   얀센의 가족 이야기 = 212
    1) 자폐성 장애의 이해과정에서 자녀에게 발생되는 문제 = 216
    2) 요약 = 230
    3) 부모의 견해 = 231
   마틴의 가족이야기 = 234
    1) 좋은 대화 분위기 만들기 = 239
    2) 요약 = 252
    3) 부모의 견해 = 252
   곤잘레스의 가족 이야기 = 255
    1) 그 아이를 더 사랑해요 = 257
    2) 함께 아니면 따로? = 258
    3) 함께 하기 = 260
    4) 개인적인 공간 = 262
    5) 모두가 가족으로 기여하기 = 264
    6) 자원의 활용 = 265
    7) 부모지원 단체들 = 268
    8) 형제자매 지원단체들 = 268
    9) 요약 = 269
    10) 부모의 견해 = 270
   로렐의 가족 이야기 = 273
    1) 교사로서의 아동 = 275
    2) 놀이기술 교수 = 277
    3) 단계 설정 = 279
    4) 명료한 교수의 제공 = 282
    5) 보상 = 283
    6) 도움의 제공 = 285
    7) 요약 = 286
    8) 아주 어린 아동들과 함께 = 287
    9) 논의 = 287
    10) 부모의 견해 = 288
 Ⅳ. 자폐성 장애아동의 학교교육 사례 = 292
  1. 고꼬로미학원의 지난 이야기들 = 293
   1) 직원과 아이들 간에 차별을 두지 않는다 = 294
   2) 자연 속에서의 소박한 생활을 중요시한다 = 294
   3) 노동을 중요시한다 = 294
   4)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한다 = 295
  2. 고꼬로미학원의 교육이야기 = 295
   1) 고꼬로미학원의 자연이 자폐증을 고친다 = 295
   2) 이 아이들에게 끌려서 = 309
  3. 포도밭의 미소 = 332
   5) 고꼬로미의 사고방식 = 366
  4. 앞으로의 희망 = 37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강민재 (2023)
박명화 (2022)
대한신생아스크리닝학회 (2022)
대한유방영상의학회 (2022)
Mellenthin, Clair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