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회사 전집 . 8 : 스위스 종교개혁

교회사 전집 . 8 : 스위스 종교개혁 (1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Schaff, Philip , 1819-1893 박경수 , 역
서명 / 저자사항
교회사 전집 . 8 , 스위스 종교개혁 / 필립 샤프 ; 박경수 옮김.
발행사항
고양 :   크리스챤다이제스트 ,   2004.  
형태사항
751 p. ; 23 cm.
원표제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ISBN
894470418X 8944704104(전8권)
000 00678namccc200241 k 4500
001 000045233140
005 20100807015433
007 ta
008 060221s2004 ggk 000a kor
020 ▼a 894470418X ▼g 94230(8)
020 1 ▼a 8944704104(전8권)
040 ▼a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270 ▼2 22
090 ▼a 270 ▼b 2004 ▼c 8
100 1 ▼a Schaff, Philip , ▼d 1819-1893
245 1 0 ▼a 교회사 전집 . ▼n 8 , ▼p 스위스 종교개혁 / ▼d 필립 샤프 ; ▼e 박경수 옮김.
246 1 9 ▼a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260 ▼a 고양 : ▼b 크리스챤다이제스트 , ▼c 2004.
300 ▼a 751 p. ; ▼c 23 cm.
700 1 ▼a 박경수 , ▼e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270 2004 8 등록번호 11135423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270 2004 8 등록번호 111354232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10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270 2004 8 등록번호 15124405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270 2004 8 등록번호 11135423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270 2004 8 등록번호 111354232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10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270 2004 8 등록번호 15124405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필립 샤프(지은이)

성서신학자, 교회사가, 선구적인 세계교회일치운동가, 스위스에서 목수의 아들로 태어나 장학금으로 공부하였다. 독일 슈투트가르트 김나지움을 졸업한 뒤 튀빙겐 대학교에 들어가 바우어 밑에서 공부하였다. 훗날 할레대학교와 베를린대학교에 들어가 톨룩, 헹스텐베르크, 네안더와 함께 공부하였다. 그는 1844년에 미국 펜실베니아 주 머서즈버그에 있는 독일 개혁교회 신학교의 교회사 및 성서학 교수로 초빙을 받았다. 그는 취임 강의를 엮어 만든 [프로테스탄트 신앙의 원칙](1844)에서 기독교 교회사를 프로테스탄트 신앙과 로마 가톨릭 신앙이 연합하여 새로운 복음주의적 가톨릭 신앙으로 나아가는 신적인 발전 과정으로 보았다. 이 강의로 이단이라는 비판을 받았으나, 훗날 그러한 비판에서 풀려났다. 그 신학교에 있으면서 네빈과 함께 머서즈버그 신학을 형성하였다. 1870년부터 죽을 때까지 뉴욕 유니온신학교 교수를 지냈다. 1866년부터 복음주의 연맹에서 일하는 가운데 기독교의 일치를 위해 적극적인 활동을 펼쳤다. 1888년 미국교회사협회를 설립하였고, 이 협회의 초대 회장을 지냈다.

박경수(옮긴이)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B. A.)를 졸업한 후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교역학(M. Div.)과 신학석사(Th. M.) 과정을 마쳤다. 이후 미국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교회사로 석사학위를, 클레어몬트 대학원에서 종교개혁사로 박사학위(Ph. D.)를 받았다. 저서로는 『종교개혁 그 현장을 가다』, 『교회사 클래스』, 『교회의 신학자 칼뱅』(이상 대한기독교서회) 등이 있고, 이 외에도 다수의 공저와 논문이 있다. 또한 『여성과 종교개혁』, 『츠빙글리의 생애와 사상』, 『스위스종교개혁』, 『기독교신학사』, 『초대 기독교 교부』 등의 교회사 분야 번역서들이 있다. 현재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교회사 교수로 후학들을 양성하고 있으며, 한국칼빈학회,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신앙과직제위원회, 공적신학과교회연구소, 한국교회사학회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 5

