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교회사 전집 . 7 : 독일 종교개혁

교회사 전집 . 7 : 독일 종교개혁 (Loan 20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Schaff, Philip , 1819-1893 박종숙 , 역
Title Statement
교회사 전집 . 7 , 독일 종교개혁 / 필립 샤프 ; 박종숙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고양 :   크리스챤다이제스트 ,   2004.  
Physical Medium
639 p. ; 23 cm.
Varied Title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ISBN
8944704171 8944704104(전8권)
000 00685namccc200241 k 4500
001 000045232895
005 20100807014911
007 ta
008 060221s2004 ggk 000a kor
020 ▼a 8944704171 ▼g 94230(7)
020 1 ▼a 8944704104(전8권)
040 ▼a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270 ▼2 22
090 ▼a 270 ▼b 2004 ▼c 7
100 1 ▼a Schaff, Philip , ▼d 1819-1893
245 1 0 ▼a 교회사 전집 . ▼n 7 , ▼p 독일 종교개혁 / ▼d 필립 샤프 ; ▼e 박종숙 옮김.
246 1 9 ▼a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260 ▼a 고양 : ▼b 크리스챤다이제스트 , ▼c 2004.
300 ▼a 639 p. ; ▼c 23 cm.
700 1 ▼a 박종숙 , ▼e
945 ▼a KIN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270 2004 7 Accession No. 111354233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6-08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270 2004 7 Accession No. 111354234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6-19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270 2004 7 Accession No. 15124402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270 2004 7 Accession No. 111354233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6-08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270 2004 7 Accession No. 111354234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6-19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270 2004 7 Accession No. 15124402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필립 샤프(지은이)

성서신학자, 교회사가, 선구적인 세계교회일치운동가, 스위스에서 목수의 아들로 태어나 장학금으로 공부하였다. 독일 슈투트가르트 김나지움을 졸업한 뒤 튀빙겐 대학교에 들어가 바우어 밑에서 공부하였다. 훗날 할레대학교와 베를린대학교에 들어가 톨룩, 헹스텐베르크, 네안더와 함께 공부하였다. 그는 1844년에 미국 펜실베니아 주 머서즈버그에 있는 독일 개혁교회 신학교의 교회사 및 성서학 교수로 초빙을 받았다. 그는 취임 강의를 엮어 만든 [프로테스탄트 신앙의 원칙](1844)에서 기독교 교회사를 프로테스탄트 신앙과 로마 가톨릭 신앙이 연합하여 새로운 복음주의적 가톨릭 신앙으로 나아가는 신적인 발전 과정으로 보았다. 이 강의로 이단이라는 비판을 받았으나, 훗날 그러한 비판에서 풀려났다. 그 신학교에 있으면서 네빈과 함께 머서즈버그 신학을 형성하였다. 1870년부터 죽을 때까지 뉴욕 유니온신학교 교수를 지냈다. 1866년부터 복음주의 연맹에서 일하는 가운데 기독교의 일치를 위해 적극적인 활동을 펼쳤다. 1888년 미국교회사협회를 설립하였고, 이 협회의 초대 회장을 지냈다.

박종숙(옮긴이)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항고 독일 괴팅엔 대학에서 신학 수업을 받았다. 연세대학교 대학원 신학대학원을 졸업하였고 독일 괴팅엔 대학교, 뮌스터 대학교에서 연구하였다. 2005년 현재 연세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서울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교회사를 강의하고 있다. 옮긴책으로는 <칼빈>, <하나님의 사람 칼빈>, <종교개혁사상 입문>, <쯔빙글리>, <고대교회 교리사>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 5

