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ume. vol.1]----------
목차
1부 민족문학론
민족문학 수립의 이념 / 염상섭 = 16
문학 아닌 문예평론 / 조연현 = 20
한국의 현대문학 / 염상섭 = 22
한민족 문화적 책임 / 김기석 = 29
고전문학과 현대문학 / 조윤제 = 39
민족문화와 그 이상 / 김기석 = 43
민족문학의 이상과 현실 / 김동리 = 49
휴맨이즘의 본질과 과제 / 김동리 = 54
현대문학과 민족의식 / 최일수 = 60
민족문학의 올바른 이해를 위하여 / 홍효민 = 69
전통과 문학 / 한교석 = 73
현대 한국문학의 방향 / 곽종원 = 78
1955년의 회고와 신년에의 희망 / 윤고종 = 83
대담 : 1955년의 한국문단 = 87
전통의식과 창작 / 한교석 = 107
현대문학과 전통의 문제 / 백철 = 111
동양의 하늘 / 이어령 = 114
민족문학소론 / 김종후 = 117
시조부흥론 비판 / 정병욱 = 122
현대와 고전적 정신 / 정태용 = 131
전통의 정체 / 이봉래 = 136
한국문학의 세계성 / 조용만 = 143
민족문학론 / 정태용 = 150
유산의 계승과 창작의 방향 / 전광용 = 156
고전과 현대문학의 제과제 / 정병욱 = 166
우리문학의 현대적 방향 / 최일수 = 172
현대문학의 근본 특질 / 최일수 = 191
고전부활과 현대문학 / 백철 = 205
민족문학의 대표적 ?플 / 곽종원 = 213
시인의 역설 / 고석규 = 215
문학전통과 소설전통 / 홍효민 = 273
민족적 특성과 인류적 보편성 / 조연현 = 280
민족문학 확립의 과제 / 김양수 = 290
문학의 세계성과 민족성 / 최일수 = 303
한국현대문학의 지향점 / 김양수 = 330
민족문학의 기본 자태 / 박종화 = 341
민족문학과 세계문학 / 조연현 = 347
주어 없는 비극 / 이어령 = 350
생명 제일주의의 문학 / 김양수 = 354
현대문학의 전통론 / 조윤제 = 362
대중소설과 본격소설 / 김동리 = 367
순수문학론 / 김상일 = 373
전통 : 그 정의를 위하여 / 김용권 = 385
문학과 비문학 / 권중휘 = 394
우리 문학의 전통과 인습 / 정병욱 = 400
대담 : 언어의 어제와 오늘 / 서정주 ; 이철범 = 409
고전의 전통과 현대 / 김상일 = 413
전통과 현실 / 문덕수 = 428
전통과 자아 / 문덕수 = 434
민족문학과 세계성 / 백철 = 441
신라정신과 한국 전통론 비판 / 이철범 = 444
2부 신세대론
신인군과 신세대 / 백철 = 456
신인간형의 형성에 대한 구상 / 곽종원 = 462
신인과 신세대 / 조연현 = 466
자라나는 신인군 / 조연현 = 474
평론가 한담회 / 조연현 外 = 481
하늘과 인간의 위치 / 김성욱 = 488
신인의 위치 / 이형기 = 493
나는 거부하고 반항할 것이다 / 천상병 = 498
신인등장에 대한 문단적 분석 / 조영암 = 502
정실과 비평 / 윤고종 = 507
상반기 작단 총평 / 곽종원 = 510
신인에의 기대 / 홍효민 = 513
신세대적인 것과 문학 / 백철 = 516
휴매니즘의 발족 / 손우성 = 520
문예시감 / 김기진 = 524
신진의 대거진출과 기성의 노쇠 / 최인욱 = 527
현대소설과 내면분석 / 최일수 = 530
신인작가들과 현대의식 / 백철 = 535
전형기의 문학 / 백철 = 547
작가정신을 통해본 현실인식 / 곽종원 = 559
순수와 편협 / 손우성 = 563
차원의 이질성과 지양 / 이영일 = 566
풍양성작의 을미문단 / 김동리 = 572
젊은 세대에의 제언 / 손우성 = 574
우리 나라의 비평문학 / 조연현 = 581
비평의 기능 / 이봉래 = 590
우리 문학에 있어서 신인의 위치 / 최일수 = 595
비평의 신세대 / 조연현 = 600
근대적인 것의 한국적 구조 / 홍사중 = 604
세대논쟁 / 양기석 = 611
신세대론 / 이봉래 = 614
변명과 항거와 신세대의 문학 / 홍사중 = 623
우상의 파괴 / 이어령 = 626
신세대를 말하는 신진작가 좌담회 = 633
감상적 발언 / 장용학 = 641
신세대론의 부언 / 김양수 = 648
신세대는 왔는가 / 정태용 = 657
신인작가 좌담회를 깐다 / 천상병 = 662
신세대론 / 전대웅 옮김 = 669
화전민 지대-신세대문학을 위한 각서 / 이어령 = 675
풍양궤도의 상반기 작단 / 김동리 = 679