후기 = 9

제2판에 대한 서문 = 10

제1장 서론 = 21

 1. 종교개혁 이전의 스위스 = 21

 2. 스위스의 종교개혁 = 25

 3. 독일의 종교개혁과 비교해 본 스위스 종교개혁의 특징 = 27

 4. 스위스 종교개혁에 관한 문헌 = 31

제2장 츠빙글리의 훈련 = 35

 5. 츠빙글리에 관한 문헌 = 35

 6. 츠빙글리의 출생과 교육 = 39

 7. 글라루스에서의 츠빙글리 = 43

 8. 아인지델른에서의 츠빙글리 = 47

 9. 츠빙글리와 루터 = 50

제3장 취리히 종교개혁(1519-1526) = 54

 10. 취리히로 청빙된 츠빙글리 = 54

 11. 츠빙글리의 공적인 사역과 사적인 연구 활동 = 55

 12. 츠빙글리와 면죄부 판매 = 58

 13. 전염병이 창궐하던 때의 츠빙글리 = 59

 14. 공개적인 위반행위. 금식에 관한 논쟁(1522) = 62

 15. 성직자 독신제 폐지를 위한 청원, 츠빙글리의 결혼 = 64

 16. 츠빙글리와 아비뇽의 랑베르 = 66

 17. 67개 조항 = 66

 18. 공개적인 논쟁(1523) = 69

 19. 로마 가톨릭식 예배의 폐지(1524) = 73

 20. 개혁파의 성찬 = 77

 21. 다른 변화들 : 신학교, 카롤리눔, 신학 체계 = 78

 22. 성경 번역, 레오 유트 = 80

 23. 교회와 국가 = 83

 24. 츠빙글리와 급진주의의 충돌 = 86

 25. 세례 논쟁 = 91

 26. 재세례파에 대한 박해 = 95

 27. 성찬논쟁 : 츠빙글리와 루터 = 98

 28. 츠빙글리의 저작들 = 100

 29. 츠빙글리의 신학 = 102

제4장 스위스 종교개혁의 확산 = 110

 30. 스위스 의회와 바덴 회의(1526년) = 110

 31. 베른의 종교개혁 = 113

 32. 바젤의 종교개혁 : 오이콜람파디우스 = 117

 33. 글라루스에서의 종교개혁 : 추디, 글라레아누스 = 125

 34. 장크트갈렌, 토겐부르크, 아펜첼에서의 종교개혁 : 바트와 케슬러 = 131

 35. 샤프하우젠에서의 종교개혁 : 호프마이스터 = 135

 36. 그라우뷘덴(그리종) = 136

 37. 그라우뷘덴에서의 종교개혁 : 코만더, 갈리치우스, 캄펠 = 140

 38. 그라우뷘덴의 이탈리아어권 골짜기에서의 종교개혁 : 베르제리우스 = 147

 39. 치아벤나와 발텔리나에서의 개신교와 그에 대한 억압 : 발텔리나 대학살 사건과 게오르크 예나취 = 156

 40. 로카르노의 회중 = 161

 41. 독일의 츠빙글리주의 = 163

제5장 로마 가톨릭 주와 개혁과 주 사이의 내란 = 165

 42. 제1차 카펠 전투(1529) = 165

 43. 제1차 카펠 평화 조약(1529년 6월) = 170

 44. 전쟁들의 와중에서 : 츠빙글리의 정치적 역정 = 173

 45. 츠빙글리의 마지막 신학 작업 : 그의 신앙고백서들 = 175

 46. 제2차 카펠 전투(1531) = 178

 47. 츠빙글리의 죽음 = 182

 48. 카펠에서의 참사에 대한 평가 = 184

 49. 제2차 카펠 평화조약(1531년 11월) = 188

 50. 로마 가톨릭의 반동 = 190

 51. 스위스에서 신앙고백들의 상대적인 강세 = 191

 52. 다시 살아난 츠빙글리 = 193

제6장 통합의 시대 = 196

 53. 참고문헌 = 196

 54. 하인리히 불링거(1504-1575) = 197

 55. 주임 목사 브라이팅거(1575-1645) = 207

 56. 미코니우스, 바젤의 주임 목사 = 208

 57. 스위스 신앙고백 = 211

제7장 프랑스어권 스위스 종교개혁의 준비작업(1526-1536) = 215

 58. 칼빈과 프랑스어권 스위스 종교개혁에 관한 문헌 = 215

 59. 종교개혁 이전의 프랑스어권 스위스의 상황 = 223

