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5
후기 = 9
제2판에 대한 서문 = 10
제1장 서론 = 21
1. 종교개혁 이전의 스위스 = 21
2. 스위스의 종교개혁 = 25
3. 독일의 종교개혁과 비교해 본 스위스 종교개혁의 특징 = 27
4. 스위스 종교개혁에 관한 문헌 = 31
제2장 츠빙글리의 훈련 = 35
5. 츠빙글리에 관한 문헌 = 35
6. 츠빙글리의 출생과 교육 = 39
7. 글라루스에서의 츠빙글리 = 43
8. 아인지델른에서의 츠빙글리 = 47
9. 츠빙글리와 루터 = 50
제3장 취리히 종교개혁(1519-1526) = 54
10. 취리히로 청빙된 츠빙글리 = 54
11. 츠빙글리의 공적인 사역과 사적인 연구 활동 = 55
12. 츠빙글리와 면죄부 판매 = 58
13. 전염병이 창궐하던 때의 츠빙글리 = 59
14. 공개적인 위반행위. 금식에 관한 논쟁(1522) = 62
15. 성직자 독신제 폐지를 위한 청원, 츠빙글리의 결혼 = 64
16. 츠빙글리와 아비뇽의 랑베르 = 66
17. 67개 조항 = 66
18. 공개적인 논쟁(1523) = 69
19. 로마 가톨릭식 예배의 폐지(1524) = 73
20. 개혁파의 성찬 = 77
21. 다른 변화들 : 신학교, 카롤리눔, 신학 체계 = 78
22. 성경 번역, 레오 유트 = 80
23. 교회와 국가 = 83
24. 츠빙글리와 급진주의의 충돌 = 86
25. 세례 논쟁 = 91
26. 재세례파에 대한 박해 = 95
27. 성찬논쟁 : 츠빙글리와 루터 = 98
28. 츠빙글리의 저작들 = 100
29. 츠빙글리의 신학 = 102
제4장 스위스 종교개혁의 확산 = 110
30. 스위스 의회와 바덴 회의(1526년) = 110
31. 베른의 종교개혁 = 113
32. 바젤의 종교개혁 : 오이콜람파디우스 = 117
33. 글라루스에서의 종교개혁 : 추디, 글라레아누스 = 125
34. 장크트갈렌, 토겐부르크, 아펜첼에서의 종교개혁 : 바트와 케슬러 = 131
35. 샤프하우젠에서의 종교개혁 : 호프마이스터 = 135
36. 그라우뷘덴(그리종) = 136
37. 그라우뷘덴에서의 종교개혁 : 코만더, 갈리치우스, 캄펠 = 140
38. 그라우뷘덴의 이탈리아어권 골짜기에서의 종교개혁 : 베르제리우스 = 147
39. 치아벤나와 발텔리나에서의 개신교와 그에 대한 억압 : 발텔리나 대학살 사건과 게오르크 예나취 = 156
40. 로카르노의 회중 = 161
41. 독일의 츠빙글리주의 = 163
제5장 로마 가톨릭 주와 개혁과 주 사이의 내란 = 165
42. 제1차 카펠 전투(1529) = 165
43. 제1차 카펠 평화 조약(1529년 6월) = 170
44. 전쟁들의 와중에서 : 츠빙글리의 정치적 역정 = 173
45. 츠빙글리의 마지막 신학 작업 : 그의 신앙고백서들 = 175
46. 제2차 카펠 전투(1531) = 178
47. 츠빙글리의 죽음 = 182
48. 카펠에서의 참사에 대한 평가 = 184
49. 제2차 카펠 평화조약(1531년 11월) = 188
50. 로마 가톨릭의 반동 = 190
51. 스위스에서 신앙고백들의 상대적인 강세 = 191
52. 다시 살아난 츠빙글리 = 193
제6장 통합의 시대 = 196
53. 참고문헌 = 196
54. 하인리히 불링거(1504-1575) = 197
55. 주임 목사 브라이팅거(1575-1645) = 207
56. 미코니우스, 바젤의 주임 목사 = 208
57. 스위스 신앙고백 = 211
제7장 프랑스어권 스위스 종교개혁의 준비작업(1526-1536) = 215
58. 칼빈과 프랑스어권 스위스 종교개혁에 관한 문헌 = 215
