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디아스포라 기행 : 추방당한 자의 시선 (16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徐京植 , 1951- 김혜신 , 1958- , 역
서명 / 저자사항
디아스포라 기행 : 추방당한 자의 시선 / 서경식 지음 ; 김혜신 옮김.
발행사항
파주 :   돌베개 ,   2006.  
형태사항
231 p. : 삽도 ; 21 cm.
원표제
ディアスポラ紀行 : 追放された者のまなざし
ISBN
897199231X
일반주기
이 책은 일본의 월간지 "세카이"에 2004년 6월부터 2005년 4월까지 11회에걸쳐 연재한 에세이 "디아스포라 기행"을 가필한 것임  
000 00826namccc200253 k 4500
001 000045229621
005 20100807010857
007 ta
008 060209s2006 ggka 000a kor
020 ▼a 897199231X ▼g 0383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jpn
082 0 4 ▼a 325.2 ▼2 22
090 ▼a 325.2 ▼b 2006
100 1 ▼a 徐京植 , ▼d 1951- ▼0 AUTH(211009)71425
245 1 0 ▼a 디아스포라 기행 : ▼b 추방당한 자의 시선 / ▼d 서경식 지음 ; ▼e 김혜신 옮김.
246 1 9 ▼a ディアスポラ紀行 : 追放された者のまなざし
260 ▼a 파주 : ▼b 돌베개 , ▼c 2006.
300 ▼a 231 p. : ▼b 삽도 ; ▼c 21 cm.
500 ▼a 이 책은 일본의 월간지 "세카이"에 2004년 6월부터 2005년 4월까지 11회에걸쳐 연재한 에세이 "디아스포라 기행"을 가필한 것임
700 1 ▼a 김혜신 , ▼d 1958- , ▼e
940 0 ▼a Diaspora kiko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5.2 2006 등록번호 11135256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25.2 2006 등록번호 12112269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25.2 2006 등록번호 12112269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325.2 2006 등록번호 13102376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25.2 2006 등록번호 15120262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25.2 2006 등록번호 1512026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5.2 2006 등록번호 11135256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25.2 2006 등록번호 12112269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25.2 2006 등록번호 12112269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325.2 2006 등록번호 13102376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25.2 2006 등록번호 15120262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25.2 2006 등록번호 1512026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나의 서양미술 순례>, <소년의 눈물>의 지은이 서경식이 런던, 잘츠부르크, 카셀, 광주 등을 여행하며 쓴 에세이. 디아스포라라는 말은 원래 '이산'離散을 의미하는 그리스어로, 팔레스타인 땅을 떠나 세계 각지에 거주하는 이산 유대인과 그 공동체를 가리킨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자기가 속해 있던 공동체와 땅을 떠나도록 강요당한 사람들 전체를 가리키는 말로 새롭게 규정된다.

재일조선인으로 은밀하거나 노골적인 차별과 억압을 일상처럼 겪으며 살아왔고, '유학생간첩단 사건'에 연루되어 각각 19년, 17년의 옥고를 치룬 서승과 서준식의 동생으로 오랜 세월을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힘들게 지낸 삶이 바탕이 되어 그의 '디아스포라 기행'은 몇 겹의 소수자들만이 느끼고 바라볼 수 있는 진실들을 섬세하게 포착해낸다.

자신의 구체적인 경험에서 시작해 근대의 정치체계까지 아우르며, 난해하거나 현란하지 않은 언어로 '다이스포라'로 상징되는 근대의 억압과 정치체제를 진지하게 사유한다. 광주에서 망월동에서 연주되는 윤이상의 '광주여 영원히!'를 들으며 느낀 감상, 휴머니즘, 자유주의, 개인주의라는 근대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했던 작가 슈테판 츠바이크와 '어제의 세계'를 떠올리는 것 등이 대표적인 예.