제1장 기본적 주제들 = 15

 1. 근대사의 전환점 = 15

 2. 개신교와 로마주의 = 17

 3. 종교개혁의 필요성 = 21

 4. 종교개혁을 위한 준비 = 25

 5. 종교개혁의 정신과 목적 = 26

 6. 성경의 권위 = 27

 7. 믿음으로 의로워짐 = 31

 8. 평신도 사제직 = 34

 9. 종교개혁과 합리주의 = 35

 10. 개신교와 교파주의 = 47

 11. 개신교와 종교적 자유 = 54

 12. 잉글랜드와 아메리카에서의 종교적 관용과 자유 = 67

 13. 연대적 한계 = 77

 14. 종교개혁 전체 참고문헌 = 80

제2장 종교개혁을 위한 루터의 훈련(1483-1517) = 85

 15. 독일 종교개혁 관련 문헌 = 85

 16. 독일과 종교개혁 = 88

 17. 루터 관련 문헌 = 90

 18. 루터의 젊은 시절과 훈련 = 95

 19. 에르푸르트(Erfurt) 대학의 루터 = 99

 20. 루터의 회심 = 101

 21. 수도사 루터 = 102

 22. 루터와 슈타우피츠 = 106

 23. 의롭게 하는 믿음의 승리 = 109

 24. 사제로 서품받은 루터 = 111

 25. 로마에서의 루터 = 112

 26. 비텐베르크 대학 = 117

 27. 1517년까지의 교수 루터 = 118

 28. 루터와 신비주의. 독일 신학 = 124

 29. 통회 시편. 종교개혁 전야 = 125

제3장 독일의 종교개혁 : 루터의 95개 조항에서 보름스 의회까지(1517-1521) = 128

 30. 면죄부 판매 = 128

 31. 루터와 테첼 = 130

 32. 95개조 논제. 1517년 10월 31일 = 134

 33. 95개조 논제 논쟁 : 1518 = 146

 34. 로마의 중재 : 루터와 프리에리아스(1518) = 149

 35. 루터와 카예타누스 : 1518년 10월 = 150

 36. 루터와 밀티츠 : 1519년 1월 = 152

 37. 라이프치히 논쟁 : 1519년 6월 27일 - 7월 15일 = 154

 38. 필립 멜란히톤. 문헌 = 158

 39. 멜란히톤의 교육 = 161

 40. 멜란히톤의 초기 사역 = 163

 41. 루터와 멜란히톤 = 165

 42. 후텐과 루터 = 169

 43. 교황권에 도전하는 루터의 십자군(1520) = 174

 44. 독일 그리스도인 귀족에게 고함 = 176

 45. 교회의 바빌론 유수(1520년 10월) = 181

 46. 그리스도인의 자유 - 교황에게 보내는 루터의 마지막 편지(1520년 10월) = 187

 47. 파문 교서(1520년 6월 15일) = 193

 48. 교황의 교서를 태워버린 루터는 로마와 완전히 갈라서다(1520년 12월 10일) = 199

 49. 종교개혁과 교황권 = 203

 50. 카를 5세 = 209

 51. 카를 5세의 교회 정책 = 216

 52. 카를의 황제직 양위와 수도원의 삶 = 219

 53. 보름스 의회(1521) = 226

 54. 루터가 보름스로 향하다 = 232

 55. 보름스 의회에서 증언하는 루터(1521년 4월 17일, 18일) = 236

 56. 보름스에서 루터의 증언의 의미 = 242

 57. 루터와의 개인적 회담. 황제의 행동 = 244

 58. 제국의 포고령. 1521년 5월 8일(26일) = 246

 59. 일반 대중의 의견. 널리 읽혔던 문헌들 = 249

제4장 독일의 종교개혁 : 보름스 의회부터 농민전쟁까지(1521-1525) = 255

 60. 종교개혁사의 새로운 국면 = 255

 61. 바르트부르크에서의 루터(1521-l522) = 256

 62. 루터의 성경 번역 = 265

 63. 루터의 번역 성경에 대한 비평적 평가 = 276

 64. 멜란히톤의 신학 = 288

 65. 개신교 급진주의. 에르푸르트에서 발생한 소요 사태 = 294

 66. 비텐베르크에서 일어난 혁명. 칼슈타트와 신흥 예언자들 = 296

 67. 비텐베르크로 돌아온 루터 = 300

