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Introduction) = 1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Status of the art) = 8
제1절 국외 현황(Situation of foreign state) = 8
제2절 국내 현황(Situation within a country) = 9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Contents and result of the Project) = 12
제1절 대전류 가속기를 이용한 방사성 동위원소 대량생산 공급(Establishment of RI mass production system with a high current cyclotron) = 12
제2절 고순도 I 대량 생산공급 체제 구축(Development of high purity I-123 mass production) = 29
제3절 싸이클로트론 기반 새로운 핵종 생산 기술 개발(Development of new radioisotopes based cyclotron) = 38
제4절 Target 강도 및 열전도 평가 연구(Evaluation research for the strength and the heat transfer on target) = 44
제5절 [ 18 F]Capecitabine 합성(Synthesis of [ 18 F] Capecitabine) = 77
제6절 Iodine 표지 Hypericin(Iodine Labeled Hypericin) = 83
제7절 F-18 표지 Choline 유도체(F-18 Labeled Choline Derivatives) = 94
제8절 F-18이 표지된 tyrosine 유도체의 개발(Development of F-18 Labeled Tyrosine Derivatives) = 101
제9절 [ 18 F]-N-Fluoroacetyl기를 이용한 암영상용 표지화합물 개발에 관한 연구(Development of Tumor Imaging Labeled Compound Using [ 18 F]-N-Fluoroacethyl group) = 107
제10절 저산소 암대사 영사용 표지화합물 개발(Development of Hypoxia Tumor Metabolism for Imaging) = 116
제11절 F-18 표지 COX-Ⅱ inhibitor 개발(Development of F-18 Labeled COX-Ⅱ Inhibitor) = 122
제12절 방사성 동위원소 표지 Porphyrin 합성(Synthesis of Radioisotope Labeled Porphyrin) = 129
제13절 [ 18 F]FLT 합성(Synthesis of [ 18 F]FLT) = 139
제14절 [ 18 F]FET 합성(Synthesis of [ 18 F]FET) = 142
제15절 16α-[ 18 F]Fluoroestradiol 표지(Labeling of 16α-[ 18 F]Fluoroestradiol) = 145
제16절 암 영상을 위한 방사성 feruloyl 유도체의 개발(Development of Radio Feruloyl Derivative for Tumor Imaging) = 148
제17절 뇌 질환 진단용 방사성의약품 개발(Development of Radio Pharmaceutical for Brain Disease) = 155
제18절 방사성의약품 분배장치(Radiopharmaceutical Distribution Equipment) = 165
제19절 I-123 표지용 자동합성장치(I-123 Labeling Auto-synthesizer) = 166
제20절 [ 18 F]FDG 자동합성장치([ 18 F]FDG Auto-synthesizer) = 168
제21절 [ 18 F]FLG 자동합성장치([ 18 F]FLG Auto-synthesizer) = 170
제22절 PET/CT 도입과 영상획득(Introduction and Image aquisition of PET/CT) = 171
제23절 CT를 이용한 감쇠보정법과 기존 투과영상 감쇠보정법의 정량화 비교연구(CT based attenuation correction and comparison study with conventional attenuation correction) = 172
제24절 소동물 전용 microPET 도입과 리스트 방식의 동적영상획득(Introduction of microPET and dynamic image aquisition with List mode) = 173
제25절 기존 PET과 비교한 PET/CT의 진단능과 병기 결정능 평가 연구(Comparison study of diagnostic ability with conventional PET and PET-CT) = 176
제26절 폐암에서 동시계측 감마카메라를 이용한 PET의 유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Clinical Usefulness of coincidence detection FDG SPECT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 177
제27절 악성 종양에 따른 진단능과 유용성 연구(Diagnostic ability of PET in oncologic patients) = 179
제28절 [ 18 F]FDG, [C]methionine을 이용한 암의 진단과 병기 결정의 임상적 유용성(Clinical usefulness of [ 18 F]FDG, [C]methionine PET in tumor diagnosis) = 185
제29절 [ 18 F]FDG, [ 18 F]FET을 이용한 뇌종양의 진단과 악성도 평가(Diagnostic ability of [ 18 F]FDG, [ 18 F]FET PET in brain tumors) = 187
제30절 [ 18 F]FLT의 임상 적용과 암 진단능 평가(Clinical application and diagnostic ability of [ 18 F]FLT PET) = 189
제31절 종양 악성도와 관련된 분자생물학적 병인론 연구(Molecular biologic study of malignancy degree in tumors) = 191
제32절 종양내 방사성 의약품의 대사 경로 연구(Metabolic pathway study of radiopharmaceuticals in tumors) = 192
제33절 암환자 예후 예측능 평가를 위한 전향적 임상연구(계속)(Prospective prognostic evaluation of cancer patients by PET) = 194
제34절 신개발 방사성의약품의 생체분포 및 종양섭취능 등의 전임상 연구(Preclinical study of newly developed radiopharmaceuticals) = 196
제35절 신개발 방사성의약품의 중, 소동물을 이용한 종양모델의 영상 획득과 약역학 모델 연구(In vivo small animal image aquisition and pharmacokinetic model study of newly developed radiopharmaceuticals) = 198
제36절 신개발 방사성의약품의 흡수선량 평가 모델 개발(Development of dosimetric model of newly developed radiopharmaceuticals) = 200
제37절 [ 18 F]FDG, [C]methionine, [ 18 F]FET, [ 18 F]FLT를 이용한 악성종양 치료효과 판정능 비교(Comparison of therapeutic response of [ 18 F]FDG, [C]methionine, [ 18 F]FET, [ 18 F]FLT in cancers) = 202
제38절 PET 또는 PET/CT에 의한 악성종양 치료중 효과 판정능 비교 평가(Evaluation of therapeutic response of cancers by PET or PET/CT during the chemotherapy) = 204
제39절 림프종 환자의 치료 조기 반응 평가를 위한 PET과 PET/CT의 평가(Evaluation of the early therapeutic response in patients with lymphoma by PET or PET-CT) = 205
제40절 PET/CT 이용 방사선 치료효과 판정능 비교 평가(Evaluation of therapeutic response of radiotherapy by PET-CT) = 206
제41절 간세포암에서 F-18-FDG 섭취정도에 따른 유전자 발현 양상 연구(Comparison of gene expression profile according to the degree of FDG uptake in hepatocellular carcinoma) = 207
제4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The extent of research achievement and contribution) = 209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The application of research results) = 212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 과학 기술 정보(Reference) = 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