59. 종교개혁 이전의 프랑스어권 스위스의 상황 = 223
60. 기욤 파렐(1489-1565) = 227
61. 제네바에서의 파렐 : 종교개혁의 제1막(1535) = 234
62. 파렐의 마지막 사역 = 238
63. 비레와 로잔에서의 종교개혁 = 240
64. 앙투안 프로망 = 242
제8장 칼빈과 그의 사역 = 245
65. 선배 개혁자들과 비교해 본 칼빈 = 245
66. 역사 속에서의 칼빈의 위치 = 248
67. 칼빈의 저술활동 = 254
68. 칼빈을 기념하는 헌사들 = 257
제9장 프랑스를 떠나 스위스로 = 259
69. 칼빈의 청년기와 훈련 = 259
70. 프랑스 대학에서 수학하던 학생 칼빈(1528-1533) = 264
71. 인문주의자 칼빈. 「세네카의 관용론 주석」 = 267
72. 칼빈의 회심(1532) = 268
73. 칼빈의 소명 = 271
74. 공개적인 분열. 학술 연설(1533) = 275
75. 파리에서의 프로테스탄트 박해(1534) = 277
76. 순회 전도자로서의 칼빈(1533-l536) = 279
77. 「영혼수면설 논박」(1534) = 281
78. 바젤에서의 칼빈(1535-1536) = 282
79. 칼빈의 「기독교 강요」 = 283
80. 바젤에서 페라라까지. 르네 공작 부인 = 290
제10장 칼빈의 제1차 제네바 체류와 사역(1536-1538) = 293
81. 칼빈의 제네바 도착과 정착 = 293
82. 초기의 사역과 시련들 = 294
83. 개혁자들이 질서와 규율을 도입하다 = 297
84. 개혁자들의 추방(1538) = 301
제11장 독일에서의 칼빈(1538-1541) = 306
85. 슈트라스부르크에서의 칼빈 = 306
86. 슈트라스부르크의 이방인 교회 = 309
87. 칼빈의 예배의식 = 311
88. 신학 교사와 저술가로서의 칼빈 = 315
89. 프랑크푸르트, 보름스, 레겐스부르크 회의에서의 칼빈 = 317
90. 칼빈과 멜란히톤 = 322
91. 칼빈과 사돌레토. 종교개혁의 변호 = 336
92. 칼빈의 결혼과 가정생활 = 346
제12장 칼빈의 제2차 제네바 체류와 사역(1541-1564) = 360
93. 개혁자들을 추방하고 난 뒤의 제네바 = 360
94. 칼빈의 제네바 재청빙 = 363
95. 칼빈의 제네바 귀환(1541) = 367
96. 귀환 후 처음 몇 해 = 371
97. 칼빈의 활동에 대한 개관 = 377
제13장 제네바 교회의 헌법과 치리 = 381
98. 참고문헌 = 381
99. 거룩한 보편적 교회에 대한 칼빈의 이해 = 382
100. 가시적 교회와 불가시적 교회 = 392
101. 세속 정부 = 396
102. 칼빈의 교회 정치체제의 특징 = 401
103. 교회와 국가 = 404
104. 교회 법령 = 408
105. 목사회와 치리법원 = 413
106. 칼빈의 치리론 = 415
107. 제네바에서의 치리 시행 = 421
108. 애국파들과 리버틴들에 대항한 칼빈의 투쟁 = 425
109. 리버틴 지도자들과 그들의 처벌 : 그루에, 페랭, 아모, 방델, 베르텔리에르 = 431
110. 쇄신된 제네바 = 443
제14장 칼빈의 신학 = 448
111. 칼빈의 주석서들 = 448
112. 칼빈주의 체계 = 460
113. 예정론 = 465
114. 칼빈주의 검토 = 482
115. 칼빈의 성례론 = 496
116. 세례 = 497
117. 성찬 : 취리히 합의 = 501
제15장 신학 논쟁들 = 506
118. 논쟁가로서의 칼빈 = 506
119. 칼빈과 피기우스 = 507
120. 반(反)가톨릭 저술들 : 트렌트 공의회에 대한 비판(1547) = 511