한 사회에서 소수자로 산다는 것, 과거에 자기 민족을 지배한 자의 언어를 모어로 삼아 살아간다는 것은 곧 자신이 누구인가, 자신은 왜 남들과 다른가를 끊임없이 자문해야 하는 삶을 의미한다. 불안하고 예민한 정체성을 안고 살아가는 '추방당한' 이들의 삶을 이야기하는 지은이의 담담한 서술이 그의 삶과 어우러져 오히려 더 깊은 공감을 자아낸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서경식(지은이)

1951년 일본 교토에서 재일조선인 2세로 태어났다. 와세다대학 불문과 재학 중이던 1971년, ‘재일교포 유학생 간첩단 사건’으로 형 서승, 서준식이 구속되며 두 형의 구명 활동과 한국의 민주화를 위한 운동을 펼치기 시작했다. 이때의 체험과 사유는 이후 저술과 강연, 사회운동으로 이어졌다. 『소년의 눈물』로 1995년 일본에세이스트클럽상, 『시대의 증언자 쁘리모 레비를 찾아서』로 2000년 마르코폴로상을 받았고, 2012년에는 민주주의와 소수자 인권 신장에 기여한 공로로 후광 김대중학술상을 수상했다. 2000년부터 도쿄게이자이대학에서 현대법학부 교수로 재직하면서 인권론과 예술론을 강의하고 도서관장을 역임했으며 2021년 정년퇴직했다. 한국과 일본에서 동료와 후학 들이 그의 퇴임을 기념하는 문집과 대담집인 『서경식 다시 읽기 1』 『서경식 다시 읽기 2』를 펴냈다.

김혜신(옮긴이)

성균관대와 이화여대 대학원을 졸업하고, 일본 가쿠슈인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근현대미술사와 표상문화론을 전공했다. 『한국 근대미술 연구-식민지 시기 조선미술전람회를 통해 본 이문화 지배와 문화표상』(韓國近代美術&#30740;究―植民地期「朝鮮美術展&#35239;&#20250;」にみる異文化支配と文化表象) 등의 저서를 펴냈고, 『만남을 찾아서: 현대 미술의 시작』 등의 책을 한국어로 옮겼다. 현재 오키나와현립예술대학교 예술학과 교수이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한국어판을 퍼내며 = 5
프롤로그 : 수레바퀴 자국에 고인 물 속의 붕어 = 13
1 죽음은 생각하는 날 : 런던 2001년 12월 = 31
 마르크스의 무덤
 자폭하는 세계
 프리모 레비
 자폭의 일상화
 11층의 창
 우리 망명자들
 일본인의 마음
 사자의 국민화
 불사의 공동체
 파르지팔
 성배의 민족
2 폭력의 기억 : 광주 1990년 3월, 2000년 5월 = 79
 망월동
 어떤 누나
 풀 덮인 무덤
 광주여 영원히!
 비엔날레
 나는 누구인가
 시린 네샤트
 붉은 하이힐
 넓은 바다로
 침목
 맨홀
 재일의 인권전
 활자구
3 거대한 일그러짐 : 카셀 2002년 8월 = 139
 아웃 오브 블루
 도쿠멘타
 싫은 느낌
 이중의 디아스포라
 아름다운 열대 풍경
4 추방당한 자들
 1. 난민의 자화상 : 브뤼셀, 오스나브뤼크 2002년 5월 = 165
  브렌동크 요새
  오스나브뤼크
  난민의 삶
  죽음의 벽
  망명자의 자화상
 2. 어제의 세계 : 잘츠부르크 2002년 여름, 2004년 여름 = 182
  다나에의 사랑
  어제의 세계
  종이와 스탬프
  죽음의 도시
 3. 세 사람의 유대인 = 201
  강제와 불가능성
  문화로부터 추방당하다
  오직 언어틀 모국으로 삼아
  티에의 묘지
에필로그 : 코리언 디아스포라 아트 = 221


관련분야 신착자료

Hollifield, James Frank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