 68. 루터가 비텐베르크의 질서를 회복하다. 칼슈타트의 종말 = 305

 69. 뉘른베르크 제국의회(1522-1524). 교황 하드리아누스 6세 = 309

 70. 루터와 헨리 8세 = 312

 71. 에라스무스 = 315

 72. 에라스무스와 종교개혁 = 335

 73. 자유의지 논쟁(1524-1527) = 342

 74. 빌리발트 피르크하이머 = 348

 75. 농민전쟁(1523-1525) = 352

제5장 종교개혁의 내적 발전 : 농민전쟁부터 아우크스부르크 제국의회까지(1525-1530) = 360

 76. 세 명의 선제후들 = 360

 77. 루터의 결혼(1525) = 364

 78. 루터의 가정 생활 = 370

 79. 성직자들의 가정 생활에 관한 고찰 = 382

 80. 공예배 개혁 = 392

 81. 복음적 예배의 중요한 특징들 = 397

 82. 복음적 찬송의 시작 = 400

 83. 공립학교들 = 417

 84. 교회 정치와 권징의 재건 = 421

 85. 확대된 교회관. 아우구스티누스ㆍ위클리프ㆍ후스ㆍ루터 = 424

 86. 사역에 관한 견해의 변화. 주교권 계승의 단절. 루터가 부제를 임명하고 주교를 축성하다 = 439

 97. 교회와 국가의 관계 = 444

 98. 작센 선제후령 교회 시찰 = 448

 99. 루터의 요리문답(1529) = 451

 90. 개신교의 대표적인 요리문답들 = 455

제6장 독일 개신교의 전파와 박해(1530년까지) = 460

 91. 진보의 원인과 수단 = 460

 92. 인쇄술과 종교개혁 = 461

 93. 작센의 개신교 = 467

 94. 뉘른베르크의 종교개혁 = 469

 95. 슈트라스부르크의 종교개혁. 마르틴 부처 = 471

 96. 독일 북부의 종교개혁 = 473

 97. 아우크스부르크와 독일 남부의 개신교 = 476

 98. 헤세의 종교개혁과 홈베르크 교회 회의. 헤세의 필립과 아비뇽의 랑베르 = 477

 99. 프로이센의 종교개혁. 공작 알브레히트와 주교 게오르크 폰 폴렌츠 = 485

 100. 개신교 순교자들 = 497

제7장 성찬 논쟁 = 500

 101. 사제중심주의와 성사중심주의 = 500

 102. 재세례파 논쟁. 루터와 후프마이어 = 503

 103. 성찬 논쟁 = 508

 104. 논쟁 전 루터의 이론 = 511

 105. 루터와 칼슈타트 = 512

 106. 루터와 츠빙글리 = 515

 107. 마르부르크 회담(1529) = 522

 108. 마르부르크 회담의 내용. 논의와 결과 = 529

 109. 성찬상징론자들에 대한 루터의 마지막 공격. 루터와 칼빈의 관계 = 546

 110. 성찬 논쟁의 운리성에 관한 반성 = 552

 111. 성찬 이론들의 비교. 루터와 츠빙글리, 칼빈 = 559

제8장 1526-1529년의 정치 상황 = 573

 112. 제1차 슈파이어 제국의회, 그리고 교회지방주의 제도의 시작(1526년) = 573

 113. 황제와 교황. 로마 약탈(1527) = 576

 114. 전쟁의 공포(1528) = 578

 115. 제2차 슈파이어 제국의회와 1529년의 항의 = 579

 116. 황제와 교황의 재화해. 황제의 대관식(1529) = 581

제9장 아우크스부르크 제국의회와 신앙고백(1530) = 583

 117. 아우크스부르크 제국의회 = 583

 118. 협상, 휴회, 뉘른베르크 평화조약 = 587

 119.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 592

 120. 로마의 논박과 개신교의 변증 = 611

 121. 네 도시 신앙고백 = 614

 122. 츠빙글리가 황제 카를에게 보낸 신앙고백서 = 616

 123. 코부르크에서의 루터 = 618

 124. 루터의 공적 인격과 역사적 지위 = 625

 125. 내 주는 강한 성이요 = 63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