121. 「독일 가신조 협정」에 반대하여(1549) = 513
122. 성유물 숭배에 대항하여(1543) = 516
123. 소르본의 신조문과 그에 대한 대안(1544) = 520
124. 칼빈과 니고데모당(1544) = 520
125. 칼빈과 볼섹 = 524
l26. 칼빈과 카스텔리오 = 530
127. 칼빈주의와 유니테리언주의 : 이탈리아 난민들 = 535
128. 칼빈과 라일리우스 소키누스 = 539
129. 베르나르디노 오키노(1487-1565) = 543
130. 카일리우스 세쿤두스 쿠리오(1503-1569) = 556
131. 제네바의 이탈리아계 반(反)삼위일체주의자들 : 그리발도, 비안드라타, 알치아티, 젠틸레 = 557
132. 성찬 논쟁 : 칼빈과 베스트팔 = 562
133. 칼빈과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 제2차 성찬 논쟁에서의 멜란히톤의 입장 = 567
134. 칼빈과 헤스후지우스 = 573
135. 칼빈과 점성술사들 = 578
제16장 세르베투스 : 그의 삶, 지론, 재판, 그리고 처형 = 582
136. 세르베투스에 관한 문헌들 = 582
137. 칼빈과 세르베투스 = 587
138. 가톨릭의 불관용 = 593
139. 프로테스탄트측의 불관용. 세르베투스에 대한 개혁자들의 판단 = 599
140. 세르베투스의 초기 생애 = 608
141. 거룩한 삼위일체에 대항한 책 = 611
142. 지리학자로서의 세르베투스 = 615
143. 의사, 과학자, 점성가로서의 세르베투스 = 617
144. 비엔에서의 세르베투스. 그의 성경 주석 = 619
145. 세르베투스의 칼빈 및 푸팽과의 서신 교환 = 620
146. 「기독교 복원」 = 625
147. 세르베투스의 신학 체계 = 628
148. 비엔에서의 세르베투스에 대한 재판과 판결 = 646
149. 세르베투스가 제네바로 도주하지만 체포됨 = 651
150. 1553년 제네바의 정치적 상황 = 653
151. 제네바에서의 재판의 제1막 = 655
152. 제네바 재판의 제2막 = 660
153. 스위스 교회의 자문. 세르베투스의 반항적인 태도 = 665
154. 세르베투스에 대한 유죄 판결 = 667
155. 세르베투스의 처형(1553년 10월 27일) = 669
156. 세르베투스의 성격 = 672
157. 이단자 처형에 대한 칼빈의 변증 = 674
158. 종교적인 자유를 위한 탄원 : 카스텔리오와 베자 = 678
제17장 해외에서의 칼빈 = 683
159. 칼빈 정신의 보편성 = 683
160. 각국에서 온 프로테스탄트들의 피난처로서의 제네바 = 686
161. 제네바 아카데미 : 개혁 신학의 최고 학교 = 687
162. 대륙의 개혁교회들에 미친 칼빈의 영향 = 689
163. 영국에 미친 칼빈의 영향 = 698
제18장 칼빈 생애의 마지막 장 = 702
164. 칼빈의 최후와 죽음 = 702
165. 칼빈의 유언과 고별사 = 708
166. 칼빈의 성품과 습관 = 716
제19장 테오도르 베자 = 723
167. 회심하기까지 베자의 생애 = 723
168. 로잔에서의 베자, 그리고 독일 영주들에게 파견된 사절로서의 베자 = 729
l69. 제네바에서의 베자 = 731
170. 푸아시 회의에서의 베자 = 732
171. 위그노 지도자들의 자문관으로서의 베자 = 735
172. 칼빈의 계승자로서의 베자(1586년까지) = 738
173. 베자와 루터파 사이의 회의들 = 741
174. 베자와 앙리 4세 = 742
175. 베자의 말년 = 743
176. 베자의 저술들 = 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