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5
제1장 기본적 주제들 = 15
1. 근대사의 전환점 = 15
2. 개신교와 로마주의 = 17
3. 종교개혁의 필요성 = 21
4. 종교개혁을 위한 준비 = 25
5. 종교개혁의 정신과 목적 = 26
6. 성경의 권위 = 27
7. 믿음으로 의로워짐 = 31
8. 평신도 사제직 = 34
9. 종교개혁과 합리주의 = 35
10. 개신교와 교파주의 = 47
11. 개신교와 종교적 자유 = 54
12. 잉글랜드와 아메리카에서의 종교적 관용과 자유 = 67
13. 연대적 한계 = 77
14. 종교개혁 전체 참고문헌 = 80
제2장 종교개혁을 위한 루터의 훈련(1483-1517) = 85
15. 독일 종교개혁 관련 문헌 = 85
16. 독일과 종교개혁 = 88
17. 루터 관련 문헌 = 90
18. 루터의 젊은 시절과 훈련 = 95
19. 에르푸르트(Erfurt) 대학의 루터 = 99
20. 루터의 회심 = 101
21. 수도사 루터 = 102
22. 루터와 슈타우피츠 = 106
23. 의롭게 하는 믿음의 승리 = 109
24. 사제로 서품받은 루터 = 111
25. 로마에서의 루터 = 112
26. 비텐베르크 대학 = 117
27. 1517년까지의 교수 루터 = 118
28. 루터와 신비주의. 독일 신학 = 124
29. 통회 시편. 종교개혁 전야 = 125
제3장 독일의 종교개혁 : 루터의 95개 조항에서 보름스 의회까지(1517-1521) = 128
30. 면죄부 판매 = 128
31. 루터와 테첼 = 130
32. 95개조 논제. 1517년 10월 31일 = 134
33. 95개조 논제 논쟁 : 1518 = 146
34. 로마의 중재 : 루터와 프리에리아스(1518) = 149
35. 루터와 카예타누스 : 1518년 10월 = 150
36. 루터와 밀티츠 : 1519년 1월 = 152
37. 라이프치히 논쟁 : 1519년 6월 27일 - 7월 15일 = 154
38. 필립 멜란히톤. 문헌 = 158
39. 멜란히톤의 교육 = 161
40. 멜란히톤의 초기 사역 = 163
41. 루터와 멜란히톤 = 165
42. 후텐과 루터 = 169
43. 교황권에 도전하는 루터의 십자군(1520) = 174
44. 독일 그리스도인 귀족에게 고함 = 176
45. 교회의 바빌론 유수(1520년 10월) = 181
46. 그리스도인의 자유 - 교황에게 보내는 루터의 마지막 편지(1520년 10월) = 187
47. 파문 교서(1520년 6월 15일) = 193
48. 교황의 교서를 태워버린 루터는 로마와 완전히 갈라서다(1520년 12월 10일) = 199
49. 종교개혁과 교황권 = 203
50. 카를 5세 = 209
51. 카를 5세의 교회 정책 = 216
52. 카를의 황제직 양위와 수도원의 삶 = 219
53. 보름스 의회(1521) = 226
54. 루터가 보름스로 향하다 = 232
55. 보름스 의회에서 증언하는 루터(1521년 4월 17일, 18일) = 236
56. 보름스에서 루터의 증언의 의미 = 242
57. 루터와의 개인적 회담. 황제의 행동 = 244
58. 제국의 포고령. 1521년 5월 8일(26일) = 246
59. 일반 대중의 의견. 널리 읽혔던 문헌들 = 249
제4장 독일의 종교개혁 : 보름스 의회부터 농민전쟁까지(1521-1525) = 255
60. 종교개혁사의 새로운 국면 = 255
61. 바르트부르크에서의 루터(1521-l522) = 256
62. 루터의 성경 번역 = 265
63. 루터의 번역 성경에 대한 비평적 평가 = 276
64. 멜란히톤의 신학 = 288
65. 개신교 급진주의. 에르푸르트에서 발생한 소요 사태 = 294
66. 비텐베르크에서 일어난 혁명. 칼슈타트와 신흥 예언자들 = 296