 60. 기욤 파렐(1489-1565) = 227

 61. 제네바에서의 파렐 : 종교개혁의 제1막(1535) = 234

 62. 파렐의 마지막 사역 = 238

 63. 비레와 로잔에서의 종교개혁 = 240

 64. 앙투안 프로망 = 242

제8장 칼빈과 그의 사역 = 245

 65. 선배 개혁자들과 비교해 본 칼빈 = 245

 66. 역사 속에서의 칼빈의 위치 = 248

 67. 칼빈의 저술활동 = 254

 68. 칼빈을 기념하는 헌사들 = 257

제9장 프랑스를 떠나 스위스로 = 259

 69. 칼빈의 청년기와 훈련 = 259

 70. 프랑스 대학에서 수학하던 학생 칼빈(1528-1533) = 264

 71. 인문주의자 칼빈. 「세네카의 관용론 주석」 = 267

 72. 칼빈의 회심(1532) = 268

 73. 칼빈의 소명 = 271

 74. 공개적인 분열. 학술 연설(1533) = 275

 75. 파리에서의 프로테스탄트 박해(1534) = 277

 76. 순회 전도자로서의 칼빈(1533-l536) = 279

 77. 「영혼수면설 논박」(1534) = 281

 78. 바젤에서의 칼빈(1535-1536) = 282

 79. 칼빈의 「기독교 강요」 = 283

 80. 바젤에서 페라라까지. 르네 공작 부인 = 290

제10장 칼빈의 제1차 제네바 체류와 사역(1536-1538) = 293

 81. 칼빈의 제네바 도착과 정착 = 293

 82. 초기의 사역과 시련들 = 294

 83. 개혁자들이 질서와 규율을 도입하다 = 297

 84. 개혁자들의 추방(1538) = 301

제11장 독일에서의 칼빈(1538-1541) = 306

 85. 슈트라스부르크에서의 칼빈 = 306

 86. 슈트라스부르크의 이방인 교회 = 309

 87. 칼빈의 예배의식 = 311

 88. 신학 교사와 저술가로서의 칼빈 = 315

 89. 프랑크푸르트, 보름스, 레겐스부르크 회의에서의 칼빈 = 317

 90. 칼빈과 멜란히톤 = 322

 91. 칼빈과 사돌레토. 종교개혁의 변호 = 336

 92. 칼빈의 결혼과 가정생활 = 346

제12장 칼빈의 제2차 제네바 체류와 사역(1541-1564) = 360

 93. 개혁자들을 추방하고 난 뒤의 제네바 = 360

 94. 칼빈의 제네바 재청빙 = 363

 95. 칼빈의 제네바 귀환(1541) = 367

 96. 귀환 후 처음 몇 해 = 371

 97. 칼빈의 활동에 대한 개관 = 377

제13장 제네바 교회의 헌법과 치리 = 381

 98. 참고문헌 = 381

 99. 거룩한 보편적 교회에 대한 칼빈의 이해 = 382

 100. 가시적 교회와 불가시적 교회 = 392

 101. 세속 정부 = 396

 102. 칼빈의 교회 정치체제의 특징 = 401

 103. 교회와 국가 = 404

 104. 교회 법령 = 408

 105. 목사회와 치리법원 = 413

 106. 칼빈의 치리론 = 415

 107. 제네바에서의 치리 시행 = 421

 108. 애국파들과 리버틴들에 대항한 칼빈의 투쟁 = 425

 109. 리버틴 지도자들과 그들의 처벌 : 그루에, 페랭, 아모, 방델, 베르텔리에르 = 431

 110. 쇄신된 제네바 = 443

제14장 칼빈의 신학 = 448

 111. 칼빈의 주석서들 = 448

 112. 칼빈주의 체계 = 460

 113. 예정론 = 465

 114. 칼빈주의 검토 = 482

 115. 칼빈의 성례론 = 496

 116. 세례 = 497

 117. 성찬 : 취리히 합의 = 501

제15장 신학 논쟁들 = 506

 118. 논쟁가로서의 칼빈 = 506

 119. 칼빈과 피기우스 = 507

 120. 반(反)가톨릭 저술들 : 트렌트 공의회에 대한 비판(1547) = 511

 121. 「독일 가신조 협정」에 반대하여(1549) = 513

