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고강도 화이버소재용 탄소나노튜브 성장 기술 개발

고강도 화이버소재용 탄소나노튜브 성장 기술 개발 (Loan 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도진, 연구책임 최규석, 연구 이해원, 위탁연구책임
Corporate Author
충남대학교, 주관연구
Title Statement
고강도 화이버소재용 탄소나노튜브 성장 기술 개발 = Carbon nanotube growth techniques for high-strength fibers application / 주관연구책임: 김도진 ; 연구원: 최규석 [외] ; 주관연구기관: 충남대학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과천] :   과학기술부,   2005.  
Physical Medium
99장 : 삽도 ; 30 cm.
General Note
중사업명: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세부사업명: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위탁연구책임: 이해원  
위탁연구기관: 한양대학교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97-99
000 00000nam c2200205 k 4500
001 000045232987
005 20230208140342
007 ta
008 060221s2005 ggka btMB 000a korBU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620.5 ▼2 22
088 ▼a M102KO010012-04K1501-01210
090 ▼a 620.5 ▼b 2005ze
245 0 0 ▼a 고강도 화이버소재용 탄소나노튜브 성장 기술 개발 = ▼x Carbon nanotube growth techniques for high-strength fibers application / ▼d 주관연구책임: 김도진 ; ▼e 연구원: 최규석 [외] ; ▼e 주관연구기관: 충남대학교.
260 ▼a [과천] : ▼b 과학기술부, ▼c 2005.
300 ▼a 99장 : ▼b 삽도 ; ▼c 30 cm.
500 ▼a 중사업명: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500 ▼a 세부사업명: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500 ▼a 위탁연구책임: 이해원
500 ▼a 위탁연구기관: 한양대학교
504 ▼a 참고문헌: p. 97-99
700 1 ▼a 김도진, ▼e 연구책임
700 1 ▼a 최규석, ▼e 연구
700 1 ▼a 이해원, ▼e 위탁연구책임
710 ▼a 충남대학교, ▼e 주관연구
710 ▼a 한양대학교, ▼e 위탁연구
710 ▼a 한국. ▼b 과학기술부 ▼0 AUTH(211009)148152
740 ▼a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740 ▼a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620.5 2005ze Accession No. 12110978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1. 연구개발 기술과제의 개요(Research topics of the project) = 1
  1. 1.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s.) = 1
  1. 2. 탄소나노튜브의 특성(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 3
    1. 2. 1. 탄소나노튜브의 구조적 특성(The structural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 3
    1. 2. 2. 탄소나노튜브의 기계적 특성(The mechanical property of carbon nanotubes) = 5
    1. 2. 3. 탄소나노튜브의 전기적 특성(The electrical property of carbon nanotubes) = 6
    1. 2. 4. 탄소나노튜브의 전계방출 특성(The field emission property of carbon nanotubes) = 8
  1. 3. 탄소나노튜브의 응용(Applications of carbon nanotubes) = 10
    1. 3. 1. 탄소나노튜브의 전계방출 소자로의 응용(Field emission devices) = 11
    1. 3. 2. 탄소나노튜브 전계방출 소자 응용의 한계(The obstacles of carbon nanotube based field emission device) = 14
    1. 3. 3. 탄소나노튜브의 복합체로의 응용(Nano composites) = 15
    1. 3. 4. 탄소나노튜브의 복합체로의 응용의 한계(The obstacles of carbon nanotube based reinforcement) = 16
  1. 4. 탄소나노튜브의 성장(Growth of carbon nanotubes) = 17
    1. 4. 1. 아크 방전법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성장(Arc discharge methods) = 17
    1. 4. 2. 열화학 기상 합성법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성장(Chemical vapor deposition) = 18
    1. 4. 3. 탄소나노튜브 길이 조절(The controlling of length of carbon nanotubes) = 20
