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교사 전문성 :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

교사 전문성 :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 (Loan 97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오욱환
Title Statement
교사 전문성 :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 / 오욱환.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교육과학사 ,   2005.  
Physical Medium
204 p. ; 23 cm.
ISBN
898287934X
General Note
부록: 가르침을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교사의 일상적 행동과 사고, 성공적인 수업을 위한 제언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175-190), 색인수록
000 00700camccc200229 k 4500
001 000045230551
005 20100807011758
007 ta
008 051227s2005 ulk b 001c kor
020 ▼a 898287934X ▼g 93370
035 ▼a (KERIS)BIB000010248398
040 ▼a 211062 ▼d 211009
082 0 4 ▼a 371.12 ▼2 22
090 ▼a 371.12 ▼b 2005b
100 1 ▼a 오욱환 ▼0 AUTH(211009)113737
245 1 0 ▼a 교사 전문성 : ▼b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 / ▼d 오욱환.
260 ▼a 서울 : ▼b 교육과학사 , ▼c 2005.
300 ▼a 204 p. ; ▼c 23 cm.
500 ▼a 부록: 가르침을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교사의 일상적 행동과 사고, 성공적인 수업을 위한 제언
504 ▼a 참고문헌(p. 175-190), 색인수록
945 ▼a KIN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12 2005b Accession No. 11135253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12 2005b Accession No. 11135253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12 2005b Accession No. 14105374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12 2005b Accession No. 14105374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71.12 2005b Accession No. 12112449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6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71.12 2005b Accession No. 12112449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7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71.12 2005b Accession No. 15121949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8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71.12 2005b Accession No. 15121949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12 2005b Accession No. 11135253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12 2005b Accession No. 11135253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12 2005b Accession No. 14105374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12 2005b Accession No. 14105374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71.12 2005b Accession No. 12112449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71.12 2005b Accession No. 12112449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71.12 2005b Accession No. 15121949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71.12 2005b Accession No. 15121949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분필은 전통적인 교실수업의 필수품이며 상징이다. 교사들은 분필가루의 독성을 해독한다는 이유를 대면서 퇴근 후의 한잔 모임을 정다화하였다. 이 모임을 통해서 교사들은 쉽게 만날 수 있었고 서로 배웠으며 격려하고 비판하였다.

학생들에게 분필은 선생님을 상징하였다. 분필통에서 새 분필을 꺼내 칠판에 글을 쓰는 특권은 아무나 가질 수 없었다.

분필은 항상 휜색이었다. 그런데 어느때부터인가 빨강, 노랑, 파랑 분필이 등장하였다. 실로 놀라운 사건으로서 칠판에 천연색이 등장하였다. 이제는 화이트보드에 마커가 사용되는 있다.

컴퓨터를 이용한 프리젠테이션 소프트웨어가 등장하면서 스크린이 칠판을 가리고 있다. 무독성 분필이 공급되면서, 분필유해론에 힘입은 교사모임도 명분을 잃게 되었다.

그리고 포인터로 스크린의 화면을 가리키게 되면서, 교사들은 학생들과 마주 보지 않게 되었다.
분필과 같은 권위를 유지하고 있는 교사로부터 그 권위마저 박탈하려는 비교육적 움직임이 교육의 효율성 제고라는 구호 아래 시대적 흐름처럼 일어나고 있다. 이 움직임은 너무나 도도하여 '권위를 잃은 교사는 효율적인 수업을 할 수 없다'는 엄연한 사실을 전해 개의치 않는다.

그리서 나는 교사 스스로 자신의 권위를 지키기 위한 방법으로 전문가교사가 되기를 권유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오욱환(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 오욱환은 1971년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1976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행정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79년 가을학기부터 1983년 여름까지 미국 일리노이대학교(University of Illinois: UIUC)에서 교육사회학을 전공하고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84년 3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그는 교육학을 종합학문과 실천학문으로 규정하고 교육학의 통합을 주장하고 있다. 그는 2004년도에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강의우수교수로 선정되었으며, 2004년에 한국교육학회 ‘학술상’을 그리고 2010년에는 이화여자대학교 ‘이화학술상’을 수상하였다. 그의 주요 저서는 아래와 같으며 홈페이지에는 출판된 도서, 논문, 칼럼 그리고 수업계획안이 소개되어 있다. 2021년 『교육 불평등: 학교교육에 의한 불평등의 재생산』. 서울: 교육과학사. 2019년 『대학 교육 필수화와 보편화의 함정』. 서울: 학지사. 2017년 『유아교육과 보육, 불평등의 묘판: 교육과 생애기회 불평등의 근원을 찾아서』. 파주: 교육과학사. 2014년 『한국 교육의 전환: 드라마에서 딜레마로』. 파주: 교육과학사. 2013년 『사회자본의 교육적 해석과 활용: 콜먼으로부터 그리고 그를 넘어서』. 파주: 교육과학사. 2010년 『베버 패러다임 교육사회학의 구상』.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년 『조기유학, 유토피아를 향한 출국』. 서울: 교육과학사. 2005년 『교사전문성: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 서울: 교육과학사. 2003년 『교육사회학의 이해와 탐구』. 서울: 교육과학사. 2000년 『한국사회의 교육열: 기원과 심화』. 서울: 교육과학사. 1993년 『미군 점령시대의 한국교육: 사실과 해석』. 서울: 지식산업사. (2인 공저)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생각하는 교육 = 3
감사문 = 11
Ⅰ. 교육에서 효율성과 전문성 = 15
Ⅱ. 학교교육의 현실: 상식과 사실 = 31
 1. 학교와 교실의 현실 = 33
 2. 교직 효율성과 교사 전문성 = 42
Ⅲ. 교사의 탈전문화와 지위 하락 = 51
 1. 교수학습 과정: 사실, 이해, 해석 = 52
 2. 교사의 지위 하락과 역할 약화 = 57
Ⅳ. 교사의 전문성: 현실 파악과 재개념화 = 63
 1. 교사 전문성: 현실적 맥락에서 재개념화 = 64
 2. 교사 전문성과 교육효과 = 69
 3. 교수와 학습의 현실 = 78
 4. 국제비교 연구의 시사: '일본교육'에 대한 논저 = 88
  (1) 일본의 교육적 도전 = 89
  (2) 학습 격차 = 92
  (3) 교수 격차 = 99
Ⅴ. 직업으로서 교직, 전문가로서 교사 = 109
 1. 교직 전문화의 의미 = 114
 2. '전문가교사'를 위한 제언 = 121
  (1) 교육주체 의식 = 122
  (2) 환경통제감 = 126
  (3) 목적지향성 = 128
  (4) 자기개발 = 129
  (5) 실험정신 = 133
  (6) 공동체 구성 = 135
  (7) 반성적 실천 = 138
  (8) 평가의 수용 = 140
  (9) 교육가능성에 대한 확신 = 141
  (10) 인내와 감정 조절 = 143
  (11) 삶의 과정으로서 학교교육 = 146
  (12) 수업과 학생지도의 우선 = 149
  (13) 개별성의 중시 = 151
  (14) 심리와 감성의 고려 = 155
  (15) 상호교섭의 중시 = 157
  (16) 전략의 구사 = 160
 3. 교육전문가로서 교사 = 163
참고문헌 = 175
[부록 1] 가르침을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교사의 일상적 행동과 사고 = 191
[부록 2] 성공적인 수업을 위한 제언 = 195
찾아보기 = 199
저자에 대하여 = 205
표지설명 = 206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
김영한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