신세대 문학론 / 백철 = 685
진통하는 문화계의 생태 / 박정봉 = 693
본격소설의 개화기 / 김동리 = 696
시단상황과 시의 지적동향 / 김광섭 = 702
새로운 세대의 문학정신 / 김양수 = 707
문단현실과 신인문제 / 김동리 = 714
비평의 반성 / 유종호 = 717
신인의 배출과 문학적 상황 / 최일수 = 732
한국소설의 현재와 장래 / 이어령 = 738
진통모색의 8년 / 이무영 = 748
새세대의 작가와 작품 / 장백일 = 752
소위 「세대의 차이」 문제 / 정병욱 = 754
구세대 문인과 성장하는 신인의 대결 / 이어령 = 756
세대론 / 이무영 = 758
신세대 시단의 동향 / 안도섭 = 765
문학상의 세대의식 / 최일수 = 769
세대의 대결 : 반항과 공동의 의식 / 백철 = 778
신세대의 작품경향 / 백철 = 782
1958년 소설총괄 / 정태용 = 784
세대와 작가의 관념 / 정봉래 = 791
신예작가들은 이렇게 말한다(좌담회) = 798
민족문학ㆍ현대문학의 개념ㆍ세대론 / 이헌구 = 802
영ㆍ미 젊은 세대와 한국의 젊은 세대 / 백철 = 805
패배한 신인들 / 이어령 = 811
인간조건론 : 신세대의 작가정신 / 신동한 = 815
잠자는 거인 : 뉴 제너레이숀의 위치 / 이어령 = 822
한국 신세대의 노한 작품 세계 / 백철 = 830
3부 모더니즘 문학론
현대시의 새로운 기능 / 이봉래 = 838
현대시의 불행한 단면 / 박인환 = 844
시단분포도 / 구상 = 850
현대시의 경위 / 김차영 = 852
현대시 발상의 경위 / 이봉래 = 855
시의 비평에 대하여 / 전봉건 = 861
서정의 변형 / 이봉래 = 865
현대시의 신경향 / 김경린 = 867
현대시의 원근 / 김경린 = 870
현대시와 언어개혁 / 최일수 = 872
현대시와 사상 / 김규동 = 879
현대시의 의상 / 전봉건 = 892
우리 시의 이념과 방법 / 구상 = 895
현대시의 두 경향 / 정창범 = 898
이상론 : 「순수의식」의 뇌성과 그 파벽 / 이어령 = 906
현대시의 위치 / 김규동 = 923
시의 한계 : 언어의 개혁 / 이봉래 = 929
현대시의 심연 / 고석규 = 933
오늘과 시인의 모습 / 전봉건 = 938
젊은 세대의 심금 / 홍효민 = 944
인생파와 모더니즘 / 김현승 = 946
한국의 모던이즘 / 이봉래 = 952
노래하는 시 생각하는 시 / 최일수 = 962
현대시의 순수감각 비판 / 최일수 = 972
창작수법을 위한 시론 / 홍사중 = 988
현대시와 서정 / 김규동 = 995
주조의 상실과 사상의 빈곤 / 곽종원 = 998
한국 여성의 모더니즘 / 고영석 = 1003
세계 작가회의의 인상 / 백철 = 1005
모더니즘의 본질과 비평 / 최일수 = 1007
현대시와 주제 / 김규동 = 1016
세계문학과 우리문학 / 백철 = 1018
「나르시스」의 학살 / 이어령 = 1031
뉴크리티시즘에 대하여 / 백철 = 1057
공감의 영토 / 장호 = 1061
우리말의 특질과 현대시의 과제 / 김현승 = 1065
현대시와 언어 / 이봉래 = 1073
현대문학의 근본특질 / 최일수 = 1078
리리시즘의 영토 / 홍사중 = 1092
현대시의 제문제 / 김경린 = 1098
현대시의 반성 / 송욱 = 1101
현대시의 「이메이지」와 「메타포어」 / 김경린 = 1109
T. S. 엘리오트의 전통정신 / 김종문 = 1111
우리 현시단의 제경향 / 유정 = 1115
시인을 위한 아포리즘 / 이어령 = 1125
모더니티에 관하여 / 고석규 = 1127
「모더니즘」의 감상 / 고석규 = 1133
I. A. 리차즈의 비평과 그 방법 / 김용권 = 1137
현대시의 리리시즘 문제 / 천상병 = 1153
시와 생명 / 김현승 = 1156
현대비평의 새 영역 / 백철 = 1158
I. A. 리차즈씨와의 문학 대화 / 백철 = 1166
현대시의 난해 : 모더니즘고 / 장만영 = 1170
비평가의 교양 / 고석규 = 1172
현대시에 대한 이해 / 이철범 = 1178
시를 위한 회화론 / 임진수 = 1182
시와 속박 / 이어령 = 1184
뉴크리티시즘의 제문제 / 백철 = 1189
현대시의 「이미지」 형성문제 / 박철석 = 1201
「모더니즘」 백서 / 최일수 = 1208
난해시의 열등성 / 김운학 = 1218
뉴크리티시즘과 한국비평 문학 / 김용권 = 1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