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영화사 공부 : 1980~1997 (10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유지나, 저
단체저자명
한국영상자료원, 편
서명 / 저자사항
한국영화사 공부 : 1980~1997 / 유지나 외; 한국영상자료원 편
발행사항
서울 :   이채,   2005  
형태사항
272 p. : 천연색삽화, 연표 ; 22 cm
총서사항
한국영화사 연구총서 ;02
ISBN
8988621638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750namcc2200253 c 4500
001 000045225971
005 20101217103345
007 ta
008 060125s2005 ulkaj 001c kor
020 ▼a 8988621638 ▼g 0368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791.4309519 ▼2 22
085 ▼a 791.430953 ▼2 DDCK
090 ▼a 791.430953 ▼b 2004d ▼c 2
245 0 0 ▼a 한국영화사 공부 : ▼b 1980~1997 / ▼d 유지나 외; ▼e 한국영상자료원 편
246 1 1 ▼a Korean film from 1980 to 1997
260 ▼a 서울 : ▼b 이채, ▼c 2005
300 ▼a 272 p. : ▼b 천연색삽화, 연표 ; ▼c 22 cm
440 0 0 ▼a 한국영화사 연구총서 ; ▼v 02
500 ▼a 색인수록
700 1 ▼a 유지나, ▼e▼0 AUTH(211009)31679
710 ▼a 한국영상자료원, ▼e▼0 AUTH(211009)28417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30953 2004d 2 등록번호 111447187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22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91.430953 2004d 2 등록번호 12119084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91.430953 2004d 2 등록번호 12119084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91.430953 2004d 2 등록번호 1211914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청구기호 791.430953 2004d 2 등록번호 11135043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청구기호 791.430953 2004d 2 등록번호 11144718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30953 2004d 2 등록번호 111447187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22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91.430953 2004d 2 등록번호 12119084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91.430953 2004d 2 등록번호 12119084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91.430953 2004d 2 등록번호 1211914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청구기호 791.430953 2004d 2 등록번호 11135043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청구기호 791.430953 2004d 2 등록번호 11144718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1980년부터 1997년까지의 한국영화사를 미학.장르 및 작품, 정책.산업, 이론.비평의 분야로 나누어 개괄했다. <한국영화사 공부 1960~1979>에 이어 '한국영화사 연구총서'의 두 번째 권으로 출간되었다. 1980년대와 1990년대를 풍미했던 영화들의 스틸사진을 수록하고, 정치.경제, 사회.문화, 한국영화계, 작품 등의 4개 분야로 나뉘어 기술된 17년간의 연표를 함께 실었다.

1부에서는 1980년대 10년의 한국사회와 영화사를 매해별로 기술했다. 또한 이 시기 한국여화의 주요 경향들을 7개의 주제어를 통해 살펴보았다. 2부에서는 1990년대 한국영화 평단에서 활동한 유지나 교수가 당대의 현장감이 생생히 살아 있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3부는 한국영화 산업과 정책을 전문적으로 연구해 온 한국영상자료원 연구교육팀의 조준형이 집필했다. 제5차 개정영화법, 할리우드 직배의 실시, 대기업의 진출과 퇴조 등 한국영화 산업과 정책의 주요 국면들의 전개과정과 배경, 그 영향이 기술되었다. 4부는 1980년대 이후 한국영화 비평과 이론의 흐름을 정리한 글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문재철(지은이)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부교수. 중앙대학교에서 한국영화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계간 &lt;영화언어&gt; 편집위원, 한국영화평론가협회 기획이사, 한국영화학회 편집이사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lt;한국영화의 미학과 역사적 상상력&gt;(공저) &lt;한국영화사공부 1980-1997&gt;(공저) 등이 있고&lt;한국영화에서 작가담론의 역할에 대한 연구&gt;한국영화에 관한 여러편의 논문을 썼다.

유지나(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7대학 기호학과 대학원(영상기호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동국대학교 영화영상학과 교수·영화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세계문화다양성 증진에 기여한 공로로 프랑스 정부로부터 학술훈장을 받았고, 2005 동국대 명강의상을 받았다. 2008년부터 ‘유지나의 씨네 콘서트’, ‘유지나의 씨네 토크’를 영화, 음악, 시가 어우러진 퓨전 콘서트 형태로 창작하여 다양한 무대에서 펼쳐 보이고 있다. 지은 책으로 『페미니즘 영화 여성(공저)』, 『여성 영화 산책』, 『영화, 나를 찾아가는 여정(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시나리오란 무엇인가』, 『시나리오 작가를 위한 심리학』, 『영화의 역사: 이론과 실제』, 『영상 기호학』, 그리고 마르그리트 뒤라스의 『말의 색채』 등이 있다.