67. 비텐베르크로 돌아온 루터 = 300
68. 루터가 비텐베르크의 질서를 회복하다. 칼슈타트의 종말 = 305
69. 뉘른베르크 제국의회(1522-1524). 교황 하드리아누스 6세 = 309
70. 루터와 헨리 8세 = 312
71. 에라스무스 = 315
72. 에라스무스와 종교개혁 = 335
73. 자유의지 논쟁(1524-1527) = 342
74. 빌리발트 피르크하이머 = 348
75. 농민전쟁(1523-1525) = 352
제5장 종교개혁의 내적 발전 : 농민전쟁부터 아우크스부르크 제국의회까지(1525-1530) = 360
76. 세 명의 선제후들 = 360
77. 루터의 결혼(1525) = 364
78. 루터의 가정 생활 = 370
79. 성직자들의 가정 생활에 관한 고찰 = 382
80. 공예배 개혁 = 392
81. 복음적 예배의 중요한 특징들 = 397
82. 복음적 찬송의 시작 = 400
83. 공립학교들 = 417
84. 교회 정치와 권징의 재건 = 421
85. 확대된 교회관. 아우구스티누스ㆍ위클리프ㆍ후스ㆍ루터 = 424
86. 사역에 관한 견해의 변화. 주교권 계승의 단절. 루터가 부제를 임명하고 주교를 축성하다 = 439
97. 교회와 국가의 관계 = 444
98. 작센 선제후령 교회 시찰 = 448
99. 루터의 요리문답(1529) = 451
90. 개신교의 대표적인 요리문답들 = 455
제6장 독일 개신교의 전파와 박해(1530년까지) = 460
91. 진보의 원인과 수단 = 460
92. 인쇄술과 종교개혁 = 461
93. 작센의 개신교 = 467
94. 뉘른베르크의 종교개혁 = 469
95. 슈트라스부르크의 종교개혁. 마르틴 부처 = 471
96. 독일 북부의 종교개혁 = 473
97. 아우크스부르크와 독일 남부의 개신교 = 476
98. 헤세의 종교개혁과 홈베르크 교회 회의. 헤세의 필립과 아비뇽의 랑베르 = 477
99. 프로이센의 종교개혁. 공작 알브레히트와 주교 게오르크 폰 폴렌츠 = 485
100. 개신교 순교자들 = 497
제7장 성찬 논쟁 = 500
101. 사제중심주의와 성사중심주의 = 500
102. 재세례파 논쟁. 루터와 후프마이어 = 503
103. 성찬 논쟁 = 508
104. 논쟁 전 루터의 이론 = 511
105. 루터와 칼슈타트 = 512
106. 루터와 츠빙글리 = 515
107. 마르부르크 회담(1529) = 522
108. 마르부르크 회담의 내용. 논의와 결과 = 529
109. 성찬상징론자들에 대한 루터의 마지막 공격. 루터와 칼빈의 관계 = 546
110. 성찬 논쟁의 운리성에 관한 반성 = 552
111. 성찬 이론들의 비교. 루터와 츠빙글리, 칼빈 = 559
제8장 1526-1529년의 정치 상황 = 573
112. 제1차 슈파이어 제국의회, 그리고 교회지방주의 제도의 시작(1526년) = 573
113. 황제와 교황. 로마 약탈(1527) = 576
114. 전쟁의 공포(1528) = 578
115. 제2차 슈파이어 제국의회와 1529년의 항의 = 579
116. 황제와 교황의 재화해. 황제의 대관식(1529) = 581
제9장 아우크스부르크 제국의회와 신앙고백(1530) = 583
117. 아우크스부르크 제국의회 = 583
118. 협상, 휴회, 뉘른베르크 평화조약 = 587
119.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 592
120. 로마의 논박과 개신교의 변증 = 611
121. 네 도시 신앙고백 = 614
122. 츠빙글리가 황제 카를에게 보낸 신앙고백서 = 616
123. 코부르크에서의 루터 = 618
124. 루터의 공적 인격과 역사적 지위 = 625
125. 내 주는 강한 성이요 = 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