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KERI 2005)한국경제 분기 거시모형

(KERI 2005)한국경제 분기 거시모형 (Loan 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허찬국 김창배 이연호
Title Statement
(KERI 2005)한국경제 분기 거시모형 / 허찬국, 김창배, 이연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경제연구원 ,   2005.  
Physical Medium
94 p. : 삽도 ; 22 cm.
Series Statement
연구 ; 05-19
ISBN
8980313535
General Note
부록수록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89-92
000 00719namccc200265 k 4500
001 000045230156
005 20100807011422
007 ta
008 060210s2005 ulka 000a kor
020 ▼a 8980313535 ▼g 9332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5 ▼a 339.0953 ▼2 DDCK
090 ▼a 339.0953 ▼b 2005
100 1 ▼a 허찬국
245 2 0 ▼a (KERI 2005)한국경제 분기 거시모형 / ▼d 허찬국, ▼e 김창배, ▼e 이연호.
260 ▼a 서울 : ▼b 한국경제연구원 , ▼c 2005.
300 ▼a 94 p. : ▼b 삽도 ; ▼c 22 cm.
490 1 0 ▼a 연구 ; ▼v 05-19
500 ▼a 부록수록
504 ▼a 참고문헌: p. 89-92
700 1 ▼a 김창배
700 1 ▼a 이연호
830 0 ▼a 연구(한국경제연구원) ; ▼v 05-19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9.0953 2005 Accession No. 11134948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KERI 2005 모형은 1990년대, 특히 1997년의 외환위기 발생 이후에 나타난 우리 경제의 대내외 여건변화와 경제주체들의 행태변화를 향후 분기별 경제예측과 정책효과의 분석에 반영하기 위하여 개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첫째, 소득세, 법인세, 투자세액공제 등의 조세정책이 민간소비와 투자 등을 통하여 실물경제와 금융부문으로 파급되는 경로와 그 효과를 추정할 수 있게 하였다. 둘째, 정부지출을 경상지출과 자본지출로 구분하여 민간부문에 미치는 영향을 차별화하여 추정할 수 있게 하였다.

셋째, 콜금리가 시장금리를 통해 실물과 금융 부문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추정할 수 있게 하였다. 넷째, 대외부문에서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우리나라 경제에 점점 더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중국경제 변수를 포함시킴으로써 중국 성장률 혹은 위안화 환율 변동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할 수 있게 하였다.

KERI 2005 모형은 1990년대, 특히 1997년의 외환위기 발생 이후에 나타난 우리 경제의 대내외 여건변화와 경제주체들의 행태변화를 향후 분기별 경제예측과 정책효과의 분석에 반영하기 위하여 개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첫째, 소득세, 법인세, 투자세액공제 등의 조세정책이 민간소비와 투자 등을 통하여 실물경제와 금융부문으로 파급되는 경로와 그 효과를 추정할 수 있게 하였다. 둘째, 정부지출을 경상지출과 자본지출로 구분하여 민간부문에 미치는 영향을 차별화하여 추정할 수 있게 하였다. 셋째, 콜금리가 시장금리를 통해 실물과 금융 부문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추정할 수 있게 하였다. 넷째, 대외부문에서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우리나라 경제에 점점 더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중국경제 변수를 포함시킴으로써 중국 성장률 혹은 위안화 환율 변동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할 수 있게 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이연호(지은이)

서울대학교 무역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경제학 석사 오하이오주립대학교 경제학 박사 현재 충북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김창배(지은이)

<외환위기 전후의 한국기업의 부채구조와 결정요인>

허찬국(지은이)

제주대학교 경영학학사 캘리포니아대학교(산타바바라) 경제학석/박사 미국 샌프란시스코 연방지급준비은행 이코노미스트 한국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전 충남대학교 무역학과 교수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Ⅰ장 서론 = 11
제Ⅱ장 모형의 특징 = 19
제Ⅲ장 개별방정식과 모형의 구조 = 25
 1. 최종수요 부문 = 27
  (1) 최종소비지출 = 28
  (2) 총자본형성 = 30
  (3) 재화와 서비스 수출입 = 33
 2. 노동 및 공급 부문 = 35
  (1) 노동 = 36
  (2) 잠재 GDP = 37
 3. 물가 및 임금 부문 = 38
  (1) 물가지수와 GDP 디플레이터 = 38
  (2) 수출입단가 = 41
  (3) 임금 = 42
 4. 재정부문 = 42
  (1) 세입 = 43
  (2) 세출 = 45
 5. 통화 및 금융 부문 = 46
 6. 대외거래 부문 = 48
  (1) 상품수출 = 50
  (2) 상품수입 = 51
  (3) 서비스수출 = 52
  (4) 서비스수입 = 53
  (5) 자본수지 = 53
  (6) 리보금리 = 54
  (7) 원/달러 환율 = 55
제Ⅳ장 시뮬레이션 = 57
 1. 역사적 시물레이션 = 59
 2. 정책 시뮬레이션 = 61
  (1) 법인세율 1%p 인하 = 63
  (2) 경상지출 1조원 증가 = 64
  (3) 자본지출 1조원 증가 = 65
  (4) 콜금리 0.25%p 인하 = 67
  (5) 위안화 10% 절상 = 68
  (6) 엔화 5% 절상 = 69
  (7) 미국금리 0.25%p 인상 = 70
  (8) 유가 1% 상승 = 72
제Ⅴ장 결론 = 75
〈부록〉 = 79
참고문헌 = 89
영문초록 = 9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