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227577 | |
005 | 20231004173552 | |
007 | ta | |
008 | 051015s2005 ulka b AK 001c kor | |
020 | ▼a 8952106407 ▼g 93300 | |
035 | ▼a (KERIS)BIB000010094794 | |
040 | ▼d 241050 ▼d 211009 ▼a 211009 ▼c 211009 | |
082 | 0 4 | ▼a 335.4 ▼2 22 |
085 | ▼a 335.4 ▼2 DDCK | |
090 | ▼a 335.4 ▼b 2005e3 | |
100 | 1 | ▼a 김수행, ▼g 金秀行, ▼d 1942-2015 ▼0 AUTH(211009)50885 |
245 | 1 0 | ▼a 알기 쉬운 정치경제학 / ▼d 김수행 |
250 | ▼a 제1개정판 | |
260 | ▼a 서울 : ▼b 서울대학교출판부, ▼c 2005 | |
300 | ▼a xx, 442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부록: 시험문제 모음 | |
504 | ▼a 참고문헌(p. 421-423)과 색인수록 |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35.4 2005e3 | 등록번호 12112260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35.4 2005e3 | 등록번호 12112260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경제학을 처음 공부하는 학생들이 <자본론>을 공부하기 전에 정치경제학의 기본 원리를 알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고, 자본주의 경제가 무엇인가를 각종 이야기를 동원하면서 쉽게 쓴 책이다.
저자는 한국경제와 세계경제를 비주류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있으며, 시장에 맡기면 모든 것이 잘된다는 주류의 주장은 이론적으로도 현실적으로도 전혀 타당하지 않다는 것과, 사회적인 경제현상을 분석할 때 개인의 속성으로부터 모든 것을 연역하는 주류의 방법이 수많은 오류를 범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자본주의 경제의 구조와 발전을 해명하면서 한국경제와 세계경제의 역사적 경향을 다루고 있다.
자본주의 경제가 무엇인가를 각종 이야기를 동원하여 이해하기 쉽게 썼다. 특히 최근의 시장 찬미론을 비판하기 위해 시장이 작동할 수 없는 상황이 많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지적했으며, 정치경제학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면서 구체적인 예는 대부분 한국경제에서 가져왔다.
이 책은 현실 경제를 마르크스주의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수행(지은이)
서울대 명예교수. 한국의 대표적인 마르크스 경제학자. 서울대 경제학부 퇴임 후 성공회대 석좌교수로 연구와 강의에 매진하던 중, 2015년 7월 향년 73세를 일기로 별세하였다. 주요 저서로 최초의 한국어 전권 완역본인 <자본론>을 비롯하여 <정치경제학원론>, <<자본론>의 현대적 해석>, <자본주의 경제의 위기와 공황>, <마르크스가 예측한 미래사회: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 <세계대공황: 자본주의의 종말과 새로운 사회의 사이>, <자본론 공부> 등이 있다.

목차
1. 시장이란 무엇인가? ...1 1. 시장을 구성하는 요소 2. 상품 ...17 3. 화폐와 가격 ...23 4. 기업 ...47 5. 권력 ...79 2. 경제발전과 시장의 발전 6. 자본축적과 노동시장 ...91 7. 화폐시장과 자본시장 ...103 8. 해외시장 ...117 9. 정부의 경제정책 ...129 3. 경제위기와 시장기능의 의미 10. 경기변동의 주요개념 ...147 11. 경제위기를 야기하는 환경 ...153 12. 공황이 전개되는 과정 ...165 13. 세계대공황의 역사 ...181 14. 1997년 12월의 한국공황 ...195 4. 자본주의적 발전과 자유경쟁의 제한 15. 독점 ...211 16. 노동조합 ...237 17. 국가에 의한 경제재편 ...285 5. 21세기 자본주의의 역사적 경향 18. 자본의 세계화 경향 ...319 19. 디지털 혁명의 국내외 파급효과 ...339 20. 한국자본주의와 "새로운 사회" ...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