강소원(지은이)

부산국제영화제 와이드앵글 프로그래머

조준형(지은이)

고려대학교 법학과에서 학사학위를,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에서 영화이론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동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한국영화사, 특히 정책과 산업사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현재 한국영상자료원 영화사연구소 팀장으로 재직 중이고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석사학위논문 〈한국영화 정책 및 산업에 대한 연구: 세계화에 대한 대응과정을 중심으로〉가 있고, 공동저서로 《한국영화사 공부2: 1980~1997》, 《한국영화 정책사》, 《한형모: 통속/장르의 연금술사》 등이 있다.

한국영상자료원(KOFA)(엮은이)

한국영상자료원은 한국에서 만들어지고 개봉된 모든 영화의 필름, 시나리오, 포스터 등과 주요한 해외영화, 독립영화, 기타 영상자료를 수집·보존하는 국내 유일의 영상 아카이브 기관. 1974년 필름보관소라는 이름으로 출발해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한국영상자료원은 후대를 위해 자료를 보존하는 곳일 뿐 아니라, 국민들이 쉽고 즐겁게 영상문화를 즐길 수 있도록 한국영화박물관, 시네마테크KOFA, 영상도서관 그리고 온라인상의 다양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www.koreafilm.or.kr.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부 1980년대 한국영화 = 9
 Ⅰ. 들어가며 = 10
 Ⅱ. 1980년대 한국사회와 한국영화, 약사 = 12
 Ⅲ. 1980년대 한국영화의 주요 경향 = 42
  1. 비판적 리얼리즘 = 44
  2. 대안/예술/작가영화 = 51
  3. 성/육체/관음적 시선 = 57
  4. 로맨티시즘 = 65
  5. 여성주의 = 68
  6. 청춘/이상향 = 70
  7. 독립/민중/열린/작은 영화 = 73
 Ⅳ. 나가며 = 79
제2부 1990년대 한국영화 = 81
 Ⅰ. 1990년대 영화/세상 풍경화 = 82
  1. 영화 세상 속으로 들어가며 = 82
  2. 1990년대를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 = 85
  3. 위기 사이에 걸린 한국영화의 혁신 = 88
 Ⅱ. 지배 장르와 주변부 = 99
  1. 멜로드라마와 로맨틱 코미디 : 낡은 것과 새로운 것의 결합 = 99
  2. 액션에서 코믹액션으로 = 108
  3. 사회비판 영화(리얼리즘) = 114
  4. 여성의 현실에 접속한 영화들 = 124
 Ⅲ. 주목할 감독들 = 129
  임권택 감독, 통속성과 진지함의 두 얼굴 = 129
  정지영 감독, 영화와 현실의 접속 = 131
  박광수 감독, 영화와 사회, 그 틈새의 긴장 = 133
  장선우 감독, 도발적 화두와 해체적 서사 = 134
  박철수 감독, 일상성의 파격과 탈주 = 137
 Ⅳ. 1990년대를 나오며 = 140
제3부 한국영화산업과 정책 : 1980~1997 = 143
 Ⅰ. 들어가며 = 144
 Ⅱ. 제5차 개정영화법 이후의 한국영화정책과 영화산업 = 147
  1. 1980~1984년까지 한국영화정책과 영화산업 = 147
  2. 제5차 개정영화법 개요 = 150
  3. 제5차 개정영화법과 영화산업의 변화 = 154
 Ⅲ. 할리우드 직배 실시와 한국영화산업 : 1988~1990년대 초 = 162
  1. 한미영화협상과 제6차 개정영화법 = 162
  2. 직배사의 활동 = 167
  3. 직배 실시와 한국영화산업의 변화 = 171
 Ⅳ. 대기업의 진출과 퇴조 : 1992~1997 = 176
  1. 김영삼 정권기 한국영화정책 = 176
  2. 대기업 진출 = 183
  3. 대기업의 영화산업 진출이 한국영화산업에 미친 영향 = 193
 Ⅴ. 나오며 = 204
제4부 1980년대 이후의 영화비평과 이론의 흐름 = 207
 Ⅰ. 시작하며 = 208
 Ⅱ. 제1기 : 1980년대 초에서 1980년대 후반까지 = 211
  1. 영화운동론 : 창작 실천의 토대로서의 이론 = 214
  2. 작은 영화와 소형영화 운동 = 216
 Ⅲ. 제2기 :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중반 = 219
  1. 민족영화론과 카프-리얼리즘론의 재구성 = 223
  2. 비평의 과학성 : 「영화언어」 = 226
  3. 작가주의(이론) = 228
  4. 페미니즘 영화비평 = 231
 Ⅳ. 제3기 : 1990년대 중반에서 현재까지 = 235
  1. 대중평론의 시대 = 238
  2. 문화 연구로서의 영화이론 : 학제간 연구와 다양한 방법론들 = 241
  3. 영화사 연구 : 한국영화의 정체성을 찾아서 = 243
 Ⅴ. 마치며 = 247
부록 : 관계연표 = 251
Index = 266


관련분야 신착자료

책마을해리 (2022)
Page, Elliot (2023)
Page, Elliot (2023)
James, Chiabella (2023)
노만 (2023)