  1. 5. 고강도 화이버소재용 탄소나노튜브 성장 기술 개발 과제의 개요(The aims of the project) = 21
    1. 5. 1. 센터미터급 탄소나노튜브 성장 기술 개발(Synthesizing method of centimeter-level-lengthened carbon nanotubes) = 21
    1. 5. 2. 삼극관 구조를 갖는 전계방출 소자 제작 기술 개발(Fabrication process of the triode type field emission devices.) = 22
2. 국내외 기술 개발 현황(Status of development in the carbon nanotubes) = 23
  2. 1. 국내외 고강도 화이버 소재용 탄소나노튜브 개발 기술 현황(Domestic status of development in the carbon nanotubes) = 23
  2. 2. 국외 탄소나노튜브 전계방출 소자제작 기술 개발 현황(Abroad status of development in the carbon nanotubes) = 24
3. 고강도 화이버 소재용 탄소나노튜브 합성 기술 개발(Carbon nanotube growth techniques for high strength fibers applications) = 26
  3. 1. 센티미터급 탄소나노튜브 성장 기술 개발(The synthesizing method of centimeter-level-lengthened carbon nanotubes) = 26
    3. 1. 1. 촉매 금속 제조 방법(Fabrication of catalytic metal) = 26
      3. 1. 1. (a) DC magnetron sputter를 이용한 촉매 금속의 증착(Deposition of catalytic metal by DC magnetron sputter) = 26
      3. 1. 1. (b) Fe-Mo 촉매의 제조(Fabrication of Fe-Mo catalysts) = 26
      3. 1. 1. (c) 자성 유체 촉매 금속의 제조(Fabrication of magnetic fluids) = 27
    3. 1. 2. 탄소나노튜브 성장 방법(The synthesizing methods of carbon nanotubes) = 29
      3. 1. 2. (a) 탄소나노튜브 성장 방법(Synthesizing of carbon nanotubes) = 29
      3. 1. 2. (b) 열화학 기상 합성법(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 30
      3. 1. 2. (c) 기상 합성법을 이용한 탄소 나노 튜브의 합성(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 31
    3. 1. 3. 탄소나노튜브의 성장 모드 규명(The growth mechanism of carbon nanotube) = 32
      3. 1. 3. (a) 탄소나노튜브 성장 중에 플라즈마의 영향(Plasma effects on the growth modes) = 33
      3. 1. 3. (b) 기판과 촉매 금속의 영향(Substrate effects on the growth modes) = 39
    3. 1. 4. 기판상에 센티미터급 탄소나노튜브의 합성(The growth of centimeter level lengthened carbon nanotubes on the substrate) = 45
      3. 1. 4. (a) 열화학 기상 증착법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합성(Chemical vapor deposition) = 45
      3. 1. 4. (b) 기상 합성 방법을 이용한 센티미터급 탄소나노튜브의 합성(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 47
      3. 1. 4. (c) 기상 합성법을 이용한 센티미터급 탄소나노튜브 합성(Vapor phase growth methods) = 51
  3. 2. 삼극관 구조를 갖는 탄소나노튜브 전계방출 소자의 제작(Fabrication methods of the triode type field emission) = 58
    3. 2. 1. 트렌치 구조에서의 삼극관 구조의 전계방출 소자 제작(Triode type field emission devices on the trench structure) = 58
    3. 2. 2. AAO 구조에서의 삼극관 구조의 전계방출 소자 제작(Triode type field emission devices on AAO structure) = 76
4.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The achievement and contribution of the project) = 92
  4. 1. 최종 연구 목표(The final object of the project) = 92
  4. 2. 연구 목표의 달성도(The achievement of the project) = 92
  4. 3. 탄소나노튜브분야의 연구 기여도(The contribution of the project) = 95
5. 연구 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The applications of the project) = 96
6. 참고 문헌(Reference) = 9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함남우 (2022)
장영범 (2022)
Sharma, Atul, (Professor of mechanical engineering)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