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경막외 무통분만이란 무엇인가 = 1
무통분만의 역사 = 2
칼럼 ① 멘델슨 증후군 = 5
Ⅱ 경막외 무통분만의 실천 = 7
1. 적절한 환자 선택 = 7
a. 적절한 환자 = 7
b. 적절하지 않은 환자 = 8
2. 무통분만 전의 진찰과 검사 = 9
a. 산과적 문제점을 파악한다 = 9
b. 마취과적 문제점이 없는지 평가한다 = 10
c. 기도를 중심으로 진찰한다 = 10
d. 필요한 검사 = 11
3. 인폼드 컨센트 = 11
4. 준비할 것 = 14
a. 방의 환경과 설비 = 14
b. 수액 = 14
c. 약물 = 14
d. 그 외에 준비할 것들 = 16
5. 경구섭취 제한 = 16
6. 무통분만을 개시하는 시기 = 17
a. 어느 시점에서 개시할 것인가 = 17
b. 마취개시를 늦추지 않는다 = 17
7. 경막외 마취 트레이 = 18
8. 수기 = 19
a. 수액과 개시전 확인사항 = 19
b. 체위 = 19
c. 소독 = 21
d. 경막외 트레이의 준비 = 21
e. 천자 = 23
칼럼 ② 일본인의 경우 피부에서 경막외강까지의 거리 = 30
f. 카테터 삽입 = 31
칼럼 ③ 어떤 수기가 가장 좋은가? = 35
9. 개시 직후의 관찰 = 36
a. 혈압측정간격 = 36
b. 저혈압 대처 = 36
c. 태아심박수와 자궁수축의 변화 = 36
칼럼 ④ 경막외 무통분만이 태아심박수에 미치는 영향 = 38
d. 마취범위의 평가 = 38
칼럼 ⑤ 국소마취제 중독사례 = 39
10. 지속경막외주입 = 40
a. 지속주입의 내용 = 40
칼럼 ⑥ 경막외 무통분만에 적합한 국소마취약의 농도 = 41
b. 지속주입 중의 체위 = 42
칼럼 ⑦ 경막외강에 투여한 펜타네스트는 어디에 작용하여 진통효과를 내는 것인가 = 42
c. 혈압측정간격 = 43
d. 도뇨(導尿) = 43
e. 지속주입 중의 관찰사항 = 43
칼럼 ⑧ 경막외 지속주입 중의 방산통 = 44
f. 지속주입 중의 혈관내 오주입 = 44
g. 지속주입 중의 지주막하 오주입 = 45
11. 분만 제Ⅱ기 = 45
a. 통증의 특징 = 45
b. 무감각때문에 힘주기를 못하는 경우 = 46
12. 분만 후의 처리 = 47
a. 카테터 제거 시기 = 47
b. 술 후 방문 = 48
13. 트러블 슈팅 = 49
a. 통증 = 49
b. 태아심박수 이상 = 51
c. 지주막하 오주입 = 51
d. 혈관내 오주입 = 54
e. 경막 천자에 대한 대처와 경막 천자 후의 두통 치료 = 57
f. 힘주기를 하려는 느낌이 없다 = 60
g. 하지가 움직이지 않는다 = 61
h. 분만정지 = 61
i. 하지 마비 = 62
j. 분만후의 신경장해 = 63
k. 요통ㆍ배부통 = 64
칼럼 ⑨ 경막외혈종 = 64
Ⅲ 경막외 무통분만이 분만경과에 미치는 영향 = 65
Ⅳ 경막외 무통분만이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 = 67
칼럼 ⑩ 경막외 무통분만과 모체의 발열 = 69
Ⅴ 기초편 = 71
1. 분만 출산의 통증과 전달경로 = 71
2. 경막외강의 해부 = 72
3. 국소마취제의 특징과 사용량 = 73
a. 물리화학적 성질과 임상적 특징 = 73
b. 무통분만에 적합한 국소마취제 = 75
4. 기타 진통방법과의 비교 = 75
5. 승압제와 자궁태반혈류 = 77
Ⅵ 응용편 = 79
1. CSE(척추경막외 마취에 의한 진통법) = 79
a. 이점 = 79
b. 결점 = 80
c. 방법 = 80
d. CSE와 태아서맥 = 81
e. CSE와 제왕절개율 = 81
f. CSE와 마취합병증 = 82
g. GSE와 경막외 무통분만의 적응 = 83
2. PCEA(환자관리에 따른 경막외 무통분만) = 83
a. 환자관리에 따른 진통법 = 83
b. PCEA의 설정 = 85
c. PCEA의 이점 = 85
d. PCEA의 문제점 = 85
3. 특수한 상황에서의 경막외 무통분만 = 86
a. 임신중독증 = 86
b. 쌍태 = 87
c. 자궁내감염 = 88
d. 골반위 = 89
e. 제왕절개술후의 경질분만(VBAC) = 89
f. 심질환 = 90
g. 병적 비만 = 94
부록 = 97
참고문헌 = 99
찾아보기 =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