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감사의 글 = 7
역자 서문 = 11
1. 도입 = 19
1.1 구문의 개념 = 19
1.2 구문 문법에 대한 개략적 도입 = 27
1.3 대안적 설명 : 어휘 의미 규칙 = 29
1.4 구문론적 설명의 이점 = 32
1.5 어휘 규칙을 지지하는 전통적 동기화들 = 50
2. 동사와 구문의 상호 작용 = 55
2.1 틀 의미론 = 57
2.2 동사 의미의 속성 = 60
2.3 구문 의미의 속성 = 67
2 4 동사와 구문의 융합(integration) = 86
2.5 동사와 구문의 가능한 관계들 = 112
2.6 결론 = 122
3. 구문 사이의 관계들 = 125
3.1 논의와 관련된 언어 조직의 심리학적 원리들 = 125
3.2 동기화 = 128
3.3 상속을 통한 동기화 나타내기 = 134
3.4 특정 구문들의 관련성 = 147
3.5 다중 상속 = 168
3.6 구문 내 상속 = 170
3.7 결론 = 172
4. 연결에 대하여 = 175
4.1 논항 구조에 대한 변헝 문법적 접근 = 175
4.2 구문 사이의 일반화 = 187
4.3 결론 = 202
5. 부분적 생산성(Partial Productivity) = 203
5.1 도입 = 203
5.2 간접 부정 증거(Indirect Negative Evidence) = 207
5.3 동사 부류 구분하기(Circumscribing Verb Classes) = 212
5.4 예외들 = 218
5.5 예외 설명하기 : 용법 중심의 설명 = 222
5.6 결론 = 230
6. 영어의 이중 타동 구문(Ditransitive Construction) = 233
6.1 도입 = 233
6.2 구문의 존재 = 234
6.3 의미론 = 235
6.4 결론 = 249
7. 영어의 사역 이동 구문(Caused motion Construction) = 251
7.1 도입 = 251
7.2 구문의 존재 = 252
7.3 여러 가지 해석 = 263
7.4 의미 제약 = 269
7.5 The Load/Spray 교체 = 285
7.6 결론 = 291
8. 영어의 결과 구문(Resultative Construction) = 293
8.1 도입 = 293
8.2 동사 뒤에 나타나는 명사구의 위상 = 296
8.3 중간 구문화 = 299
8.4 다른 설명들 = 302
8.5 결과 구문의 존재 = 306
8.6 결과 구문에 나타나는 제약 = 312
8.7 결론 = 320
9. Way 구문 = 323
9.1 도입 = 323
9.2 구문의 존재 = 324
9.3 Way 구문의 의미 = 328
9.4 의미적 제약 = 342
9.5 어휘적 복합 술어 방법 = 346
9.6 결과 구문과의 관계 = 348
9.7 결론 = 351
10. 결론 = 353
10.1 다른 구문적 해결책 = 353
10.2 요약 = 360
각주 = 365
참고문헌 = 387
찾아보기 = 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