 122. 성유물 숭배에 대항하여(1543) = 516

 123. 소르본의 신조문과 그에 대한 대안(1544) = 520

 124. 칼빈과 니고데모당(1544) = 520

 125. 칼빈과 볼섹 = 524

 l26. 칼빈과 카스텔리오 = 530

 127. 칼빈주의와 유니테리언주의 : 이탈리아 난민들 = 535

 128. 칼빈과 라일리우스 소키누스 = 539

 129. 베르나르디노 오키노(1487-1565) = 543

 130. 카일리우스 세쿤두스 쿠리오(1503-1569) = 556

 131. 제네바의 이탈리아계 반(反)삼위일체주의자들 : 그리발도, 비안드라타, 알치아티, 젠틸레 = 557

 132. 성찬 논쟁 : 칼빈과 베스트팔 = 562

 133. 칼빈과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 제2차 성찬 논쟁에서의 멜란히톤의 입장 = 567

 134. 칼빈과 헤스후지우스 = 573

 135. 칼빈과 점성술사들 = 578

제16장 세르베투스 : 그의 삶, 지론, 재판, 그리고 처형 = 582

 136. 세르베투스에 관한 문헌들 = 582

 137. 칼빈과 세르베투스 = 587

 138. 가톨릭의 불관용 = 593

 139. 프로테스탄트측의 불관용. 세르베투스에 대한 개혁자들의 판단 = 599

 140. 세르베투스의 초기 생애 = 608

 141. 거룩한 삼위일체에 대항한 책 = 611

 142. 지리학자로서의 세르베투스 = 615

 143. 의사, 과학자, 점성가로서의 세르베투스 = 617

 144. 비엔에서의 세르베투스. 그의 성경 주석 = 619

 145. 세르베투스의 칼빈 및 푸팽과의 서신 교환 = 620

 146. 「기독교 복원」 = 625

 147. 세르베투스의 신학 체계 = 628

 148. 비엔에서의 세르베투스에 대한 재판과 판결 = 646

 149. 세르베투스가 제네바로 도주하지만 체포됨 = 651

 150. 1553년 제네바의 정치적 상황 = 653

 151. 제네바에서의 재판의 제1막 = 655

 152. 제네바 재판의 제2막 = 660

 153. 스위스 교회의 자문. 세르베투스의 반항적인 태도 = 665

 154. 세르베투스에 대한 유죄 판결 = 667

 155. 세르베투스의 처형(1553년 10월 27일) = 669

 156. 세르베투스의 성격 = 672

 157. 이단자 처형에 대한 칼빈의 변증 = 674

 158. 종교적인 자유를 위한 탄원 : 카스텔리오와 베자 = 678

제17장 해외에서의 칼빈 = 683

 159. 칼빈 정신의 보편성 = 683

 160. 각국에서 온 프로테스탄트들의 피난처로서의 제네바 = 686

 161. 제네바 아카데미 : 개혁 신학의 최고 학교 = 687

 162. 대륙의 개혁교회들에 미친 칼빈의 영향 = 689

 163. 영국에 미친 칼빈의 영향 = 698

제18장 칼빈 생애의 마지막 장 = 702

 164. 칼빈의 최후와 죽음 = 702

 165. 칼빈의 유언과 고별사 = 708

 166. 칼빈의 성품과 습관 = 716

제19장 테오도르 베자 = 723

 167. 회심하기까지 베자의 생애 = 723

 168. 로잔에서의 베자, 그리고 독일 영주들에게 파견된 사절로서의 베자 = 729

 l69. 제네바에서의 베자 = 731

 170. 푸아시 회의에서의 베자 = 732

 171. 위그노 지도자들의 자문관으로서의 베자 = 735

 172. 칼빈의 계승자로서의 베자(1586년까지) = 738

 173. 베자와 루터파 사이의 회의들 = 741

 174. 베자와 앙리 4세 = 742

 175. 베자의 말년 = 743

 176. 베자의 저술들 = 746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